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건강보험 적용 노인인구 53%증가, 건강보험진료비 총액은 3배로 증가

전혜숙의원,같은 기간, 신규노인(만 65세) 건보진료비 증가속도는 전체보다 낮아(1.7배)

장수비용 증가폭이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 증가율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혜숙 의원(국회보건복지위원회)의 분석에 따르면,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노인인구수가 20064073천 명에서 20156223천 명으로 52.8% 증가하는 사이, 건강보험 진료비는 73,504억 원에서 219,210억 원으로 198.2% 증가했다. 위 기간 동안 건보적용 인구는 6.5%증가(4,741만명5,049)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노인 1인당 건강보험 진료비는 연간 1844,608원에서 3568,416원으로 97.7% 증가했다.

 

전 의원은, “인구증가 속도, 노인인구 증가속도에 비해 진료비 증가속도가 높다는 것은,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장수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령사회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 중 차지하는 비율이 14%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12.3%수준이다.

 

한편, 2006년부터 2015까지 매년 만 65세가 된 사람의 수는 36만 명에서 45만 명 수준이었으며, 이들의 건보진료비 총액은 20065,828억 원에서 2015118억 원으로 71.9% 증가했고,

 

1인당 건보진료비는 1592,008원에서 2297,123원으로 4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의원은, “65세가 되면 통계상 새로 노인에 편입되기 때문에 젊을 수밖에 없고, 이 분들의 건보진료비가 전체 노인 진료비보다 증가속도가 느린 것은 당연하다.”고 하면서,

 

의료서비스가 주로 의료기관에 의해 제공되므로 생산자물가의 상승분을 살펴봐야 하는데, 최근 생산자물가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1인당 진료비가 증가한 이유는 비급여 의료비 및 비급여 약제비 상승이 주요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참고로 2006년 대비 2015년 소비자물가는 24.7% 상승했고(통계청 자료 재구성), 생산자물가는 2010년 대비 2015년에 2.8% 하락했다(한국은행 자료 추출).

 

전의원은 또, “건보적용 전체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와 새로 65세가 되는 사람의 연간 진료비를 대비시켜보면, 비율이 꾸준히 하락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새로 노인이 되는 사람들의 건강상태가 지난 10년간 차차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분석의 최종결과는, 개인건강관리를 강화하여 건강한 노년을 맞을 수 있도록, 예방적 노인건강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