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이 개발한 천식 동반 알레르기비염 치료 복합제 ‘몬테리진캡슐’의 임상 3상 결과가 SCI급 국제학술지(Clinical Therapeutics, Impact factor 2.94)에 등재됐다. 몬테리진은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인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 sodium) 10mg과 3세대 항히스타민제인 레보세티리진 염산염(Levocetirizine 2HCl) 5mg를 결합한 이층정 복합제이다. 이번에 등재된 연구는 순천향병원 호흡기내과 박춘식 교수 외 22개 기관에서 시행한 임상 3상(HM-MOLZ-302)으로,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한 환자 220명을 대상으로 몬테루카스트 단일제와 몬테리진캡슐을 1일 1회 4주간 투약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몬테리진캡슐 투여군은 몬테루카스트 단일제 투여군 대비 후반 2주(3~4주)차 MDNSS(Mean Daytime Nasal Symptom Score/낮 시간 동안의 코 증상 평균 수치) 변화량에서 우월한 효과를 입증했다. 이상반응 또한 몬테리진캡슐 투여군과 몬테루카스트 단일제 투여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임상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자체개발 보툴리눔톡신 제제 ‘나보타’가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 캐나다 연방보건부(Health Canada)로부터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캐나다 연방보건부는 나보타의 미간주름 적응증에 대해 판매 허가를 승인했다. 이로써 나보타는 대웅제약의 자체개발 의약품 중 최초로 선진국 품목허가를 획득함과 동시에 국산 보툴리눔톡신 제품 가운데 최초로 캐나다 시장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7월 31일 캐나다 연방보건부에 신약허가신청을 제출한 후 5월에 나보타 공장의 GMP 승인을 획득한 바 있다. 대웅제약은 내년 상반기 안으로 캐나다 판매에 돌입하고 북미 시장에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갈 방침이다. 캐나다는 주요선진 7개국(G7)의 회원국이자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에 미국, 유럽연합, 일본, 스위스에 이어 5번째로 가입한 의약품 규제 관련 선진국이다. 대웅제약 파트너사 에볼루스는 파트너사인 클라리온 메디컬(Clarion Medical)을 통해 캐나다 현지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클라리온 메디컬은 온타리오에 본사를 둔 대형 의료기기 전문회사로, 글로벌 필러 제품인 테오시알(Teosyal)의 세계3
이매진글로벌케어는 ‘누에를 이용한 브로리코와 사포닌 간의 면역 활성도 비교’ 연구 결과 브로리코의 면역 활성도가 사포닌보다 최대 60배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고 20일 밝혔다. 이매진글로벌케어 산하 ‘이매진-오가타 생활 과학 연구소’에서 진행한 이번 연구는 브로콜리에서 추출한 면역세포 활성 성분인 브로리코의 효과를 인삼에 함유된 ‘스테로이드 사포닌’이라는 면역 활성 성분의 한 종류인 진세노사이드 Rh2(20S) 및 진세노사이드 Rg3(20S) 와 비교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2는 암세포를 사멸하게 하고 종양 증식을 억제하며, 피부 면역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의 전이를 막고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은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와 비슷한 면역 체계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동물 실험 대상으로 주목받는 누에를 이용했다. 누에에 면역력 활성 성분을 주입하면 근육 수축이 일어나는데, 근육 수축이 많이 일어날수록 면역 활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험 방법은 테이쿄 대학 의학 연구소의 카즈히사 세키미즈 교수가 2008년 SCI급 논문인 Journal of Biologi
㈜휴온스글로벌(대표 윤성태•김완섭, www.huonsglobal.com)의 자회사 ㈜휴온스(대표 엄기안, www.huons.com)가 최첨단 의약품 생산 설비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시범공장 구축사업’에 제약 기업으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충북 제천시 바이오밸리 내에 위치한 ‘휴온스 제천공장’은 연면적 1만 5960 m2 규모의 최첨단 의약품 생산 설비 및 물류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제, 캡슐 등 ‘경구제’ 뿐만 아니라 앰플, 바이알, 치과용 카트리지 등의 ‘주사제’ 외에도 일회용 점안제 등 다양한 형태의 의약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설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미국과 독일의 최첨단 설비를 기반으로 cGMP 인증을 획득한 바 있으며, 국내 생산 완제품 주사제 최초로 미국 FDA로부터 ‘0.9% 생리식염수주사제 5mL/10 mL’의 제네릭 품목허가(ANDA)를 받은 바 있다. 이어 올 4월에도 ‘1% 리도카인주사제 5mL’의 제네릭 품목허가를 획득해 미국 전역에 수출함으로써 선진 의약품 시장에 국산 의약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휴온스 제천공장은 스마트공장 시범공장에 선정됨에 따라 제품설계•
머크(Merck)는 15일, 호주 특허청이 한 쌍의 크리스퍼 니카제들(CRISPR nickases)의 사용에 대한 머크의 특허 신청을 허가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한 쌍의 니카제들은 비표적 효과(타겟을 벗어나는)를 줄이는 매우 유연하고 효율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특이성을 유도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단계를 의미한다. 이는, 병이 있는 유전자들을 고치면서 건강한 유전자들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 크리스퍼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Paired CRISPR nickase methods build on other technologies in Merck’s CRISPR patent portfolio, including CRISPR integration. Commercial organizations need Merck’s IP for CRISPR-based insertion of DNA if they want correct genetic defects in the somatic cells of gene therapy patients. Merck is licensing this patent portfolio for all fields of use. "머크는, 최근 몇
