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한국 임상의사 수, OECD 국가 중 꼴찌... 인구 천 명당 OECD 평균 3.3명 보다 훨씬 못미친 2.3명

MRI 보유 대수는 인구 백만 명당 27.8대로 OECD 평균(16.8대)보다 훨씬 높아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18」의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위치․현황 등을 분석하였다고 밝혔다.

「OECD 보건통계」는 건강상태, 보건의료자원 및 이용, 의약품 등 보건의료 전반의 통계를 담은 데이터베이스(DB)이다. 이 DB는 회원국의 보건수준을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할 수 있어 국가별 수준비교와 각국의 정책 기초자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OECD는 국제기구의 공통 지침을 기반으로 작성된 회원국의 통계를 제출받아 해당 자료를 매년 업데이트해오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OECD 보건통계」내용은 크게 비의료적 건강요인, 건강상태, 보건의료이용, 보건의료자원, 의약품 판매․소비, 장기요양 등으로 분류되며, 주로 2016년 기준의 수치를 수록하고 있다.

ㅡ흡연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비율은 18.4%로 OECD 평균(18.5%)보다 다소 낮지만, 남자의 경우는(32.9%) 터키(40.1%), 라트비아(36.0%), 그리스(33.8%) 다음 순으로 높았다.

 국가별로는 여자흡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그리스(27.3%)와 주류소비량이 적은 터키(26.5%)의 흡연율이 가장 높았다.

【흡연율(2016)】(단위: %)

 

멕시코

아이슬란드

한 국

라트비아

터키

그리스

OECD 평균

흡연율

7.6

10.2

18.4

24.1

26.5

27.3

18.5

남 자

11.9

9.5

32.9

36.0

40.1

33.8

23.0

여 자

3.6

10.8

4.1

14.5

13.3

21.4

14.4

 

ㅡ주류소비량

‘16년 순수알코올*을 기준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연간 8.7리터로 OECD 평균(8.8ℓ)과 유사한 수준이다.

 OECD 국가별로 비교해 보면, 프랑스와 체코의 주류 소비량이 각각 11.7리터로 가장 높았고, 터키(1.3ℓ)가 가장 낮았다.

【주류 소비량(2016)】(단위: 순수알코올 리터(ℓ))

 

터키

이스라엘

한 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체코

OECD 평균

주류 소비량

1.3

2.6

8.7

11.4

11.7

11.7

8.8

 

ㅡ과체중 및 비만

비의료적 건강 결정요인 중 하나인 ‘과체중 및 비만인구 비율’은 ’16년 34.5%로 일본(25.4%)에 이어 낮았다.아울러, 남미지역인 칠레(74.2%)와 멕시코(72.5%)는 국민 10명 중 7명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 및 비만인구 비율(2016)】(단위: %)

 

일본

한 국

포르투갈

미국

멕시코

칠레

OECD 평균

전 체

25.4

34.5

67.6

71.0

72.5

74.2

58.1

남 자

31.3

40.5

70.3

74.1

69.4

73.6

61.8

여 자

20.6

28.5

65.2

67.9

75.6

74.9

54.4

 

ㅡ기대수명

‘16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2.4년으로 OECD 국가들의 평균(80.8년)보다 1.6년 길었으며,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일본으로 84.1년이다.생활환경의 선진화, 교육수준의 향상 및 의료서비스 발달 등으로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의 기대수명이 전년 대비 동일하거나 증가하였다.

 

【기대수명(2016)】(단위: 년)

 

라트비아

미국

한 국

스페인

스위스

일본

OECD 평균

기대수명

74.7

78.6

82.4

83.4

83.7

84.1

80.8

남 자

69.8

76.1

79.3

80.5

81.7

81.0

78.1

여 자

79.6

81.1

85.4

86.3

85.6

87.1

83.4

 

ㅡ영아사망률

‘16년 한국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 명당 2.8명으로 OECD 평균(3.9명)보다 1.1명 낮았다.국가별로는 아이슬란드가 0.7명으로 가장 적고, 멕시코가 12.1명으로 제일 높았다.

