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흐림동두천 13.1℃
  • 흐림강릉 8.9℃
  • 구름많음서울 18.3℃
  • 맑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17.8℃
  • 구름많음울산 15.9℃
  • 맑음광주 17.9℃
  • 부산 16.6℃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20.5℃
  • 구름많음강화 15.9℃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20.9℃
  • 맑음강진군 15.3℃
  • 구름조금경주시 17.0℃
  • 맑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전남대병원 혈전제거술 환자 5년새 24% 증가...60대 이상 환자 10명 중 8명

최근 5년간 허혈성 뇌졸중 환자 603명 조사,위험요인 중 고혈압 58%, 심장세동 35%, 흡연 28%

# 69세 남성이 갑작스러운 언어장애와 함께 오른쪽 팔과 다리에 마비증상이 있어 전남대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신속한 MRI 검사 결과 뇌경색과 왼쪽 중뇌동맥의 폐색이 확인되어 영상의학과 인터벤션실로 옮겨져 응급 혈전제거술을 받았으며, 시술 직후 환자는 언어장애 및 마비증상이 회복됐다.


뇌혈관이 막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혈전제거술을 받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가 5년새 24% 증가했다.

또 혈전제거술 환자 중 60대 이상의 환자가 10명 중 8명이며, 위험인자로는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가 57%로 가장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전남대병원 영상의학과가 최근 5년간(2013~2017년) 혈전제거술을 받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603명에 대한 조사·분석에서 나타났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뇌신경 세포를 손상시킴으로써 의식·언어장애, 팔다리 마비 등을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며, 치료법으로 혈전제거술과 혈전용해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혈전제거술은 2013년 111건, 2014년 114건, 2015년 116건, 2016년 124건, 2017년 138건으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5년새 24%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대별로는 70대(70~79세)가 219건으로 36%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60대 22.3%(135건)·80대 이상 24%(143건)·50대 12%(72건)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60대 이상의 환자가 무려 10명 중 8명에 달해 뇌졸중이 고령질환임을 보여줬다.

성별로 보면 남성 308명, 여성 295명으로 큰 차이 없었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고혈압·심방세동·흡연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경우가 57.5%(347명)로 가장 많았으며 불규칙한 맥박이 형성되는 심방세동 35.2%(212명), 흡연 27.7%(167명)로 나타났다.


또 전체 환자 중 절반에 가까운 49%(296명)는 먼저 혈전용해술을 시행했으나 치료에 대한 반응이 없어 혈전제거술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전남대병원의 혈전제거술 성공률은 90%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환자 예후 개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혈전제거술을 시행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혈전제거술은 막힌 부위에 따라 증상 발생 8~12시간 이내 시행할 수 있으며, 정맥 내 혈전용해술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시술은 전신마취 하지 않고, 허벅지 부위를 5mm 이내로 절개해 혈관 속에 도관을 삽입해 시행한다.


전남대병원 영상의학과 윤웅 교수는 “혈전제거술은 최근 급성 뇌졸중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아 시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면서 “무엇보다 뇌졸중 발생이 의심된다면 최대한 빨리 혈전제거술을 받을 수 있는 대학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경동맥 협착증 스텐트 삽입 후 1년 이상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 관행...바뀌나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신경과 유준상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서권덕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의 적정한 기간을 제시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받을 수 없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게 주로 시행한다.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스텐트 내 혈전증, 허혈성 뇌졸중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포함한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을 권고한다. 이 경우 합병증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출혈 위험은 커진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는 관행적으로 1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기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아직 없다. 이에 연구팀은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에 따라 구분해 허혈성 뇌졸중 및 주요 출혈(뇌출혈, 수혈을 동반한 장 출혈)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은 단기(3~6개월), 장기(6개월 이상)로 나누고, 시술 후 3개월부터 15개월 사이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