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2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97명(전일 대비 11명 감소), 사망자는 24명(전일 대비 15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891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41명(88.7%),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2명(91.7%) 이었다. 9월 2주(9.11.~9.17.) 보고된 사망자 353명 중 50세 이상은 344명 (97.5%)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07명 (31.1%)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594명, 해외유입 사례는 32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7,917명이며, 총 누적 확진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08명(전일 대비 19명 증가), 사망자는 39명(전일 대비 7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867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49명(88.4%),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7명(94.9%) 이었다. 9월 2주(9.11.~9.17.) 보고된 사망자 353명 중 50세 이상은 344명 (97.5%)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07명 (31.1%)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118명, 해외유입 사례는 28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9,407명이며, 총 누적 확진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89명(전일 대비 12명 증가), 사망자는 46명(전일 대비 11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828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35명(89.0%),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4명(95.7%) 이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523명, 해외유입 사례는 24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4,764명이며, 총 누적 확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77명(전일 대비 39명 감소), 사망자는 57명(전일 대비 3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782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22명(88.5%), 사망자는 모두 60세 이상(100.0%) 이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3,177명, 해외유입 사례는 28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3,45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16명(전일 대비 25명 증가), 사망자는 60명(전일 대비 12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725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58명(88.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8명(96.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1,526명, 해외유입 사례는 34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1,874명이며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22년 37주(9.4.∼9.10.)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이 외래환자 1천명 당 5.1명으로, 유행기준(4.9명)*을 초과하여, ‘2022년 9월 16일(금), 전국에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하고, 인플루엔자 감염 예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올해 유행주의보 발령은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이후 처음이며, 지난 절기보다 민감한 유행기준(5.8→4.9)을 적용하였다. 다만, 37주(9.4.∼9.10.) 호흡기바이러스 검출은 메타뉴모바이러스(20.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16.7%), 리노바이러스(7.4%), 보카바이러스 (7.0%), 아데노바이러스(5.6%) 순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1.4%)은 아직 낮은 상황이다(붙임2 참고). 질병관리청은 9월 21일부터 시작되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의 대상자들이 연령별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과,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와 생후 6개월 ~ 만 13세의 어린이 대상자는 해당 일정 중 가급적 이른 시기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에는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인플루엔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91명(전일 대비 16명 감소), 사망자는 72명(전일 대비 12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7,665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34명(88.4%),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62명(86.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1,119명, 해외유입 사례는 35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1,471명이며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07명(전일 대비 40명 감소), 사망자는 60명(전일 대비 25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7,593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52명(89.2%),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3명(88.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3,667명, 해외유입 사례는 31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3,981명이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47명(전일 대비 6명 감소), 사망자는 35명(전일 대비 13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7,533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80명(87.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9명(82.9%)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7,037명, 해외유입 사례는 27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7,309명이며,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9월 1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53명(전일 대비 21명 증가), 사망자는 22명(전일 대비 25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7,498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80명(86.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1명(95.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9월 1주(9.4.~9.10.) 보고된 사망자 415명 중 50세 이상은 403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25명 (31.0%)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88.9%,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55.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10.0% 감소하였다. 7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8.1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1.0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9명(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736명, 해외유입 사례는 20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6,938명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