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는 오는 10월 18일(목)부터 20일(토)까지 서울 코엑스 4층 컨퍼런스 홀에서 “자기 건강관리의 미래지평”이라는 주제로 제9차 세계대중약협회 아․태지역 컨퍼런스 및 제1차 아․태지역 대중약협회 총회를 개최한다.우리나라는 지난 91년 10월 서울에서 제10차 세계대중약협회 총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세계대회 유치는 이번이 두 번째이다. 세계대중약협회(Word Self Medication Industry : WSMI)는 비정부기구(NGO)로서 우리나라는 1980년 9월에 가입하였다. 전세계 58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자기 건강관리의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알리고 대중약에 대한 이해와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2~3년에 한번 씩 국제적 또는 지역적 컨퍼런스를 주관해 왔다. 아․태지역 대중약협회(Asia-Pacific Self Medication Industry : APSMI)는 아․태지역의 자기 건강관리 활성화, O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와 중국제약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제2차 한-중 공동 세미나가 양국 참석자 약 100여명이 모인 가운데 10일 서울 스탠포드 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한-중 양자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주제로 급변하는 글로벌 제약시장 환경하에서 양국이 협력하고, 상호교류를 통한 신뢰를 축적하여 지속가능한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세미나였다.제약협회 이경호 회장은 인사말에서 “공동세미나는 중국과 한국에 많은 도움이 되는 행사로 의약품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양국의 인허가, 약가,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를 심도 있게 검토하는 자리이다. 한국은 미국 유럽 수준의 cGMP시설투자로 품질을 강화하고, RD 투자로 19개의 신약과 수많은 개량신약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력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중국 등 세계 각국에 진출하고 있
한국제약협회를 비롯해 도매협회 등 제약산업 관련 단체는 제약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기하려면 적정성, 투명성, 예측가능성을 담보한 보험약가제도 수립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 기조에 전적으로 동의를 표하면서 일괄 약가인하로 실익과 명분을 모두 잃은 시장형실거래가제도의 즉각적인 폐지를 건의했다.이들은 공동 선언문을 통해 약가거품과 보험재정 절감을 목적으로 시행된 시장형실거래가제도는 지난 4월 단행된 대규모 일괄 약가인하 조치로 인해 더 이상 존치시켜야 할 명분과 이유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그런데도 시장형실거래가제도를 다시 시행하게 되면 1원 낙찰․공급 등 시장교란 행위가 늘어나 유통질서는 더욱 혼탁해질 것이라며 거듭 시장형실거래가제도의 즉각 폐지를 요구했다.또 제약기업의 경영 상황은 일괄 약가인하 이후 크게 악화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는 오는 9월 10일(월) 서울 스탠포드 호텔에서 ‘한-중 양자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주제로 제2차 한-중 제약협회 공동세미나를 개최한다.이번 한․중 제약협회 공동세미나는 단순 교류가 아닌 급변하는 글로벌 제약시장 환경하에서 양국이 인류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지속 가능한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고민과 논의를 함께하는 양자협력의 장이 될 것이다.세미나는 10일(월) 오전에 개회식과 함께 한-중 양국의 인허가 주요사항에 대하여 한국측에서는 유한양행 개발실 사철기 상무가, 중국측에서는 Ms. Zhao Lili, 전 Deputy Director Stat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FDA)가 발표를 한다.이어서 오후섹션에는 한국의 약가제도에 대하여 중외제약 정진용 부장이, 중국의 유통, 마케팅에 대하여 Mr. Lu Jun, Vice-President Sinopharm Group Co. Ltd이, 한국의 바이오에 대하여 일양
한국제약협회 이경호 회장은얼마전 제약협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개최된 비상경제대책회의의 후속 조치 및 실천방안의 마련을 위해 5일 시내모처에서 제약단체장들을 초청, 정부에 요구할 사안과 아울러 제약업계가 실행해야할 현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이날 회동에는 한국제약협회 이경호 회장,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강추 회장, 한국바이오협회 서정선 회장,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김명현 회장,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이동수 회장,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이정규 회장 등이 참석했다.