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공공병원 대상 슬관절치환술 등 24개 질환 표준진료지침 적용했더니...총진료비, 재원일수 '뚝'

보건복지부, 올해 16개의 질환 추가로 CP 개발 점진적 확대 공공병원 적정진료 선도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제1차 공공보건의료기본계획에 따라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의료 질 향상 및 적정진료 강화를 위해 표준진료지침(CP, Critical Pathway)을 개발하였다.


복지부는 2015~2016년까지 24개의 질환에 대해 CP를 개발하였고, 2017년 16개의 질환에 대해 추가로 CP를 개발할 예정이다.


‘16년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서울대학교병원, 각 질환별 세부학회, 지역거점공공병원 시범병원(26개소)에서 총 109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20개 질환에 대한 CP를 개발했고,질환별로 세부학회에서 추천한 전문가를 통해 의학적 적정성 검토를 거쳐 CP대상 범위 선정, 목표 지표, 진료계획표, 교육 자료 등 중소병원에 적합한 최종 가이드라인을 작성했다.


-개발 완료된 CP 질환군 목록

진료과

CP

호흡기내과

천식-급성발작

폐렴

소화기내과

대장 내시경 용종 제거술

위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박리술

순환기내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감염내과

쯔쯔가무시

신경과

뇌졸중

비뇨기과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

안과

백내장 수술

일반외과

충수절제술

탈장

치질,치핵수술

정맥류결찰 및 제거 수술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정형외과

슬관절 전치환술

수근관 증후군

고관절 치환술

파열된 어깨 회전근 봉합 수술

이비인후과

편도절제술

산부인과

난소종양제거술

자궁경부 환상 투열 절제술

자연분만+신생아

제왕절개+신생아

요실금


개발된 CP는 ‘16년 구축한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 웹 사이트 (http://www.pubcp.or.kr)에 등록하여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은 19개소 지방의료원의 적용률, 완료율 및 경영·임상질 지표 등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은 적정지표에 따른 목표를 정하고 병원이 모범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적정진료 진단 및 개선 컨설팅을 지원 한다.


-연도별 CP 개발 현황

구분

기 개발 CP 질환군

개발연도

1

슬관절전치환술

2014년 개발

2015년 보급

2

충수절제술

3

탈장

4

수근관증후군

5

백내장수술

`16년 개발

‘17년 상반기 보급예정

6

치질,치핵수술

7

편도절제술

8

정맥류결찰및제거수술

9

고관절 치환술

10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

11

대장 내시경 용종 제거술

12

위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박리술

13

감염병 (쯔쯔가무시)

14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협심증

15

폐렴

16

천식-급성발작CP

17

요실금

18

난소종양제거술

19

자궁 경부 환상 투열 절제술

20

뇌졸중

21

제왕절개수술 + 신생아

22

복강경하담낭절제술

23

자연분만 + 신생아

24

파열된 어깨 회전근 봉합 수술

25

결핵

‘17년 개발 예정

‘18년 상반기 보급

26

경피내시경하 위루술

27

말라리아

28

내시경 부비동 수술

29

비중격 성형술

30

용수지 수술

31

무릎관절경 반월상연골봉합술

32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33

무지 외반증 수술

34

경피적 척추 후굴 풍선 복원술

35

경직장초음파촬영 & 생검

36

음낭수종절제술

37

내시경하 자궁전적출술

38

액취증

39

대상포진

40

약물중독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에 등록된 지방의료원의 2015~2016년 실적을 볼 때 CP가 병원에서 적정진료를 할 수 있도록 선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탈장’의 경우 CP 보급 이후 적용률(‘15년초 26% → ’16년말 67.1%)이 높아지면서 재원일수(‘15년초 5.6일 → ’16년말 4.4일)가 적정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다.


‘슬관절치환술’의 경우 CP 미적용환자군(31.6일)에 비해 적용환자군의 재원일수(26.6일)가 5일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P 적용환자군의 진료비 평균(996만7857원)이 미적용 환자의 진료비 평균(1180만8627원)에 비해 100분의 15(15%)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P 적용 사례

 ① 서산의료원
 ❍ 폐렴, 쯔쯔가무시 CP개발을 통해 감염병 진료체계를 구축하고 내과 CP개발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되었으며 응급실에서부터 CP를 적용하여 신속한 입원 진료가 가능하게 됐다. 또 체계적인 진료 흐름을 구축해 환자, 직원의 만족도가 크게 높아졌다.
   - 쯔쯔가무시 진단을 받은 환자 만족도가 평균 1.9점 상승됐음을 확인하였다. 체계적인 진료 흐름을 통해 절차 및 대기시간이 감소했고 직원의 설명과 교육자료를 통해 환자 만족도가 상승하였다.

  - 쯔쯔가무시 CP를 사용하는 의료진 등 직원 만족도가 평균 1.3점 상승했음을 확인했다.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사정상 의료진 및 인력의 교체, 진료 흐름의 잦은 변경으로 환자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으나 CP 적용을 통해 체계적인 역할 분담과 과정 공유를 통해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② 마산의료원
 ❍ 마산의료원의 슬관절치환술 CP 적용률은 동일종별(300이하 종합병원)에 비해 99.7%의 높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다. 2016년 기준 650건 중 648건의 적용을 통해 적정진료를 하였다.

  - 마산의료원의 슬관절치환술 재원일수평균은 22.5일로 동일종별 비교병원에 비해 2.8일 감소하였고 임상 적정 재원일수 16일에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마산의료원의 슬관절치환술 진료비평균은 동일종별과 비교했을 때 평균 47만3015원의 절감 효과를 보이고 있다. CP를 적용함으로서 재원일수, 진료비의 감소로 이어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슬관절치환술 CP가이드라인을 모니터링 중인 지방의료원 19개소에 모두 보급할 경우 연 입원일수는 총 11,875일 단축되고, 연간 진료비용은 약 43억71백만원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CP개발 연구를 통해 지역거점공공병원은 적정진료를 위한 의료진의 인식 개선과 경영진의 의지(인센티브제도 확대), 환자의 만족도 증가의 효과가 있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은 공공의료CP 개발·보급을 통해 지역거점공공병원뿐 아니라 민간병원까지 확대, 보급할 계획이며 의료서비스의 변화 및 발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 개발 CP를 갱신할 예정이다.


‘17년 수요조사 결과 국립대병원(동정맥류 등), 보훈·재활·정신병원(편측마비 등), 노인병원(파킨슨병, 알츠하이머치매 치료 등)의 공동개발요구가 있어 앞으로 다양한 공공의료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CP를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공공의료의 적정진료를 위한 콘텐츠 제공 및 진료 네트워크 구축, 컨설팅을 지원하여 공공과 민간병원을 연계하고 적정진료를 선도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