한독 김영진 회장이 8월 10일 서울 역삼동 한독 본사에서 얼음물을 뒤집어쓰며 루게릭병 환우를 돕기 위한 아이스버킷 챌린지에 동참했다. 아이스버킷 챌린지는 찬 얼음물이 피부에 닿을 때 근육이 수축하는 것처럼 루게릭병의 고통을 잠시나마 함께 느껴보자는 취지로 2014년 미국에서 시작됐다. 얼음물을 뒤집어쓰고 참여한 사람이 다음 도전자를 지목하는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올해 한국에서의 아이스버킷 챌린지는 루게릭병 환우의 고통을 나누고 국내 첫 루게릭 요양병원 건립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번에 참여한 김영진 회장은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 대사의 지목을 받았다. 한독 페이스북에 공개된 영상 속에서 김영진 회장은 “한독이 여러 희귀병 환우를 위한 희귀의약품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그분들의 고통을 가까이서 보고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공감하고 있다”라며 “저의 참여가 루게릭병으로 고생하시는 환우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많은 분들이 루게릭 요양병원 건립을 함께 응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진 회장은 다음 아이스버킷 챌린지 주자로 손범수 아나운서, 프레인글로벌 여준영 대표, 큐캐피탈 파트너스 김동준 부회장을 지목했으며, 차가운 얼음물을 흠뻑 뒤집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연구회장 이재현)(이하 K-BD Group)는 글로벌 기술사업화와 오픈이노베이션을 주도할 수 있는 사업개발 전문가 양성을 위한 2단계 “글로벌 기술사업화 아카데미”를 9월 개설한다고 밝혔다. 국내 기술사업화 분야에서 다년간 사업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15명의 최고 전문가들이 강사진으로 초빙되어 운영될 이 교육과정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글로벌 라이센싱 및 기술 이전 등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에 대비하고자 지난 2009년에 국내 전 산업분야 최초로 개설하여 1단계 4년간(2009~2012) 운영을 통해 약 1,00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한 바 있다. 올해부터 착수되는 2단계 “글로벌 기술사업화 아카데미”는 국내 사업개발 전문가 단체인 조합 산하 K-BD Group 역점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사업개발 전문가 양성에 대한 수요를 진작시키기 위해 1단계 사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환경 변화를 능동적으로 리드할 수 있는 사업개발 전문가를 지속 배출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는 자체 보유 기술력과 유망 신약 및 신기술 등 혁신 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신소재 연구개발 기업 내츄럴엔도텍(대표 장현우)의 피부 침투 약물 전달용 화장품 ‘오버나잇 마이크로 패치’가 미국, 중국에 이어 인도 진출까지 성공하며 본격적인 해외 시장 확대 행보에 나섰다. 내츄럴엔도텍은 인도의 피부과 전문 제약사 Curatio사를 통해 오버나잇 마이크로 패치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13억명 인구의 거대 시장 인도는 구매력 기준 세계 3위 경제 대국이다. 제품 출시와 동시에 지난 6일과 7일 양일간 피부과 전문의와 업계 관계자를 초청한 론칭 행사가 인도 현지에서 개최됐다. 오버나잇 마이크로 패치는 인도에서 ‘EGA-NX’라는 이름으로 피부과 병원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EGA-NX에는 CLHA(교차결합 히알루론산)와 EGF(상피세포 성장인자)가 함유되어 있다. 히알루론산은 자기 무게의 1,000배의 수분을 흡수하여 보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일반 히알루론산은 피부 속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반면, 교차결합을 이루고 있는 겔 형태의 CLHA는 분해 속도가 느려 피부 속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에 효과가 훨씬 오래 유지된다. EGA-NX는 CLHA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고 주름,
유한양행(대표 이정희)은 암 및 자가면역을 치료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전문 바이오벤처기업 굳티셀(대표 이상규)에 50억원을 투자하여 굳티셀과 공동으로 신규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굳티셀은 2016년 설립된 연세대학교 교내 바이오벤처이며, 암 및 자가면역질환/장기이식 거부반응의 치료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조절 T 세포 (Regulatory T cell)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치료용 항체신약과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이다. 특히 조절 T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고 기능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표면 마커를 발굴하여, first-in-class (세계최초 혁신신약)의 암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유한양행은 이번 투자와 더불어 굳티셀에서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동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유한양행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공동연구 및 자체 연구를 통해 10여종의 바이오 및 저분자 면역항암제 개발을 동시에 진행중이다. 유한양행 최순규 연구소장은 “이번 굳티셀사 투자와 공동개발을 통해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한편 개발중인 기존 파이프라인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약효의 발현속도를 개선한 역류성 식도염 개량신약 ‘에소듀오’를 20일 출시했다. 에소듀오는 세계 최초로 에스오메프라졸과 탄산수소나트륨 성분을 복합한 제품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단일제제의 위산분비억제 효과를 유지하면서 약효 발현속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제품은 위 내 수소이온지수(pH)를 빠르게 상승시켜 위산에 약하고 약효 작용시간이 오래 걸리는 에스오메프라졸 성분을 위산으로부터 보호하고 약물을 십이지장 상부부터 흡수시켜 복용 후 약효가 빠르게 나타난다. 종근당은 에소듀오와 에스오메프라졸 단일성분을 비교한 임상에서 에소듀오를 복용한 환자의 혈중최고약물농도 시간이 에스오메프라졸 단일성분 복용 환자군 대비 3배 빠른 30분으로 확인했다. 종근당 관계자는 “에소듀오는 위산분비억제제와 제산제가 이중으로 작용해 기존 약물의 단점을 극복한 개량신약”이라며 “차별화된 약효를 바탕으로 에소듀오를 시장 선두 제품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에소듀오 출시를 기념해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개최된 런칭심포지움에서 좌장을 맡은 한양의대 이오영 교수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에게는 약효의 발현 속도가 약물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라며 “에소듀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