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률 57.4% '저조'

김성주 의원, 전국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현황 공개 17개 광역지자체 중 접종률 70% 이상은 충북 단 1곳 뿐

65세 이상 노인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률의 지역 편차가 많게는 20%p 이상 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 예방접종 대상자 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 관련 예산확보 및 부처간 공조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간사/전주덕진)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현황(’13.5.1∼’15.8.31)’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384만명이 접종을 실시하여 57.4%의 접종률을 보였으며, 목표 접종인구수*인 402만명 대비 95.6%의 달성률*을 기록했다. [붙임]

-전국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 현황(’13.5.1~‘15.8.31)

구분

목표 접종량

접종현황

목표 접종인구수

달성률

접종건수

접종률

누계

4,021,327

95.6%

3,844,060

57.4%

서울

750,380

82.2%

617,151

49.3%

부산

305,015

96.7%

295,044

58.0%

대구

187,615

88.8%

166,568

53.3%

인천

185,269

88.1%

163,190

52.8%

광주

98,546

89.1%

87,808

53.5%

대전

98,126

99.4%

97,496

59.6%

울산

60,778

99.2%

60,297

59.5%

세종

12,933

80.8%

10,451

48.5%

경기

779,526

90.0%

701,238

54.0%

강원

155,787

109.2%

170,073

65.5%

충북

139,793

118.1%

165,068

70.8%

충남

203,169

110.1%

223,703

66.1%

전북

198,250

109.7%

217,421

65.8%

전남

233,496

113.6%

265,225

68.2%

경북

286,016

101.6%

290,565

61.0%

경남

275,875

95.0%

262,096

57.0%

제주

50,753

99.8%

50,666

59.9%

17개 광역지자체 중 가장 높은 접종률을 보인 곳은 70.8%인 충북으로 16만 5천명이 접종을 하였으며, 유일하게 70% 이상의 접종률을 보였으며, 전남(68.2%/26만5천명), 충남(66.1%/22만3천명), 전북(65.8%/21만7천명), 강원(65.5%/17만명)이 뒤를 이었다.

하위권에는 광주(53.5%/8만7천명), 대구(53.3%/16만6천명), 인천(52.8%/16만3천명), 서울(49.3%/61만7천명), 세종(48.5%/1만명)이 분포했다.

다만 동 현황은 질병관리본부의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내 ‘폐렴구균 예방접종등록시스템’에 등록된 현황으로 보건소 외 민간의료기관 등에서 본인부담으로 접종한 현황은 집계되지 않은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은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취지에서 지난 2013년 5월부터 보건소를 통해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무료로 실시하는 사업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동 예방접종사업 시행 전의 접종률은 15.4%였으나 시행 후의 접종률은 57.4%(‘15년 8월 기준)로 향상됐으며, 노인들의 예방접종 편의성과 접종률 향상을 위해 2014년 8월부터 주소지 내 보건소만을 이용해야 하는 제한을 폐지한 바 있다.

  

김성주 의원은 “7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50%에 달하는 만큼 보건당국은 효율적인 예방접종 대상자 파악과 접종 관리를 위해 범부처 통합 예방접종정보시스템 등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예산확보와 관계부처 협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성주 의원은 “그간 각 지자체에서 노인폐렴구균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효과적으로 노인폐렴구균 접종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가장 큰 현장의 애로사항으로 알고 있다”며, “가령 기초연금 신청시 65세 도래에 따른 노인폐렴구균 접종 안내를 첨부하여 홍보하는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하여 접종률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덧붙여, 김성주 의원은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60%로 설정한 노인폐렴구균 목표접종 인구수를 중장기적으로 70%∼80% 수준으로 상향하여 보다 많은 어르신들의 건강수명을 향상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고로 국내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65~75세에서 35.4%, 75세 이상에서 49.3%*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평생 1회의 예방접종으로 패혈증,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접종률 향상 노력이 요구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