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1.7℃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0℃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제주 18.4℃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한국얀센 다제내성 결핵 치료제 서튜러®, R&D 100 Award 수상

생명과학 분야에서 진보를 이끌어 낸 제품으로 서튜러 선정돼

지난 7월 11일, 미국의 과학기술 잡지인 R&D 매거진이 주최하는 ‘2014 R&D 100 Award’ 생명과학 분야(Life-Science category)에서, 과학과 공중보건 분야의 중요한 발전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아 얀센의 다제내성 결핵 치료제인 서튜러®’ (Sirturo, 성분명: 베타퀼린푸마르산염, Bedaquiline fumarate)가 선정 되었다.

‘R&D 100 Award’는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100가지의 상용화 된 제품 및 기술을 선정하는 상으로, 지난 1963년 제정 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Oscars of Invention’이란 별칭을 가질 만큼 세계적으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자리에서 서튜러®의 우수성이 입증된 것이다.

다제내성 결핵이란, 1차 표준 결핵 치료제인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으로, 일반 결핵보다 치료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현재까지 결핵 치료는 1960년대 이전에 허가된 일반 결핵 약제로 치료가 이루어져 왔으며 복용 중인 약에 내성이 생긴 이후로는 사용 가능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다.

서튜러®는 결핵균의 ‘생존’ 에너지원 합성 효소를 차단하며 결핵균의 복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차별화된 작용 기전으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2상 임상 시험 결과, 기존 치료제에 서튜러®를 추가한 환자군에서 객담검사가 음성으로 전환되는 소요 시간이 기존 치료군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서튜러® 추가한 환자군의 음성 전환까지의 시간은 중앙값 83일, 기존 치료군은 125일) 뿐만 아니라 기존 치료군에 비해 음성 전환율을 21% 높여, 더 많은 비율의 환자가 치료된 결과를 보였다. (24주 시점에서 음전율 79% vs 58%)

한국얀센 김옥연 대표이사는 “이번 2014 R&D 100 Award수상을 통해 서튜러®가 다제내성 결핵 치료에서 과학적, 공중보건상 중요한 발전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은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튜러®는 18세 이상 성인의 다제내성 폐결핵에 대한 병용요법으로 지난 3월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바 있으며 5월부터 시판 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