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코성형 트랜드가 바뀌고 있다"

복을 부르는 복코는 옛말.. 이제는 콧볼 축소

코가 두툼하고 큰 얼굴을 보며 옛 어른들은 복이 넝쿨째 굴러 들어오는 인상이라 불렀다.

 

전통적으로 코 끝의 살이 도톰하거나 코의 너비가 넓은 코를 복코’ 혹은 주먹코라 부른다관상학적으로 재물복이 있고 대인관계가 원만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옛 어른들이 선호했다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얼굴의 미적인 균형감을 더 중요시하게 되면서 복코는 일종의 콤플렉스가 됐다.

 

특히 콧볼의 경우 얼굴 가로 길이의 1/5 정도 차지하는 것을 이상적인 비율로 여기는데이보다 콧볼이 넓거나 코가 뭉툭할 경우 답답하고 둔해 보이거나 세련되지 못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복코의 유형은 다양하다콧방울의 연골이 발달해 콧볼이 넓어진 경우가 있는가 하면코의 살이 많거나 피부가 두꺼워 콧볼이 넓은 경우도 있다동양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코가 복코로 보이게 하는 특징인 콧볼 너비를 줄이는 콧볼축소술에 대해 특히 젊은 층에서 관심이 높다.

 

성형수술 중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쌍꺼풀’ 키워드와 콧볼을 줄이는 방법인 콧볼축소’ 키워드의 지난 1년간 검색량(2018 10~2019 9네이버 기준)을 조사한 결과 10대 이하에서 일평균 쌍꺼풀 35콧볼축소 14, 30대에서 일평균 쌍꺼풀 29콧볼축소 12, 40대에서 일평균 쌍꺼풀 19콧볼축소 6건을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대에서는 쌍꺼풀 일평균 29콧볼축소 26건으로 다른 연령대와 달리 콧볼축소에 대한 검색량이 쌍꺼풀에 대한 검색량과 비슷하게 나타났다다른 연령대보다 콧볼축소에 대한 20대의 관심을 엿볼 수 있는 결과다.

 

복코 수술이라고도 부르는 콧볼축소술은 코 모양을 이목구비 비율에 맞게 양쪽 콧볼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으로콧볼 옆 부분이나 콧속 내측을 절개하는 방식의료용 실이나 의료용 탄력 밴드를 사용해 양 콧볼을 당겨주는 비절개 방식 등이 있다.

 

학업이나 직장 생활을 해야 하는 20대의 경우 수술 시간이 비교적 짧고 수술 흔적이 적으며 차후 수정이 가능한 비절개 방식에 대한 문의가 많은 편이다.

 

 박신기 원장(성형외과 전문의)은 코가 뭉툭한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도드라진 코 모양 때문에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최근에는 콧볼축소술이 알려지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이를 개선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