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제약산업계, 고용 창출 ‘양과 질’ 모두 A+...최근 10년간 연구직 53%, 생산직 43% 증가

올해 상반기에만 3,286명 신규 채용... GC녹십자,한미약품, 대웅제약, 휴온스 200명 이상 신규 고용

사회 전반의 극심한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제약산업계는 지속적으로 일자리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자체 조사 결과 2018년 상반기에만 201개 국내 제약기업들이 3,286명의 인력을 신규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표1 참조>


이 기간 동안 100명 이상의 인력을 채용한 제약기업은 모두 8곳으로 나타났다. 기업체별로는 GC녹십자가 333명으로 가장 많았다. 한미약품(262명)과 대웅제약(229명), 휴온스(219명)는 200명 이상을 신규 고용했다. 이어 종근당(188명), 보령제약(140명), 유한양행(111명), 동아ST(104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별개로 협회가 자체 집계·발표한 ‘제약업계 고용현황’에 따르면 제약업계는 최근 10년간 매해 평균 2.7%씩 고용을 늘려온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구개발직과 생산직 인력이 과거보다 대폭 늘어 제약산업계가 양질의 의약품 개발과 품질관리 분야의 비중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제약업계의 종사자수는 9만 5,524명(2017년말 기준)으로, 10년전인 2008년(7만 5,406명) 보다 2만 118명이 늘었다.<표2 참조> 퇴직자 감안시 단순 계산으로 매해 2,000명 이상을 신규 고용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직군별 고용증가율을 보면 지식기반산업에 걸맞게 연구직의 고용확대가 두드러진다. 연구직 인력은 1만 1,925명으로 2008년(7,801명) 대비 52.9%나 뛰었다.


그 뒤를 생산직이 잇고 있다. 생산직 종사자는 2008년 2만 3,212명에서 지난해 3만 3,129명으로 42.7% 증가했다. 사무직도 같은 기간 28.4% 늘었다. 반면 영업직은 2008년 2만 6,721명에서 2017년 2만 5,618명으로, 4.1% 축소됐다.


이에 따라 10년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영업직(35.4%)은 지난해 26.8%로 10%p 가까이 감소해 2위로 하락했다. 반면 생산직은 30.8%에서 34.7%로 비중이 늘면서 1위로 올라섰다. 사무직은 3위, 연구개발직은 4위로 나타나 순위 변동은 없었다.


그런가하면 향후 제약산업의 일자리 창출 전망도 매우 낙관적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의 취업자 증가율(2016~2026년)은 3.4%로, 22개 업종의 제조업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제조업 평균(0.5%)의 7배, 전 산업 평균(0.7)의 5배에 근접하는 수치다. 22개 업종 중에서 3%대의 전망치는 의약품제조업이 유일하다.


한편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오는 9월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지하 1층 그랜드홀과 2층 등에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박람회에서는 주요 제약·바이오기업이 참여해 채용상담과 면접, 직무별 1:1 멘토링, CEO특강, 취업전략 컨설팅 등을 진행할 예정이며, 제약산업계의 하반기 채용 계획이 현장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1. 2018년 상반기 신규 채용 100명 이상 제약기업 현황

 

 

기업체명

채용 인원()

GC녹십자

333

한미약품

262

대웅제약

229

휴온스

219

종근당

188

보령제약

140

유한양행

111

동아ST

104

 

 

 

 

 

 

2. 제약업계 고용 현황

 

 

연도

인원()

사무직

영업직

연구직

생산직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

(%)

()

(%)

()

(%)

()

(%)

()

(%)

2008

75,406

14,009

18.58

26,721

35.44

7,801

10.35

23,212

30.78

3,663

4.86

2009

81,227

15,926

19.61

27,520

33.88

8,648

10.65

24,388

30.02

4,776

5.88

2010

77,314

14,792

19.13

26,626

34.44

8,699

11.25

24,050

31.11

3,147

4.07

2011

74,477

14,426

19.37

24,535

32.94

8,765

11.77

23,539

31.61

3,212

4.31

2012

78,325

15,413

19.68

24,714

31.55

9,888

12.62

24,966

31.87

3,344

4.27

2013

88,545

16,598

18.75

25,889

29.24

10,613

11.99

28,226

31.88

7,219

8.15

2014

89,649

17,001

18.96

25,496

28.44

10,594

11.82

29,592

33.01

6,966

7.77

2015

94,507

19,115

20.23

25,747

27.24

11,057

11.70

31,664

33.50

6,927

7.33

2016

94,925

17,604

18.55

26,443

27.86

11,862

12.50

32,104

33.82

6,916

7.29

2017

95,524

17,984

18.83

25,618

26.82

11,925

12.48

33,129

34.68

6,868

7.19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