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김성주 의원, '장기기증 활성화 : 왜 필요한가?'정책 간담회 개최

이명수, 김성주, 강석훈, 김용익 여야의원 4인 공동주최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의원(새정치민주연합/전주덕진)은 오는14일(수)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장기기증 활성화: 왜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주의원, 김용익의원과 새누리당 이명수의원, 강석훈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대한이식학회(이사장 이석구)가 주관을 맡은 이번 정책간담회는 장기기증 관련 국내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현행 장기기증의 현황 및 제반여건을 짚어보고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측면의 전략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 주제발표에는 ▲ 김성주 교수(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의 사회로 ▲ 김순일 교수(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 안규리 교수(서울대병원 신장내과), ▲ 조원현 교수(계명대 동산의료원 이식혈관외과), ▲ 하종원 교수(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 김현철 교수(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 정통령 과장(보건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이 참석하며, 2부에서는 ▲ 공 구 교수(한양의대 병리학교실)의 사회로 종합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생체기증과 뇌사기증의 차이, 식물상태와 뇌사에 대한 이해 등 장기기증에 대한 기본개념과 함께 해외의 기증 문화, 이식인의 날, 녹색 리본 행사, 메모리얼 가든 등의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으며,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홍보전략, 기증 시스템의 효율화를 위한 전략, 기증 관련 규제와 법을 점검하고 실효적 대책을 도출하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주 의원은 “장기기증을 통해 많은 환자들이 고귀한 생명을 연장하고, 건강을 되찾아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렇지만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에 비해 기증자 수는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라며, “지속가능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장기기증자를 충분히 확보하고 기증된 장기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시에 투명하게 이식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효율화는 국가가 해결해야 할 필수 과제이다”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이번 정책간담회를 통해 국민들이 생명나눔에 자발적으로 동참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장기기증, 이식, 사후관리 및 처우까지 원활히 순환되는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