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맑음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7.1℃
  • 맑음서울 5.4℃
  • 구름많음대전 6.1℃
  • 구름많음대구 8.0℃
  • 흐림울산 10.1℃
  • 구름많음광주 5.7℃
  • 흐림부산 9.8℃
  • 구름많음고창 3.8℃
  • 흐림제주 7.9℃
  • 맑음강화 4.7℃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많음금산 5.3℃
  • 흐림강진군 6.9℃
  • 흐림경주시 9.8℃
  • 흐림거제 9.2℃
기상청 제공

국내 첫 간이식 수여자 여전히 생존...서울대병원 간이식 성공 30주년

생체간이식, 복강경 공여자수술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

  1988년은 서울올림픽이 열려 변방의 대한민국이 전세계에 알려지는 계기가 됐다. 30년 전 바로 이 해 아시아에서 최초로 성공한 간이식 수술은 현재 ‘의료한류’라고 일컬어 질 만큼 눈부시게 발전한 한국의료의 세계 무대 첫 등장이었다.


  서울대병원은 14일, 의생명연구원에서 국내 최초 간이식 성공 3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초 간이식 주역인 김수태 명예교수를 비롯해 이건욱 명예교수, 서경석 교수 등 간이식 명의들이 참석해 30년 간의 역사를 회고하고 기념했다.


  간이식은 1967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이후 국내에서는 1988년 서울대병원 외과 김수태 교수 팀이 윌슨병을 앓고 있던 환자에게 국내 최초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당시 14세였던 환자 이선화 씨는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어 국내 간이식 최장수 생존자다.


  우리나라 간이식 성공률은 세계적 수준이다. 가장 까다롭다고 알려진 성인 간 생체 간이식 성공률에서도 최근 99% 이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시작한 미국, 독일 등 선진국 평균 성공률인 90% 보다도 훨씬 앞서는 수치다. 수술 시간도 다른나라 평균 12시간보다 절반 밖에 소요되지 않아 환자 회복 속도도 빠르다.


  30년 간이식 수술의 노하우를 가진 서울대병원 간이식팀은 지금까지 1천3백례 이상의 기증자 간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특히 복강경 절제술은 3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올해 중반 세계 최초의 200례 달성이 예상되며 완벽한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호주, 대만, 중국, 호주, 카자흐스탄 등 세계 각국에서 한국의 간이식 기술을 배우기 위해 방한하고 있다.
 
  김수태 명예교수는 “당시 열악한 환경였지만 꼭 성공시켜야 겠다는 의지가 성공의 가장 큰 원천이었다. 끊임없는 도전과 노력으로 한국 의료발전에 이바지하라”고 후배 의사들에게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껑충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는 같은 나이의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약 1.9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외상성 뇌손상 후 1년이 지나도 뇌졸중 위험이 크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청장년층은 혈당·혈압·콜레스테롤 등 뇌졸중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이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후향적으로 비교한 연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뇌졸중은 고령층의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최근 청장년층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50대 미만의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18-49세 인구 104만명의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