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셀테라퓨틱스는 에이티지씨사(㈜ATGC)의 보툴리눔 톡신 생산 및 제어기술과 프로셀테라퓨틱스의 경피투과 기술이 융합된 경피투과형 보툴리눔톡신 유래 펩타이드를 개발 완료하였으며, 한국, 일본, 미국, 러시아에 특허 등록된데 이어 최근 중국과 캐나다에 등록결정이 되었다고 18일 밝혔다.경피투과형 보툴리눔 유래 펩타이드는 세계 최초로 국제화장품원료집에 ‘Methionyl r-Clostridium Botulinum Polypeptide-1 Hexapeptide-40’이라는 명칭으로 등재된 바 있으며, 본 소재의 독점 판매권을 가지고 있는 BPMed cosmetic사는 경피투과 보툴리눔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고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보툴리눔 톡신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이라 불리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만들어지는 신경 독소로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막아 근육을 마비시키는 의약품원료이다. 초기에는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점차 주름 개선효과가 밝혀지면서 현재는 미용 목적으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제품은 미국 앨러간사의 보톡스 주사제이다.보툴리눔 톡신의 경우, 피부 리프팅, 주름개선, 미백 등의 효
동구바이오제약은 동물용 진단시약 개발업체로 주목 받고 있는 ㈜바이오노트에 30억원 투자를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신한금융투자와 한국투자증권 등이 참여하여 ㈜바이오노트에 178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게 되는 브릭-오비트 신기술사업투자 조합 설립에 출자함으로써 미래성장산업 발굴에 적극적인 횡보를 보이고 있다. ㈜바이오노트는 2003년 설립된 동물용 진단시약 개발업체로 각종 면역 분석, 백신 개발과 함께 반려동물 및 산업동물(가금류, 돼지, 소 등)용 질환 진단 시약/키트를 개발, 생산하는 전문업체이다.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바이오노트는 동물 진단시약에서 동물 질환 토털솔루션 제공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안정적 재무구조와 급격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IPO도 준비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국내 동물의약품 시장규모는 7,745억원에서 1조 1,273억원으로 50% 급증하였으며 전 세계 동물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5% 이상 성장해2024년에는 5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치사율 100%의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지속적으로 발생
기존암 검사시 정확도에서 떨어지는 종양표지자 검사나 방사선검사 등과 달리 간단하고도 정확도가 매우 높은 microRNA(Liquid Biopsy)검사가 내년부터 일본에서 시행될 전망이다.일본의 DNA칩 분석회사 TORAY사에서는 일본국립암연구센터와 2014년에 시작한 마이크로RNA 측정기술 기반 개발을 종료하고 그 성과를 사업화 한다고 지난 6월 13일에 밝혔다. 아주 적은 혈액으로 유방암이나 대장암 난소암 등 여러 암을 95%이상의 정확도로 찾아 낼 수 있다고 한다. 13가지 암 종을 매우 높은 감도로 암을 진단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난소암(감도 99% / 특이도 100%) 췌장암(98%/94%). 방광암(97%/99%).대장암(99%/89%). 방광암(97%/99%). 전립선암(96%/93%)등등 microRNA는 생체 고분자인 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 지금까지 2,655종류가 발견되었고 엑솜(Exome)이라는 입자에 들어가 혈액 중에 방출되고 그 수는 1㎖당 5,000억 개다. 이 검사는 초기 암 진단에서 재발 암 진단과 암 종류 등을 찾아 낼 수 있다고 한다.일본에서는 이런 검사에서 microRNA 유전자 암 치료까지 현실화 되었다. 한국법인인 티
미국과 유럽연합(EU)의 당뇨병 환자 중 거의 50%가 매년 안과 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 1차 진료 의사로부터 안과 진료가 필요하다는 말을 들은 환자 중 실제로 안과 산동 검사를 받는 비율은 10%도 되지 않는다. 1차 진료 의사에게 힘을 실어주는 데 있어 기술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1차 진료 기반 당뇨 망막변증(Diabetic Retinopathy, DR) 검사를 하면 조기에 병을 발견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거의 4.25억 명에 달하는 당뇨병 환자가 DR로 인해 시력을 상실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JAMA Ophthalmology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인도 뭄바이 Aditya Jyot Foundation for Twinkling Little Eyes 팀이 뭄바이 내 민간 진료소에서 Remidio Innovative Solutions의 스마트폰 기반 망막 카메라를 이용해 당뇨병 환자를 검사하고, 통합 Medios AI가 DR을 발견하는 데 있어 진단 정확도를 확인했다. Medios AI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추론을 통해 10초 이내에 망막 진단서를 제공한다. Medios AI가 Remidio의 스마트폰 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석
