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은행 앱 사용 1위는 카카오뱅크

Zero-Party Data Maker 포인트몬스터를 운영하는 데이타몬드는 10월 4일~10월 18일 기간동안, 앱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은행 앱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대상자는 총 3,146명(여성 69%, 남성 31% 이고, 연령대는 10대(만14세 이상) 10%, 20대 22%, 30대 32%, 40대 25%, 50대 이상 10%)이다. 분석한 은행 앱은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로 총 9개였다. 이번 조사는 응답자의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를 딥러닝 기반의 객체 탐지 및 분류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은 카카오뱅크 51%, 토스 48%로 인터넷전문은행이 1, 2위였다. 다음으로 국민은행 36%, 신한은행 32%이고, 우리은행 23%, 농협은행 22%, 하나은행 20%, 케이뱅크 19%, 기업은행 13% 순으로 조사되었다.

 

상위 4개 은행 앱의 연령대별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사용률이 감소하였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20대부터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연령대는 30대였다. 

 

연령대별 은행 앱 평균 설치 건수는 10대 1.5개, 20대 2.6개, 30대 3개, 40대 2.8개, 50대 이상 2.3개로 파악하였다. 앱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분석한 결과로 해당 수치는 최소한의 숫자로 볼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