우리나라가 2020년에 세계 7대 제약강국이 되려면 제약산업 스스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이에 부응하여 정부도 세제 및 금융지원 혜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제약산업이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서 합당한 세제혜택이 이루어져야하며, 특히 해외임상 등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는 상반기 23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 국내 RD 투자 현황’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1년 회원사들이 국내 RD에 투자한 금액은 2,4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5.3%로, 역시 지난 2010년 0.5%정도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다국적 제약사 본사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 역시 2010년 15.6%에서 2011년 14.6%로 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어 국내 RD 투자 비율에 감소율은 타 국가의 감소율보다 낮아, 여전히 임상 RD의 대한 국내 많은 투자들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임상이 차지하는 비중과 연구인력의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국내 임상 수준의 향상과 그 가능성을 믿고 국내 RD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려는 회원사의 강한 의지가 반영
"꼼수는 통하지 않았다."보훈병원 1원 낙찰 파문이 재 입찰 결정으로 일 단 일단락 되는 분위기이다.낙찰된 80여개 의약품 가운데 대영메디칼 등 해당 도매업소가 공급을 포기한 39개 의약품을 제외한 나머지 의약품에 대한 처리 결과는 아직 미정이어서 완전 해결 되었다고는 단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하지만 보훈병원이 '담합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등 강경자세에서 한발 물러나 이아시스를 비롯해FS팜, 옐림팜, 이엔지에스텍,지아이메딕스, 재생메디칼, 신세계메디칼, 웰팜코리아, 굿메디, 석호약품, 대영메디칼, 유일메디칼, 가나약품, 신이약품, 에이치앤비팜, 청호메디칼, 씨엘피앤디등 관련 도매업소가 공급을 포기한코스카, 싱귤레어, 뉴론틴, 자이프렉사, 타이레놀, 가나톤, 프로스카 등의 그룹별 재입찰을 공고했다.한편 한국제약협회는 상식 이하의 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은 9월 11일(화) 09:30 - 17:10 일산 KINTEX 제2전시장 303호에서 국내 제약기업, 바이오기업, 대학, 연구기관의 CEO, CTO, 연구개발, 인허가, 기술이전, 사업개발, 전략기획, 경영기획 등 관련 부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The Entrepreneurship Boot Camp 2012 - 신약, 첨단제제의 미국, 유럽 인허가 및 시장 성공 전략 교육”을 한국어/영어, 동시통역으로 개최한다.지금 글로벌 제약시장은 기술환경, 정책환경, 규제환경 변화에 따른 생산성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이 매우 역동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약가인하 등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와 한미FTA 체결, 나고야의정서 발효 대비 등의 당면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체 연구개발경쟁력과 품질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미국, 유럽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은 크로엔리서치(대표 성하정)와 함께 9월 7일(금)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B동 1층 컨퍼런스룸에서 “New Perspective of Non-Clinical Findings for Biologics”를 주제로 글로벌 비임상 CRO 초청 CiTox LAB 신약개발 세미나를 개최한다.이 세미나에는 글로벌 비임상 안전성 시험연구를 유럽 및 미국에서 총괄 수행한 CiTox LAB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유럽과 미국의 생물의약품 안전성시험 연구 및 규제사항에 대한 최신 지견”에 대한 발표와 토론 등 생물의약품 개발의 인허가 관련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으로 있다.한편,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사무국장은 특별회원사인 크로엔리서치와 수차례 협의를 거쳐서 글로벌 의약품시장의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혁신형 제약기업과 바이오테크기업의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현장 수요를 반영한 이 세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는 8월 22일(수) 오전 7시 30분에 협회 4층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개최하여 제10대 이사장에 김원배(65) 동아제약 사장(사진)을 선출했다. 김원배 신임이사장은 1971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약학 석사, 박사과정을 마친 약학박사이다. 1974년에 동아제약에 입사하여 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동아제약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으며, 지난 2005년부터 제약협회 부이사장을 역임하였다.앞으로 이사장과 함께 제약협회 회원사 의견을 모아 같이 일할 12명의 부이사장 선임도 이루어졌다. 부이사장은 그동안 임시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전원을 제약협회 정관에 따라 부이사장으로 선임하였다. 부이사장단 명단은 다음과 같다.국제약품 나종훈 사장, 녹십자 조순태 사장, 대웅제약 이종욱 사장, 명인제약 이행명 회장, 삼진제약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