2012년 대전서 혁신신약 생태계 조성 위한 자발적·자율적 민간 모임 시작…오는 25일 첫 전국 행사 개최공동 연구·개발 및 창업, 채용 등 혁신신약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 형성 및 교류의 장 기대 민간주도형 바이오헬스 혁신 커뮤니티인 ‘혁신신약살롱(www.imsalon.org)’이 오는 10월 25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혁신신약살롱 대한민국 2019’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대전에서 혁신신약을 연구·개발하던 전문가 모임에서 발족된 혁신신약살롱은 현재 대전, 판교, 오송, 대구, 송도 등 5개 지역에서 약 4,500여 명의 규모의 멤버를 보유한 바이오 분야 대표 민간 혁신모임으로 자리잡았다. 지역 모임 참가자들의 구성 역시 R&D, 특허 및 인허가, 사업개발 등의 업계 전문가를 비롯해 교수, 학생, 예비 창업자 및 언론인 등으로 점차 확대됨에 따라, 연구와 사업 등을 넘나드는 폭넓은 소통의 장이 마련되고 있다. 혁신신약살롱 운영위원회는 혁신신약살롱에 대한 전국적 관심과 성원을 바탕으로 올해 첫 대규모 전국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를 통해 연구.개발, 창업, 정부지원, 투자 등 혁신신약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
일동제약(대표 윤웅섭)과 한국의류시험연구원(원장 박형건)은 8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보건용 마스크 제품에 대한 성능 및 품질관리에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은 섬유, 소재 등의 분야에 대한 국가표준 설정, 연구개발 사업 등에 참여하는 표준화 전문기관이다. 특히,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한국산업표준 제ㆍ개정과 관련한 표준안 작성, 제도 운영 등의 업무를 위탁 받아 수행하는 등 지정 분야에 대한 대표성과 전문성을 지니고 있다. 업무협약에 따라 일동제약은 한국의류시험연구원과 협력해 자사의 ‘푸른숲 마스크’를 비롯한 보건용 마스크 제품에 대해 정기적으로 품질 및 안전성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사의 마스크 제품 패키지에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CI(Corporate Identity) 로고를 부착해 브랜드의 신뢰성 및 차별성을 부각한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관련 제품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공유는 물론, 미세먼지 문제를 개선하는 일에도 함께 고민하고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일동제약은 지난 2016년, 미세먼지 마스크 브랜드인 ‘푸른숲 마스크’를 출시, 매년 가파른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관련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업무협약식
㈜유양디앤유가 7일 미국 신경줄기세포연구소(Neural Stem Cell Institute, 이하 NSCI)와 합작법인 룩사바이오(Luxa Biotechnology LLC)를 공식 출범하고, 유양디앤유 바이오 사업 진출 전략 및 사업계획을 발표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유양디앤유는 해외 주요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공동 개발 계약을 통해 바이오 신약 물질을 초기에 확보하고, 합작법인 설립으로 유망 신약 물질의 임상을 가속화하는 등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유양디앤유 박일 대표와 더불어 룩사바이오의 공동 CEO 제프리 스턴(Jeffrey Stern) 박사와 R&D 총괄 샐리 템플(Sally Temple) 박사가 참석해 해외 줄기세포 연구 최신 경향과 함께 현재 유양디앤유와 공동 개발 중인 건성 황반변성 치료제 연구 내용과 계획을 공개했다. 제프리 스턴, 샐리 템플 박사는 2007년 미국에 설립된 최초의 줄기세포 비영리 연구기관 NSCI의 공동 설립자다. 샐리 템플 박사는 세계줄기세포연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 ISSCR) 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줄기세포 분
