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 신고가 증가함에 따라, 주의 및 예방수칙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전국 208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22년 28주(7.3.~7.9.)에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총 136명, 살모넬라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104명으로, 18주(4.24.~4.30.)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과거 발생 경향을 고려할 때 7월 말에서 8월 초까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절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살모넬라균 및 캄필로박터균 등에 의한 장관감염증 발생이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살모넬라균에 노출된 달걀, 우유, 육류 및 가공품이,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비살균 식품과 가금류가 주요 감염원으로, 이 식품들을 조리할 시 상온 방치 혹은 교차오염이 위험요인이다. 예방을 위해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 냉장보관 해야 하며,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한다.달걀의 겉표면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달걀을 만진 이후에는 손을 씻어야 한다. 생닭의 표면에는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어,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7명, 사망자는 1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9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0,850명, 해외유입 사례는 32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1,17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009,080명(해외유입 40,550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9,844명(13.9%)이며, 18세 이하는 15,268명(21.5%)이다. 7월 2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0,85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52,238.0명)이며, 수도권에서 40,005명(56.5%), 비수도권에서 30,845명(43.5%)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6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7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973명, 해외유입 사례는 42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6,40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937,971명(해외유입 40,27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0,718명(14.1%)이며, 18세 이하는 17,999명(23.7%)이다. 7월 2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97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47,668.0명)이며, 수도권에서 42,831명(56.4%), 비수도권에서 33,142명(43.6%)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1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6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231명, 해외유입 사례는 35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3,58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861,593명(해외유입 39,846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9,135명(12.5%)이며, 18세 이하는 19,611명(26.8%)이다. 7월 1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23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42,511.6명)이며, 수도권에서 42,240명(57.7%), 비수도권에서 30,991명(42.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1명,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5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5,980명, 해외유입 사례는 31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6,29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788,056명(해외유입 39,502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3,004명(11.6%)이며, 18세 이하는 8,310명(32.0%)이다. 7월 1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5,98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37,352.0명)이며, 수도권에서 14,990명(57.7%), 비수도권에서 10,990명(42.3%)이 발생하였다.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장서기관 김 유 미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에 보함.만성질환관리국 건강위해대응과장서기관 황 호 평감염병정책국 감염병정책총괄과장에 보함.2022. 7. 18. 감염병정책국 감염병정책총괄과장부이사관 조 경 숙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지원센터장 근무를 명함.2022.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1명, 사망자는 1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4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037명, 해외유입 사례는 30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0,34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761,757명(해외유입 39,183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6,046명(15.1%)이며, 18세 이하는 10,041명(25.1%)이다. 7월 1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037명(최근 1주간 일 평균 35,427.1명)이며, 수도권에서 21,623명(54.0%), 비수도권에서 18,414명(46.0%)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0명, 사망자는 1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28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1,023명, 해외유입 사례는 28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131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721,415명(해외유입 38,87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5,994명(14.6%)이며, 18세 이하는 10,281명(25.1%)이다. 7월 1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1,02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32,585.9명)이며, 수도권에서 22,927명(55.9%), 비수도권에서 18,096명(44.1%)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5명, 사망자는 1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71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621 명, 해외유입 사례는 26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8,88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680,142명(해외유입 38,599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5,263명(13.6%)이며, 18세 이하는 9,380명(24.3%)이다. 7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62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29,592.4명)이며, 수도권에서 21,476명(55.6%), 비수도권에서 17,145명(44.4%)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최근 영유아에서의 수족구병 환자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감염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전국 211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22년 25주(6.12.~6.18.)에 1.7명(외래환자 1,000명당), 26주(6.19.~6.25.)에 2.6명, 27주(6.26.~7.2.)에 5.4명, 28주(7.3.~7.9.)는 10.3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낮은 수준이나, 과거 2년 대비 높은 발생을 보이고 있으며,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환자의 발생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수족구병은 확진자의 대변 또는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에 오염된 물건(수건, 장난감, 집기 등) 등을 만지는 경우 전파되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 등 집기 소독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기에, 고열, 구토, 무기력 등의 증상이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