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성형안과-눈물흘림증과 위눈꺼풀성형술" 집중 조명

김안과병원 ‘성형안과’ 주제 제15회 심포지엄 성료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이사장 김희수, 원장 김용란)이 개최한 ‘제 15회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심포지엄’이 20일 김안과병원 명곡홀에서 안과 전문의 및 전공의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심포지엄에서는 ‘성형안과-눈물흘림증과 위눈꺼풀성형술’을 주제로 모두 22개의 연제가 발표되었으며, 발표된 연제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의가 벌어졌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1부에서 눈물흘림증의 진단과 눈물길 수술 등 치료방법이 다뤄졌으며, 2~4부에서 위눈꺼풀수술과 관련한 연제들이 발표됐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각 연자들이 실제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아낌없이 발표한데다, 성형안과 분야의 권위자들인 이상열원장(전 연세의대교수), 김윤덕교수(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등이 직접 경험한 케이스를 발표, 관심을 모았다.


주최측인 김안과병원에서도 지금까지 많은 노하우를 쌓아온 장재우부원장, 최혜선 성형안과센터장, 김지형교수 등이 눈꺼풀수술과 관련된 연제를 발표했다. 이 덕분에 심포지엄이 열린 김안과병원 명곡홀은 시작부터 끝까지 만석을 유지했다.


김용란원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심포지엄은 성형안과 분야에서 저명한 선생님을 모시고 임상에서 흔히 만나는 고민들에 대한 해법을 찾아보는 시간”이라며, “특히 고수 분들의 다양한 임상경험과 실제적인 노하우가 준비되어 있어 선생님들의 성공적인 수술을 위한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은 모두 4부로 나뉘어 진행하였으며, 각 세션별 주제와 발표자는 아래와 같다.


◈Session I Lacrimal drainage system(좌장: 누네안과병원이태수, 성모안과병원 노주헌)
▶성공적인 눈물길 수술을 위한 코눈물관 및 코의 해부생리학 (충남대 이성복) ▶영유아에서 눈물흘림은 언제, 어떻게 치료할까요? (부산대 최희영) ▶성인에서눈물흘림의 원인과 치료는? (중앙대 이정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다양한 합병증 (영남대 손준혁) ▶눈물길 내시경의 유용성 (가톨릭대 박주완) ▶DCR 수술 후 눈물흘림증이 호전이 안될 때 어떻게 할까요? (인제대 양재욱)


◈Session II Upper blepharoplasty I(좌장: 정화선안과 정화선, 원광대 김상덕)
▶눈꺼풀수술을 위한 임상 해부학 (서울대 김남주) ▶눈꺼풀 수술을 위한 수술 전 검사 및 수술 방법의 선택 (아주대 국경훈) ▶매몰법 쌍꺼풀 수술 – 간단하고 다양한 술기 익히기 (연세대 윤진숙) ▶눈썹아래절개를 이용한 위눈꺼풀성형술 (김안과병원 최혜선)


◈Session III Upper blepharoplasty II(좌장: 김안과병원 김성주, 동아대 안희배(
▶쌍꺼풀 모양과 높이 결정하는 방법 (김안과병원 장재우) ▶쌍꺼풀을 만드는 방법: 고정은 어디에 무엇으로 할까? (밝을명안과 최웅철) ▶내안각성형술 후 보기 싫은 안쪽눈구석을 피하는 방법: 증례를 중심으로 (김안과 김지형) ▶노년층에서가쪽눈꺼풀피부처짐 부족 교정을 예방하는방법 (전북대 안민) ▶노년층에서 안쪽 주름과 webing을피하는 방법 (고려대 백세현) ▶눈꺼풀처짐환자에서 쌍꺼풀수술은 무엇이 다른가? (성균관대 우경인)


◈Session IV Upper blepharoplasty III(좌장: 서울대 곽상인, 경상대 서성욱)
▶안과의사를 위한 얼굴레이저 치료의 길잡이 (동안중심의원 조창환) ▶눈썹처짐 정도에 따른 수술 방법은? (한길안과 이상언선생님) ▶내시경을 이용한 눈썹처짐 수술 (조선대 최지윤) ▶무엇이 잘못되었나? 초심자가 경험한 위눈꺼풀성혈술 (조선대 양성원) ▶내가 치료한 위눈꺼풀성혈술 합병증 증례(1) (성균관대 김윤덕) ▶내가 치료한 위눈꺼풀성혈술 합병증 증례(2) (이상열안과 이상열)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청국장, 해바라기유 등 소비기한 참고값 추가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소비기한 표시를 준비하는 식품 영업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2022년부터 2024년 12월 13일까지 150개 식품유형의 1,159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을 공개한 데 이어, 청국장, 해바라기유 등 107개 식품유형 291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을 추가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소비기한 참고값은 식약처가 식품별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실시한 후 적정한 수준을 정해 제시하는 잠정 소비기한으로, 영업자는 자사가 제조‧판매하는 제품의 특성, 포장 방법, 유통 환경 등을 고려해 소비기한 설정보고서에 제시된 품목 중 가장 유사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 범위 내에서 자사 제품의 소비기한을 정할 수 있다.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소비기한 설정기준(식약처 고시)에 따라 소비기한 설정 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실시해야 하나, 실험 대신 소비기한 설정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인용하여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 식약처는 자체적으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식품공전에 규정된 200개 식품유형을 대상으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참고값을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