㈜툴젠(대표 김종문, KONEX 199800)은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과 제넥신이 개발중인 면역항암치료제 하이루킨-7을 이용하여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동종유래(Allogeneic) CAR-T를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업무 제휴 협약서(MOU)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툴젠과 제넥신은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중심이 될 유전자 & 세포 치료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비전을 가지고 지난 6월 통합법인 출범을 계획했으나 증시침체 및 다양한 외부적 요인으로 무산된 바 있다. 그러나 합병 여부와는 별도로 양사는 유전자교정 원천기술이 차세대 핵심 면역항암제로 각광받을 동종유래(Allogeneic) CAR-T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핵심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지속적인 공동개발협의를 진행하였다. 이미 출시된 CAR-T 제품은 자가유래 세포만 이용 가능하여 생산비용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치료의 적기를 놓칠 수 있는 등의 한계가 명확하였다. 툴젠의 원천기술인 유전자교정을 이용하면, 자가세포가 아닌 건강한 기증자에게 받은 T세포의 유전자를 교정한 뒤 대량생산하는 방식의 ‘Off-the-shelf(동종유래)’ CAR-T 개발이 가능하다. 동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류왕식)의 응용분자바이러스연구실의 마크 윈디쉬 박사 연구팀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감염성 연구를 통해 물의 끓는점에 가까운 98도의 고온에서 2분 간 배양 후에도 HBV가 여전히 감염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유럽 간학회지 ‘저널 오브 헤파톨로지(Journal of Hepatology, IF: 18.95)’에 9월 5일 온라인 게재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명의 HBV에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고, 2.57억명이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보균자이며, 만성보균자 중 최대 30%가 간경변 또는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백신과 치료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만성 B형 간염은 완치가 불가능한 질병이고, 환자들은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한다. HBV는 전염성이 강하다. B형 간염 환자 혈액에는 1ml당 1억~100억개의 감염성 입자가 존재하며, 10개의 이하의 바이러스 입자만 있어도 전염되어 인체를 감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량의 혈액도 심각한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독일 보훔 루드 대학교(Ruhr University Bochum) 연구팀은 2019년 초 HBV가
코넥스 상장 바이오 벤처기업 ㈜안지오랩(251280)이 혈관신생 억제제 기반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대하여 4개 치료제의 임상을 본격 진행 한다고 23일 밝혔다.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는 작년 12월 임상2상을 개시한 이래로 올해 8월말 기준 피험자 모집 목표치의 63%를 달성했으며 빠르면 올해 12월까지 모집을 완료할 예정이다. 현재 회사는 2021년에는 치료제에 대한 임상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도 지난 8월 식약처로부터 임상 2a상 IND 승인을 받아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11월에 4개의 대학병원에서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 2a상을 개시할 예정이다. 안지오랩은 이 외에도 삼출성중이염 치료제의 임상 2a상 IND를 식약처에 신청하여 현재 심사 중이며, 오는 10월에는 치주질환 치료제 임상 2상의 IND 신청을 계획 중이다. 상기 2개의 IND가 최종 승인될 경우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를 비롯한 총 4개 치료제의 임상 2(a)상이 진행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회사는 인간 미니항체(scFv) 와 나노바디 라이브러리를 자체 제작하여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로 개발하고 있으며, 반감기를 늘리기 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