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4.8℃
  • 흐림강릉 18.2℃
  • 연무서울 16.8℃
  • 구름조금대전 17.7℃
  • 맑음대구 19.9℃
  • 맑음울산 20.0℃
  • 박무광주 18.5℃
  • 구름많음부산 17.5℃
  • 맑음고창 17.4℃
  • 제주 17.2℃
  • 흐림강화 12.5℃
  • 구름많음보은 17.3℃
  • 구름많음금산 17.2℃
  • 구름많음강진군 17.5℃
  • 맑음경주시 19.2℃
  • 구름많음거제 17.4℃
기상청 제공

화일약품, 170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신약, 바이오베터 개발 및 M&A를 통한 성장 추진

화일약품(061250)은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통한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크리스탈지노믹스(083790)를 대상으로 보통주 총 2,882,191주를 주당 5,902원에 배정하는 총 17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8일 공시했다.


화일약품은 원료의약품(API) 전문기업으로서 400여개 이상의 거래처를 기반으로 매년 1천억원 이상의 안정적인 매출과 5% 이상의 영업이익율을 기록하는 등 재무적 건전성이 우량한 기업임에도 신약개발 등 성장 잠재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시장에서 저평가를 받아왔으나, 이번 증자를 통해 활발한 오픈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하여 신약 및 바이오베터 라이선스인, M&A 등 다양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신약개발 현황으로는 크리스탈지노믹스에서 개발중인 신약 CG-549(슈퍼박테리아 항생제) 및 CG-745(분자표적항암제-췌장암,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의 원료를 합성, 공급 중이며, 그간 크리스탈과의 협업을 통해 축적한 신약원료 공정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신약 및 바이오베터를 도입하여 신약 개발사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에 부응하고자 이미 슈펙스비앤피와 G-CSF (호중구감소증치료제) 바이오베터의 공동 개발 조인트벤처인 어센드바이오를 설립하였고 G-CSF 바이오베터의 생산 세포주 및 공정 개발을 팬젠과 진행 중이며, 투자자금 확보로 라이선스인 및 M&A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회사 측은 “일본 PMDA로부터 GMP승인을 받은 최신 설비를 보유한 API 합성 신공장을 활용하여 개량신약을 개발하고자 박사급 인재를 충원하는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을 위해 R&D 투자 활동을 적극 추진중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중간체의 파이로트 생산부터 상업용 생산까지 라인업을 구축함으로써 시장상황에 빠르게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현재 고부가가치 제품의 해외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영입하여 EU(유럽연합)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인증을 진행중으로, 당사 원료의약품이 기존 경쟁사 대비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우위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어 수출 전망 또한 긍정적이다”라고 밝혔다.


화일약품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최대주주의 적극적인 기업가치 확대정책의 일환으로 신성장동력자금을 확보하고, 지분확대를 통한 책임경영 강화의 목적으로 진행 됐다“고 밝혔다.

이번 제3자배정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액은 5,902원이고 납입일은 12월 26일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신장 기능 저하 완전히 막지 못했던 '당뇨병콩팥병' ...투석 지연 등 새 치료법 열리나 국내 연구팀이 당뇨병콩팥병(당뇨병신질환)에서 신장 염증을 일으키는 핵심 원인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CXCL12가 손상된 사구체와 신세뇨관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분비되며, 이 물질이 T 면역세포를 신장으로 유인해 염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특히, CXCL12 발현에 따른 T 세포 신장 침투가 당뇨병콩팥병에서 신장 기능을 저하하는 핵심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팀(박평강 아주의대 교수, 황주현 서울의대 학생)과 서울의대 의과학과 김현제 교수팀(김용준 서울의대 학생)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환자 인체유래물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신장 염증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당뇨병콩팥병은 가장 흔한 신장 질환으로, 투석 환자의 절반가량이 당뇨병콩팥병에 기인하는 만큼 유병률과 사회적 부담이 크다. 당뇨병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당뇨병콩팥병 환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예후는 다른 신장 질환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나쁘다. 이 질환은 고혈당과 동반 질환에 의해 사구체와 신세뇨관에 손상을 유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다. 신장 기능의 저하를 막기 위한 약물로는 당뇨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