【영아사망률(2016)】(단위: 명/출생아 1,000명)

 

아이슬란드

핀란드

일본

노르웨이

한 국

멕시코

OECD 평균

영아 사망률

0.7

1.9

2.0

2.2

2.8

12.1

3.9

 

ㅡ저체중아

출생 당시 체중이 2.5kg 미만인 신생아(저체중아)의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5.9%로 OECD의 6.6% 보다 0.7%p 낮았다.OECD 국가 중 저체중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과 그리스로 각각 9.4명으로 집계되었다.


ㅡ사망률

OECD가 산출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68.4명으로 멕시코(114.7), 터키(160.8)에 이어 3번째로 낮으며, OECD 평균 201.9명 대비 33.5명 적었다.전체 OECD 국가에서 남자의 암 사망률이 여자보다 높았는데, 남자는 인구 10만 명당 264.3명, 여자는 160.0명으로 성별 간 100여명의 차이를 보였다.

【암에 의한 사망률(2015)】(단위: 명/인구100,000명)

 

멕시코

터키

한 국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헝가리

OECD 평균

암사망률

114.7

160.8

168.4

243.3

258.6

278.8

201.9

남 자

129.0

236.4

259.0

336.9

367.0

383.9

264.3

여 자

105.3

102.6

111.1

183.9

191.5

212.0

160.0

 

ㅡ심혈관계질환

총 사망건수의 30%를 차지하는 심혈관계질환의 경우,  허혈성심장질환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37.1명으로 일본(32.3명) 다음으로 낮은 한편, 뇌혈관질환 사망(61.7명)은 OECD 평균 수준이었다.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OECD 국가의 성별 사망률을 보면, 남자 평균이 인구 10만 명당 147.1명으로 여자(80.3명) 보다 약 67명 높았다.


【허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2015)】(단위: 명/인구100,000명)

 

일본

한국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라트비아

OECD 평균

사 망 률

32.3

37.1

206.6

277.3

290.8

320.9 

108.5

남 자

47.2

48.2

267.2

357.5

359.9

446.7 

147.1

여 자

20.6

28.8

163.5

224.2

244.2

249.3 

80.3

 

 ㅡ호흡기계질환

‘15년 우리나라 호흡기계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76.2명으로 OECD 평균인 66.1명에 비해 10여명 높았다.

【호흡기질환에 의한 사망률(2015)】(단위: 명/인구100,000명)

 

핀란드

라트비아

한 국

멕시코

영국

터키

OECD 평균

사망률

27.2

29.0

76.2

94.5

108.7

110.9

66.1

남 자

41.7

58.2

122.9

118.6

127.3

156.0

88.7

여 자

18.0

14.3

52.5

76.9

95.6

80.1

52.0

 

ㅡ임상의사

우리나라의 임상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천 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다.  ( OECD 평균: 3.3명).

의대 졸업자 수도 인구 십만 명당 7.9명으로 OECD 평균(12.1명)에 훨씬 못 미칠 뿐만 아니라 아일랜드(24.4명) 등 일부 국가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임상의사수 (2016)】(단위: 명/인구1,000명)

 

한국

멕시코

미국

프랑스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OECD 평균

임상의사수

2.3

2.4

2.6

3.1

4.5

5.1

3.3

 

【의대 졸업자수 (2016)】(단위: 명/인구100,000명)

 

일본

한국

이탈리아

포르투갈

덴마크

아일랜드

OECD 평균

졸업자수

6.7

7.9

12.4

16.4

22.1

24.4

12.1

 

ㅡ임상간호사

‘16년 우리나라의 임상간호사(간호조무사 포함) 수는 인구 천 명당 6.8명으로 OECD 국가 평균(9.5명)보다 2.7명 적으며,노르웨이(17.5명)와 스위스(17.0명)가 가장 많은 임상간호 인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임상간호사수(2016)】(단위: 명/인구1,000명)

 

멕시코

스페인

한국

캐나다

스위스

노르웨이

OECD 평균

임상간호사수

2.9

5.5

6.8

9.9

17.0

17.5

9.5

 

ㅡ외래 진료

16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7.0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고, 이는 회원국들의 평균(7.4회)보다 2.3배 높은 수준이다.

