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건강검진 사각지대 여전...수검률 향상 모색해야

문정림 의원,“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여성이 낮고, 암검진은 남성이 낮아 ”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2014년 국정감사를 위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9년간일반건강검진의 남자 수검률이 여자보다 높고,암검진은 여자의 수검률이 남자보다 높게 나오는 등 성별에 따라 건강검진의 수검률이 달라, 성별에 따라 건강진단의 수검률이 다른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맞춤형 수검률 향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법 및 의료급여법 등에 따라 2년에 1회씩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일반건강검진2013년 남자 수검률은 약 74%였고 여자 수검률은 약 70%로 약 4% 차이가 났다. 지난 9년간 이러한 여자의일반건강검진수검률은 항상 남자보다 낮았다[1].
 
이는 상대적으로 남자가 많은 직장 가입자의 수검률이 높고, 국민건강보험법 등 건강검진을 규정한 법률에서 건강검진 수혜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는 ‘20~39세에 해당하는 지역가입자 세대원,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 의료급여수급권자 에 상대적으로 여성이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국민 암 발생률, 생존율, 사망률 등을 토대로 선정된 5개 암에 대해 실시하는암검진의 성별별 수검률은 일반건강검진과 반대였다. 2013남자 수검률은 약 39%였고, 여자 수검률은 약 47%로 약 8% 차이가 났다[2]. 지난 9년간 남자의암검진수검률은 항상 여자보다 낮았다.
 
5대암 종별로 성별에 따른 수검률을 분석한 결과 여자와 남자가 모두 검사하는 3개암의 결과 역시 이와 같았다. 남자에게 해당이 없는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을 제외한 위암, 간암, 대장암에 대한 2013년 남자 수검률은 각각 약 49%, 29%, 48%였으며, 여자 수검률은 각각 약 57%, 32%, 48%였다. 지난 9년간 3개 암에 대한 남자 수검률은 항상 여자보다 낮았다[3].
 
남자의 암검진 수검률이 여자보다 낮은 것은,일반건강검진의 경우 직장가입자, 세대주인 지역가입자 등으로 수검 대상이 정해져 있어, 상대적으로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남자의 수검률이 높은 경향을 보이게 되나,암검진은 각 암의 특성에 반영한 연령을 기준으로 수검 대상을 정하고 있어, 검진시간 및 기회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여자가암검진수검이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4].
 
여자암검진의 경우, 지난 9년간 자궁경부암의 수검률이 유방암보다 낮았다[5]. 이는 자궁경부암 검진 방식이 정서적 거부감을 조성하여 여자들이 적극적 검진을 꺼리는 측면이 있고, 30세 이상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40세 이상이 대상인 유방암 보다 검진대상이 많은 점 등이 상호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정림 의원은 현행일반건강검진지역가입자 세대원,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20~39세에 해당하는 국민을 건강검진 수혜대상자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이들 중 다수는 40세 미만 전업주부로 추정된다이들을 건강검진 대상자에 포함시켜야 여성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이 올라갈 것이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국민건강정책수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문정림 의원은, “암검진수검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암 예방 중요성 홍보, 공휴일 검진 확대 등을 통해, 암진단의 필요성과 활용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건보공단 및 복지부는 각 건강검진 수검률 현황을 분석한 수검률 향상 방안을 적극 모색하여, 건강검진의 사각지대를 해소함은 물론, 정확한 건강정책과 건강증진사업을 수립·실시하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1] 최근 9년간 성별 일반 건강검진 수검현황
(’14.3.31 기준, 단위 : , %)
 
연도1차검진
대상자수검자수검률
201315,776,14711,381,54072.14
남자8,492,8096,258,99473.70
여자7,283,3385,122,54670.33
201215,673,18811,419,35072.86
남자8,456,8056,277,36274.23
여자7,216,3835,141,98871.25
201115,249,52811,070,56972.60
남자8,276,0746,117,78773.92
여자6,973,4544,953,78271.04
201015,917,93910,851,27768.17
남자8,647,5116,016,68069.58
여자7,270,4284,834,59766.50
200915,036,6079,927,53866.02
남자8,147,7855,520,78667.76
여자6,888,8224,406,75263.97
200815,124,7559,878,54865.31
남자8,315,4735,596,60967.30
여자6,809,2824,281,93962.88
200713,299,8457,978,75859.99
남자7,338,5224,619,85062.95
여자5,961,3233,358,90856.35
200615,198,1128,458,09355.65
남자8,428,9874,877,10057.86
여자6,769,1253,580,99352.90
200512,456,5066,427,66251.60
남자6,864,9543,784,75355.13
여자5,591,5522,642,90947.27
<문정림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재구성>
 
 
[2] 최근 9년간 성별 암검진 수검현황
(’14.3.31 기준, 단위 : , %)
 
연도1차검진
대상자수검자수검률
201319,194,5818,340,17543.45
남자8,425,4963,316,81439.37
여자10,769,0855,023,36146.65
201220,049,4257,892,73239.37
남자8,669,0773,152,22336.36
여자11,380,3484,740,50941.66
201114,089,5027,056,77650.09
남자6,362,9982,763,81943.44
여자7,726,5044,292,95755.56
201012,945,7566,184,80447.77
남자6,071,8842,522,58641.55
여자6,873,8723,662,21853.28
200912,577,5945,693,72545.27
남자5,847,2932,247,25038.43
여자6,730,3013,446,47551.21
200812,483,8575,028,68540.28
남자5,873,3482,003,95334.12
여자6,610,5093,024,73245.76
200710,877,9703,831,28035.22
남자5,094,3531,509,16329.62
여자5,783,6172,322,11740.15
200611,410,0243,261,17728.58
남자5,441,8121,263,47923.22
여자5,968,2121,997,69833.47
20059,437,6432,196,21423.27
남자4,448,016796,76817.91
여자4,989,6271,399,44628.05
<문정림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재구성>
 
