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2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555명, 2차접종자 1,819명, 3차접종자 13,18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569,299명, 2차접종자수는 43,803,685명, 3차접종자수는 25,245,905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18명, 사망자는 2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565명(치명률 0.89%)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159명, 해외유입 사례는 35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51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41,413명 (해외유입 23,753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발생 주간 분석 결과, 1월 2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4,574명(+1,935), 국내감염 5,286명(+2,895)이 확인되어 총 9,860명(+4,830)이라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 병원체자원은행은 ‘21년 분양자원 수요 동향 및 분양현황을 발표하였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나고야 의정서에 협약된 생명 자원의 하나인 병원체자원*과 관련법 국내 이행을 통해 병원체자원 주권을 수호하고 있으며,병원체자원의 확보, 자원화, 관리 및 분양 업무 수행을 통해 국민 보건 증진 및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보건의료 연구 및 산업체 등에 분양 ·제공한 자원은 3,964주(161종)로, ’20년 대비 31.1%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80개 기관에 바이러스 및 핵산 1,677주 분양되었다. 자원 활용목적별 분양현황은 진단기술 연구, 백신 및 치료제 연구 목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전년 대비 백신 및 치료제 연구(56%) 및 진단기술 연구(26%), 정도관리(43%)이었다. 기관별 자원 분양은 전년 대비 국공립연구기관 55%, 대학 및 비영리기관 33%, 산업계 25%가 증가하였으며,국공립연구기관은 백신 및 치료제 연구 목적(322%)으로, 대학 및 비영리기관은 정도관리용(256%), 산업계는 백신, 치료제 및 진단제 연구 목적(182%)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23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9,349명, 2차접종자 17,952명, 3차접종자 258,013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568,730명, 2차접종자수는 43,801,851명, 3차접종자수는 25,232,604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2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31명,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540명(치명률 0.89%)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43명, 해외유입 사례는 28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63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33,902명(해외유입 23,400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20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9,980명, 2차접종자 44,538명, 3차접종자 212,47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530,525명, 2차접종자수는 43,676,631명, 3차접종자수는 24,219,031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2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88명, 사망자는 2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480명(치명률 0.9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357명, 해외유입 사례는 24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6,60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12,503명 (해외유입 22,551명)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질병관리 연구개발(R&D)의 중요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1월 18일(화)부터 2월 18일(금)까지 「2022년 국립보건연구원 홍보콘텐츠 공모전」 ‘국보를 찾아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을 예방·극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고,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질병관리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공모전은 신선한 아이디어를 통해 질병관리 연구개발의 다양한 연구·사업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하여 개최된다.공모 부문은 카드뉴스·인포그래픽, 파워포인트(PPT), 과학칼럼·평론이며,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19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2,092명, 2차접종자 46,371명, 3차접종자 261,355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519,041명, 2차접종자수는 43,630,450명, 3차접종자수는 24,004,666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32명, 사망자는 7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452명(치명률 0.9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431명, 해외유입 사례는 37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80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05,902명 (해외유입 22,304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17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64명, 2차접종자 3,388명, 3차접종자 16,86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485,593명, 2차접종자수는 43,507,434명, 3차접종자수는 23,354,003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79명, 사망자는 2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333명(치명률 0.9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551명, 해외유입 사례는 30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85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96,032명 (해외유입 21,624명)이다. 변이바이러스 발생 주간 분석 결과, 1월 1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2,639명(+1,363), 국내 감염 2,391명(+1,316)이 확인되어 총 5,030명(+2,679)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1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3,094명, 2차접종자 29,262명, 3차접종자 305,84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484,806명, 2차접종자수는 43,504,026명, 3차접종자수는 23,337,078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2명, 사망자는 2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310명(치명률 0.9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813명, 해외유입 사례는 38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19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92,174명 (해외유입 21,317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15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21,966명, 2차접종자 88,347명, 3차접종자 564,635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471,225명, 2차접종자수는 43,472,288명, 3차접종자수는 23,015,954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26명, 사망자는 2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281명(치명률 0.9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77명, 해외유입 사례는 34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42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87,984명(해외유입 20,938명)이다.
먹는 치료제(화이자사 팍스로비드) 투약 첫날 전국에서 처방된 환자는 1.14(금) 19시 기준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결과 총 9명으로 확인됐다.이중 확진된 70대 남성은 대전에서 비대면 진료를 통해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아 투약했다. 재택치료자는 전일(1.13.) 기침 등 증상 발현으로 PCR 검사를 받았고, 오늘 오전 확진되어 기초역학조사 후 재택치료 대상으로 확정되었다. -경구 치료제(팍스로비드) 병용금기 의약품(약물상호작용) 비대면 진료 시 의사는 건강상태, 기저질환 등을 문진하고, DUR을 조회하여 투약 중인 병용금기 의약품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먹는 치료제 투약을 결정하였다. 병원에서 처방전 발행 후 담당약국에서는 병용금기 의약품 복용여부를 중복으로 확인(DUR)하고, 처방에 따라 조제하여, 약국에서 직접 재택치료자에게 전달하였다. -경구 치료제(팍스로비드) 병용금기 의약품['세인트존스워트'성분 함유 일반의약품] 재택치료자는 의료진의 처방 및 약국의 복약지도에 따라 먹는 치료제를 투약받고, 관리의료기관에서 투약 1~2시간 이후 유선으로 투약여부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먹는 치료제(화이자사 팍스로비드) 2.1만 명분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