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1.7℃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0℃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제주 18.4℃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머크, “Polytos2: 인쇄 유기 회로 및 메모리” 성공적으로 마무리

10개 산ㆍ학 기관 모여 혁신적인 미래 유기 전자 애플리케이션 개발 토대 마련

머크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2년간의 집중적인 협력 연구 끝에 독일연방교육연구부(BMBF)가 총 480만 유로를 투자한 Polytos2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컨소시엄에는 머크를 포함해 모두 10개 기관이 참가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머크는 전하 수송 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반도체 고분자 소재는 물론 인쇄 트랜지스터와 회로 생산용 유기소재와 유기전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이들 소재의 특성에 맞춰 특수 개발된 인쇄 기기는 전자 부품을 쉽고 저렴하게 플라스틱 필름화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혁신적인 부품은 기존 실리콘 기반의 부품과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 가지 예로 온도 센서가 장착된 스마트 라벨로 식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자 전용 리더기와 데이터 인식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도 개발돼 물류나 제품 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개발은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이노베이션 랩에 새로운 유기전자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의 주된 분야는 이노베이션 랩의 기반 시스템인 파운드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는 모듈 기반 시스템으로 특수 제품 요건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표준 회로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머크 외에 BASF SE, 하이델베르거 드루크마시넨 AG, 만하임 응용과학대학교, 페펄앤드푹스 GmbH, 폴리IC GmbH &Co. KG, 로버트 보쉬 GmbH, SAP AG, 담스타트 공과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만하임 대학교가 참가했고, 이노베이션 랩과 바르타 마이크로배터리가 파트너로 참여했다.

Polytos2는 Polytos의 후속 프로젝트다. 3년간 진행된 Polytos 프로젝트는 2012년 2월 완료됐으며“유기전자포럼” 라인넥카르(Rhine- Neckar) 지역 우수 클러스터의 일부로서 BMBF의 지원을 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