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0.4℃
기상청 제공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77년사 특별전’ 개최

오는  16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77년사: 해부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특별전이 개최된다. 전시 시작일인 6월 16일(금) 오후 4시에는 대한의원 1회의실 및 의학박물관에서 개막행사가 진행되며 이번 전시는 11월 18일(토)까지 장장 5개월여에 걸쳐 계속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은 그동안 교실에서 사용했던 옛 해부학 교과서, 실습도구, 기자재 그리고 관련 자료 등을 꾸준하게 의학박물관에 기증해 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은 설립 일흔일곱 돌이 되는 금년에 신동훈 교수(해부학교실)를 준비위원장으로 하여 의국장인 조동현 교수(해부학교실)와 함께 그동안 박물관에 기증하여왔던 기증품들을 중심으로 한 이번 특별전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나라 해부학 발전사를 조망해 봄과 동시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교육과 연구 등 최신 활동을 소개함으로써 현재는 물론 미래 해부학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특별전에서는 등사용지에 철필로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려 등사기로 찍어낸 1952년의 서울의대 해부학 교과서와 한국전쟁 이후 실습교재가 소실된 상황에서 제작한 실습용 조직학 표본 세트 등의 전시를 통해 우리나라 해부학 교육의 발전 과정과 이를 위한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구성원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해부학 교육의 필수과정이자 의사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라 할 수 있는 해부실습과 ‘땡시’로 불리는 해부학 실습시험 등 해부학 교육과 관련한 소소한 볼거리도 함께 전시된다. 또한, 해부학 교수가 수행하고 있는 일과, 최신 연구 주제와 최신 연구 기법을 소개하여 시신의 해부를 통해 의과대학 학생의 교육뿐 아니라 의사과학자로서의 학문적 활약도 소개된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과 공동으로 기획한 이번 특별전을 통해 우리나라 해부학 교육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지난 77년간에 걸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교수들의 교육과 연구 활동의 소개는 중·고등학생을 포함하여 의학과 과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해부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학재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장)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특별전 준비위원장)와 본 전시를 준비하면서 “이번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해부학 특별전은 우리나라의 해부학 교육과 연구를 이끌어 온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이다.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바란다.”라며 본 전시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배너
배너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면부족, 발기부전 발생률 높여 수면은 우리 몸의 회복 기능이 이루어지는 생리적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육체적•정신적 휴식 기간을 거치면서 피로를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수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피로가 계속 누적되게 된다. 이는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치명적인 요인으로 다가오게 된다. 특히 수면 부족, 불면증 등은 발기부전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 불면증이 장기 될 경우 체내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화합물인 '활성산소'가 증가하게 된다. 활성산소는 적정량일 경우 체내에 유익한 활동을 가져다 주지만 반대로 지나치게 많이 누적된다면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저하시켜 성욕 감퇴, 발기력 감소, 정액량 감소 등의 증상을 야기할 수 있다. 비뇨기과전문의인 이무연 원장은 "각종 스트레스 및 잦은 야근에 시달리는 남성들은 불면증을 겪기도 하는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발기부전 등 성생활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 "체내에 누적된 활성산소는 주사요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그 전에 올바른 생활 습관을 영위하여 발기부전 등을 사전 예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수면 부족,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