 일본(12.8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외래 진료횟수가 많고, 스웨덴(2.8회)과 멕시코(2.9회)가 ‘3회 미만’으로 가장 적었다.
[ 국민 1인당 의사 외래진료 수진횟수 (2016) ]

16년 우리나라의 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8.1일로 OECD 중 일본(28.5일) 다음으로 길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의 평균 재원일수는 ‘10일 미만’으로 집계되었다. (※ OECD 평균:8.3일)

 
ㅡ병상 수

‘16년 한국의 총 병원병상 수는 인구 천 명당 12.0병상으로 일본(13.1병상)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 4.7 병상).지난 5년간 우리나라와 터키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OECD 국가 병상 수가 줄어든 반면, 우리나라는 1.3배 증가.

【총 병원병상 수 (2016)】(단위: 병상 수/인구1,000명)

 

멕시코

터키

프랑스

독일

한국

일본

OECD 평균

병상 수

1.5

2.8

6.1

8.1

12.0

13.1

4.7

 

 ㅡ자기공명영상(MRI) 장비

우리나라의 MRI 보유 대수는 인구 백만 명당 27.8대로 OECD 평균(16.8대)을 훨씬 상회하였으며, 국가별로는 일본(51.7대)이 가장 많고 미국(36.7대)과 독일(34.5대)이 그 뒤를 이었다.

【MRI 장비 보유 대수 (2016)】(단위: 대수/인구1,000,000명)

 

멕시코

스페인

한국

독일

미국

일본

OECD 평균

MRI 보유 

2.6

15.9

27.8

34.5

36.7

51.7

16.8

 

 ㅡ컴퓨터단층촬영기(CT스캐너))

OECD에서 파악하고 있는 국가별 CT 스캐너의 경우, 우리나라는 인구 백만 명 당 37.8대를 보유하여 OECD 평균(26.8대) 보다 상위에 위치한 한편,스페인, 영국 등 17개국은 CT 보유대수가 20대 이하로 집계되었다.

【CT 스캐너 보유 대수 (2016)】(단위: 대수/인구1,000,000명)

 

멕시코

영국

스페인

한국

호주

일본

OECD 평균

CT 보유

6.1

9.5

18.3

37.8

63.0

107.2

26.8

 

ㅡ수술

우리나라 관상동맥우회로이식 협심증으로 막힌 혈관을 대체할 수 있는 혈관을 우회적으로 연결하여 심장에 혈류를 제공하는 것임. OECD는 심장질환이 입원과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는 관점에서 이 수술이 심장질환의 치료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에서는 특히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수술은 인구 십만 명당 7.7건으로 OECD 평균(37.6건)의 약 20% 수준이다.

 ‘15년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천 명당 394.0건으로 OECD 국가 중 터키(531.5건)에 이어 많이 실시하였으며, 전체 회원국의 평균은 264.0건이었다.

  

ㅡ의약품 판매액

16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589.1US$PPP로, OECD 평균(448.9 US$PPP) 보다 140.2US$PPP 높았다. 국가별로는 벨기에(685.5), 체코(635.3), 캐나다(623.9), 스위스(618.5)의 의약품 판매액이 1인당 600 US$PPP를 넘으면서 한국보다 많았다.

 ’16년 국내에서 소비된 총 의약품의 양은 ’15년 대비 19.6% 늘어난데 반해, 판매액은 7.3% 증가로 소비량의 증가폭보다 낮았는데, 이는 ①보험적용 확대 ②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활성화 등 다양한 요인의 약가 인하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6년 항우울제 소비량은 19.9DDD/1,000명/일(이하 DID) DID: Defined daily dosage(DDD) per 1,000 inhabitants per 로 OECD 평균 62.2DID의 약 1/3 수준이며, 항우울제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는 아이슬란드(135.9), 호주(106.7)와 영국(100.1)이다.우리나라의 항생제 소비량은 34.8DID로 터키(40.6)와 그리스(36.3) 다음으로 많았고, OECD 평균(20.8DID)에 비해서는 1.7배 높았다.

 

ㅡ경상의료비

보건의료부문 서비스 및 재화에 소비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의미하는 한국의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잠정)는 ‘17년 2,897US$PPP로, OECD 평균(4,069 US$PPP)보다 낮았다. ‘17년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7.6%로 OECD 평균(8.9%)에 비해 다소 낮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