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스마트폰 질환 ‘거북목 증후군’ 예방법 모든것

생활습관 개선 중요..의자에 앉을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서 있을 때도 어깨와 허리를 편 자세를 유지해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에 관한 질병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3~2017 스마트폰 관련 질병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86만6511명(중복포함)이 스마트폰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보고됐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스마트폰 질병인 거북목 증후군의 경우, 환자수가 △2013년 239만4037명 △2014년 257만5406명 △2015년 260만6414명 △2016년 270만2398명 △2017년 278만 716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밖에 안구건조증은 2013년 211만 8931명에서 2017년 232만 9554명으로 21만명 정도 증가했으며, 터널증후군은 2013년 17만6514명에서 2017년 18만 7937명으로 1만여명 늘어났다.


이와 같은 질병은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스마트폰, 컴퓨터 주변장치 등의 장시간 사용으로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특히 현대인들이나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는 신종 직업병 중 하나로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의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발병률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이란?
흔히 일자목이라고 불리는 거북목 증후군은 고개를 숙여 책이나 화면을 보는 습관에서 비롯된다. 우리 목은 7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고 앞쪽으로 볼록하게 휜 알파벳 C자 모양으로 되어 있지만, 목을 길게 빼고 눈높이보다 낮은 화면을 지속적으로 보면 목뼈의 모양이 C자형에서 일자모양으로 뻣뻣해지는 거북목 증후군이 생기게 된다. 

거북목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에는 뒷목의 뻐근함이나 어깨 통증, 눈의 피로 등이 있다. 만약 증상이 심각해지면 머리와 목뼈 사이의 신경이 눌려 두통, 수면 장애 목 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거북목 증후군, 보톡스로 치료 한다?
거북목 증후군은 도수치료와 인대 강화 주사요법 등으로 개선할 수 있다. 손으로 관절을 교정하는 도수치료는 경추의 정렬을 회복시켜주고 경직된 경추 주위의 근육 이완과 근력 강화를 통해 목뼈로 가는 부하를 줄여준다. 또, 인대 강화 주사요법의 경우 늘어나고 손상된 인대를 재생시키는 주사제를 주입해 통증 개선을 돕는다.

주로 거북목 치료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정형외과 치료를 가장 먼저 떠올리겠지만 성형외과에서도 ‘보톡스’를 통해 목 뒤의 뻐근함이나 근육 뭉침 현상을 치료할 수 있다.

그랜드성형외과병원 이세환 원장(성형외과 전문의)은 “보통 거북목 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은 목 주변의 근육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승모근이 뻐근해지거나 뒷목이 뻣뻣한 느낌을 받는다. 목 근육이 만성적으로 뭉쳐 있는 부위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딱딱하게 굳어 있는 근육이 이완 효과로 인해 풀어지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거북목 증후군, 치료 앞서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 중요
 한편, 거북목 증후군은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에 앉을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 턱을 자연스럽게 당겨 반듯한 자세를 유지하며 서 있을 때도 어깨와 허리를 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사용 시 모니터를 대략 자신의 눈높이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고, 마우스와 키보드는 가급적 몸에 가깝게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중간 중간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어깨와 목 주변의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밖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최대한 팔을 올린 채 눈높이와 비슷한 높이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구바이오제약, 비뇨기 질환 치료제 시장 선두주자로 나서나...‘쎄닐톤에이캡슐’ 발매 눈앞 동구바이오제약은 9월 1일 양성 전립선비대증과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치료제 ‘쎄닐톤에이캡슐’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호밀·큰조아재비·옥수수 화분 추출물 성분을 함유한 이번 제품은 항염증, 항증식, 평활근 조절 작용을 갖추고 있으며, 주성분은 기존 ‘쎄닐톤정’ 개발사인 스웨덴 Cernelle사가 생산한 원료와 동일한 제형을 적용했다. ‘쎄닐톤에이캡슐’은 동구바이오제약에서 단독으로 판매된다. ‘쎄닐톤에이캡슐’은 대학병원을 포함한 전국 모든 병∙의원에서 처방 가능하며, 대한비뇨의학회, 대한전립선학회, 대한남성과학회,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등 다양한 학회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양성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배뇨장애 개선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유일하게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증 적응증을 보유한 치료제로 하부요로증상 치료제 시장 확대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2024년 기준 국내 전립선비대증 환자 수는 약 158만 명으로, 2020년 대비 약 21% 증가했다. 유병률은 40대 이후 남성의 30~40%에 이르며, 대표적인 치료제로는 알파차단제(탐스로신 등)와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두타리드 등)가 있다. ‘쎄닐톤에이캡슐’은 특히 탐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당뇨병 환자, 하지 통증 줄이는 척추 주사인 ‘신경차단술' 가능 하다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영준·이준우 교수 연구팀은 다리 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도 비당뇨인과 마찬가지로 척추주사 시술을 통해 통증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단, 통증이 만성적이거나 강도가 낮으면 치료 효과가 떨어져 전문의의 면밀한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기능에 이상이 생기며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녹내장, 신부전, 신경손상 등 전신 장기에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이 유발하는 합병증들은 그 자체도 위협적이지만,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 혼동을 유발한다는 점도 문제다. 하지(다리) 통증이 대표적이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과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 모두 다리 통증을 유발하며, 이들 중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가려내기 어렵다. 당뇨병이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는 등 두 질환 간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하면 진단은 더욱 복잡해진다. 이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척추질환에 의한 다리 통증에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척추주사’ 시술을 받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로도 알려진 이 시술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