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30대 중년안 ...누진렌즈 착용도 효과적

30대 후반의 대기업 사무직 직장인 10년차 A과장.
그는 작년 말이나 올 초부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볼 때 무언가 불편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A씨처럼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시, 평소처럼 가까이 보기가 불편해 무의식적으로 멀리 두어 보는 것이 편안하다는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다면 중년안이 찾아 왔음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다.

최근 디지털기기 사용으로 30대 후반에 중년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은 온라인 중심의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이와함께 중년안의 발생 시기도 종전 40대중반~50대에서 30대후반으로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이다.

안경렌즈 종합 브랜드사 케미렌즈를 통해 중년안 자가진단과 눈 관리 요령 등을 알아본다.
우선, 신문 책 볼 때 점점 멀리서 보거나 스마트폰 문자메시지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중년안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글씨가 흐릿해지거나 가까운 곳을 보고 작업시에 눈을 찡그리거나 비빈다든지, 어둡거나 피곤할 때 시력이 뚜렷하게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면 이 또한 중년안의 신호탄이다.

중년안은 노화의 현상으로 완벽 치료는 어렵지만 꾸준한 눈 관리로 발병 시기를 늦출 수 있다.
업무상 어쩔 수 없이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1시간마다 먼 거리를 주시하는 태도를 유지해 눈이 건조하고 피로해지는 상황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을 개선해나는 일 또한 필요하다.

더불어, 중년안을 위한 맞춤형 기능성 누진안경렌즈를 이용해 도움을 받는 것도 효과적이다. 누진렌즈는 사용 초기 적응의 애로점을 최근에는 충분히 보완, 개선한 제품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케미렌즈는 이와 관련해 컴퓨터 사용 빈도가 높은 30~40대 사무직 직장인들에게 적합한 입문용 누진렌즈 `케미 3040’을 선보이고 있다.
`케미 3040’은 부드러운 소프트 디자인 설계로 상하좌우 시선 이동 시에 발생하는 울렁증, 시선 처리의 불편함을 최소화했다. 이 같은 기능으로 30대 후반, 40대 초, 중반에 처음 중년안이 찾아올 때 부담 없이 착용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누진렌즈로 평가 받는다.

케미렌즈 관계자는 “초기에는 이처럼 입문용 누진렌즈를 착용해 적응하다가, 이후 40대 후반~ 50대 이후, 본격적인 중년안이 진행되면 일반 누진렌즈로 바꿔 착용해 자연스럽게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김안과병원, 제20회 포스터 공모전, 글 공모 시상식 진행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원장 김철구)은 지난 16일 망막병원 7층 명곡홀에서 제20회 ‘눈이 행복한 포스터 공모전’과 ‘마음으로 보는 세상 글 공모’ 시상식을 개최했다. 김안과병원은 눈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2006년부터 그림 공모전과 글 공모를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 20회를 맞아 기존 어린이 대상이었던 그림 공모전을 청소년과 성인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한 포스터 공모전에는 창의적 표현과 눈 건강의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전달한 다양한 작품들이 출품됐다. 통합 대상은 ‘눈에 좋은 식단으로 가족의 눈 건강을 지키자’는 메시지가 담긴 포스터를 출품한 김주원 어린이가 차지했다. 일반부 최우수상은 김기현 씨의 ‘눈이 행복해야 손주가 선명합니다’, 어린이부 최우수상은 하서진 어린이의 ‘검진으로 밝은 세상’이 선정됐다. (사)한국저시력인협회(회장 미영순)와 공동주최한 ‘제20회 마음으로 보는 세상 글 공모’ 시상식에서는 다양한 시선과 따뜻한 경험이 담긴 작품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가운데, 강용관 씨가 ‘그는 마음으로 보았다’라는 작품으로 대상을 수상했다. 금상은 김민태 씨(어둠이 내게 가르쳐 준 빛)에게, 은상은 김병진 씨(나의 첫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