 
[3] 최근 9년간 성별 및 암종별 암검진 수검현황
(2014.3.31. 현재, 단위 명, %)
 
연도구분위암 대장암 간암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대상자 수검자 수검률대상자 수검자수검률
2013합계11,105,598 5,883,492 52.98 13,120,837 4,028,905 30.71 901,267 448,607 49.78
남자5,349,377 2,614,080 48.87 6,263,282 1,840,989 29.39 527,489 251,156 47.61
여자5,756,221 3,269,412 56.80 6,857,555 2,187,916 31.91 373,778 197,451 52.83
2012합계10,977,001 5,802,482 52.86 13,751,002 3,705,933 26.95 992,347 416,667 41.99
남자5,395,654 2,599,461 48.18 6,450,978 1,679,722 26.04 594,300 237,789 40.01
여자5,581,347 3,203,021 57.39 7,300,024 2,026,211 27.76 398,047 178,878 44.94
2011합계12,066,748 5,707,811 47.30 8,315,181 2,891,693 34.78 720,701 331,839 46.04
남자5,785,597 2,524,558 43.64 4,045,914 1,306,222 32.28 471,735 199,058 42.20
여자6,281,151 3,183,253 50.68 4,269,267 1,585,471 37.14 248,966 132,781 53.33
2010합계10,997,959 4,915,858 44.70 7,647,088 2,671,849 34.94 563,812 259,999 46.11
남자5,553,666 2,202,416 39.66 3,737,668 1,234,697 33.03 387,512 166,417 42.94
여자5,444,293 2,713,442 49.84 3,909,420 1,437,152 36.76 176,300 93,582 53.08
2009합계11,759,724 4,854,953 41.28 7,111,973 2,074,139 29.16 549,287 225,857 41.12
남자5,847,293 2,146,334 36.71 3,392,163 918,318 27.07 344,860 129,296 37.49
여자5,912,431 2,708,619 45.81 3,719,810 1,155,821 31.07 204,427 96,561 47.23
2008합계11,514,169 4,232,929 36.76 6,736,411 1,730,930 25.70 614,013 228,350 37.19
남자5,873,266 1,913,772 32.58 3,293,605 795,022 24.14 375,205 129,804 34.60
여자5,640,903 2,319,157 41.11 3,442,806 935,908 27.18 238,808 98,546 41.27
2007합계10,139,770 3,272,313 32.27 5,910,465 1,298,399 21.97 606,775 204,279 33.67
남자5,075,135 1,443,795 28.45 2,817,663 586,542 20.82 365,218 111,378 30.50
여자5,064,635 1,828,518 36.10 3,092,802 711,857 23.02 241,557 92,901 38.46
2006합계10,576,228 2,751,059 26.01 5,988,433 1,079,119 18.02 657,979 172,040 26.15
남자5,438,951 1,223,711 22.50 2,921,372 491,461 16.82 407,574 96,381 23.65
여자5,137,277 1,527,348 29.73 3,067,061 587,658 19.16 250,405 75,659 30.21
2005합계8,845,896 1,757,521 19.87 5,000,597 718,742 14.37 636,654 126,125 19.81
남자4,413,246 756,362 17.14 2,357,606 326,869 13.86 395,453 71,339 18.04
여자4,432,650 1,001,159 22.59 2,642,991 391,873 14.83 241,201 54,786 22.71
<문정림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재구성>
 
[4] 암의 종류별 검진주기와 연령 기준 등(암 관리법 시행령 제6조 및 시행령 별표 1)
 
[별표 1]
암의 종류검진주기연령 기준 등
위암240세 이상의 남
간암140세 이상의 남여 중 간암 발생 고위험군
대장암150세 이상의 남
유방암240세 이상의 여성
자궁경부암230세 이상의 여성
비고: “간암 발생 고위험군이란 간경변증, B형간염 항원 양성, C형간염 항체 양성,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를 말한다.
[5] 최근 9년간 여성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암검진 수검현황
(2014.3.31. 현재, 단위 명, %)
 
연도구분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2013합계5,762,890 3,305,714 57.36 7,297,957 3,554,373 48.7
2012합계5,575,675 3,232,417 57.97 7,314,536 3,370,657 46.08
2011합계6,301,873 3,242,910 51.46 7,334,187 3,263,849 44.50
2010합계5,401,123 2,778,099 51.44 6,422,573 2,586,439 40.27
2009합계5,912,431 2,835,930 47.97 6,730,301 2,564,663 38.11
2008합계5,658,778 2,482,037 43.86 6,604,260 2,241,407 33.94
2007합계5,058,433 1,959,780 38.74 5,742,149 1,679,118 29.24
2006합계5,136,982 1,652,093 32.16 5,967,993 1,500,994 25.15
2005합계4,432,650 1,091,623 24.63 4,988,713 1,100,934 22.07
 
<문정림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재구성>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