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3.0℃
  • 구름많음강릉 18.9℃
  • 맑음서울 13.7℃
  • 구름조금대전 15.8℃
  • 구름조금대구 12.3℃
  • 구름많음울산 15.1℃
  • 구름조금광주 12.8℃
  • 구름조금부산 13.5℃
  • 구름많음고창 14.3℃
  • 구름많음제주 13.8℃
  • 구름조금강화 9.2℃
  • 맑음보은 8.6℃
  • 맑음금산 14.8℃
  • 맑음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사용 금지 센나엽 변비차로 둔갑 판매 '덜미'

위장장애, 구토를 일으킬 수 있는 현오차를 허위․과대광고 하여 2억원 챙겨

식약청(청장 노연홍)은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센나엽’을 사용해 ‘현오차(茶)’를 만들어 인터넷과 약국에 판매한 경기 구리시 소재 현오당 대표 김 모씨(남, 54세)와 의약품도매상 미향약품 이사 이 모씨(남, 50세)를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하였다.

조사결과, 현오당 대표 김 모씨는 ‘센나옆 80%, 녹차 20%’ 또는 ‘센나엽 100%’를 전남 보성군 소재 제조업소에 위탁생산 하였으나, 실제와 달리 포장지 성분명칭을 ‘연잎 80%, 녹차 20%’ 또는 ‘연잎 100%’로 허위표시 하여 ’06년 1월부터 ’11년 2월까지 531,000개(1.2g×25티백)  1억8천만원 상당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판매하였다.

또한, 의약품도매상 미향약품 이사 이 모씨는 ‘현오차’의 유통기한을 3년 이상 연장하여 1,278개(1.2g×25티백), 1,278만원 상당의 제품을 미향약품 거래 전국 480여개 약국을 통해 ‘변비 특효식품’으로 허위․과대광고 하여 판매한 사실이 드러났다.

 ‘현오차’에 사용된 ‘센나엽’은 의약품 원료로서 설사를 일으키는 자극성 하제 성분으로 남용하게 되면 위장장애, 구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 복용 시 위경련, 만성변비, 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 때문에 식품 원료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식약청은 이번에 적발된 불법제품을 강제 회수토록 조치하였으며,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한 경우 섭취를 중단하여 줄 것을 당부하면서, 앞으로도 부정 식․의약품을 판매하는 위해사범에 대하여 계속 수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센나엽(Senna Leaf)이란?

콩과에 속하는 작은 잎으로서, 주성분은 안트라퀴논류(anthraquinone)인 센노사이드(C42H38O20)로 1.0%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센나엽은 아프리카, 중동, 인도, 중국 등에서 재배되며, 우리나라는 인도, 중국에서 원료의약품 한약재로 수입하여 의약품 원료로 사용된다.

이 잎은 강렬한 사하(瀉下, 설사)작용 등 독성이 강하여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없어 의약품의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강력한 변통제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병세를 악화시키거나 장 무력증 유발로 변비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신체가 허한 환자, 임산부, 장기간 복용을 금기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