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홀딩스가 중국 특허청으로부터 췌장암 조기진단 기술에 대한 신규성을 입증 받았다. JW홀딩스(대표 한성권)는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세계 최초 ‘다중 바이오마커 진단키트’ 원천기술에 대한 중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9일 밝혔다. JW홀딩스의 원천기술은 췌장암 초기와 말기 환자에서 각각 발현되는 물질을 동시에 활용해 암의 진행 단계별 검사가 가능한 혁신적인 진단 플랫폼으로 지난 2017년 연세대 백융기 교수팀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았다. 지금까지 췌장암 말기 환자에서 주로 반응하는 암 특이적 항원 ‘CA19-9’를 검사하는 방법은 있었지만, 초기 환자에서 나타나는 ‘CFB(보체인자B)’로 췌장암을 진단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한 회사는 세계에서 JW홀딩스가 유일하다. JW홀딩스는 췌장암 조기진단 원천기술과 관련해 국내 특허는 2016년, 일본 특허는 2018년 취득했으며 미국, 유럽에도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JW홀딩스는 현재 자회사 JW바이오사이언스를 통해 CFB를 포함하는 다중바이오마커 측정 키트와 진단알고리즘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9년 하반기에 탐색적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JW홀딩스 관계자는 “췌장암 조기 진단 기술에 대한
Harbour BioMed와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Ltd. (CTTQ)가 종양학과 면역학 분야에서 다양한 치료 목적을 위한 차세대 생물제제를 발견, 개발 및 상업화하는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7일 발표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에서 인간 항체를 모두 만들기 위한 형질전환 쥐를 포함한 Harbour BioMed의 발견 역량과 CTTQ의 임상 전 개발 자원 및 전문지식을 통합할 예정이다. 양사는 각 해당 지역에서 양사 간의 협력을 통해 발생하는 치료 후보군의 임상 개발과 상업화를 책임지게 된다. CTTQ는 중화권과 유럽을 담당하며, Harbour BioMed는 미국, 일본 및 나머지 지역을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각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매출을 기준으로 서로에게 로열티를 지급할 예정이다. 추가적인 재정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Harbour BioMed 설립자이자 회장 겸 CEO인 Dr. Jingsong Wang은 "CTTQ와의 계약은 완전한 인간 항체를 만드는 자사의 특허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동 발견, 개발 및 상업화 파트너십을 통해 국제 시장에 필요한 견고한 치료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자사 전략의 일환"이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은 지난 2일 서울 당산동 그랜드컨벤션센터 토파즈홀에서 일본 고베 첨단의료복합단지 FBRI 산하 TRI 후쿠시마 마사노리 센터장과 야마구치 이타다키 박사를 초청하여 ‘혁신 신약개발의 전망 및 Breakthrough 전략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다. 1부 ‘혁신 신약개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하여’, 2부 ‘일본 TRI 초청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 일본 AMED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국제 기술거래 협력, 한·일 첨단 재생 의료 이노베이션 컨소시엄 확립’을 주제로 열띤 강연과 Q&A가 진행되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김동연 이사장은 혁신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에 많이 투자해야한다면서, 신개념의 신약개발은 시간과의 싸움이자 종합예술이기 때문에 바이오헬스 기술의 진보와 혁신 규제의 맥을 잘 짚어 글로벌 파트너가 호기심을 가질 뿐 아니라 환우에게 꼭 필요한 차별화된 First in Class 개발전략을 세워야 함과 동시에 기술경영과 적극적인 아웃소싱이 결합된 시스템오픈이노베이션의 제4세대 연구개발 전략으로 나만의 차별화된 신약개발 전략을 추진하지 않으면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 하였
한미약품이 독자적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를 적용해 단장증후군 치료 바이오 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GLP-2 Analog(코드명 : HM15912)가 지난 1일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단장증후군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전체 소장의 60% 이상이 소실돼 흡수 장애와 영양실조를 일으키는 희귀질환이다. 한미약품은 LAPSGLP-2 Analog가 개선된 체내 지속성 및 우수한 융모세포 성장 촉진 효과로 단장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FDA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은 희귀난치성 질병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의 치료제 개발 및 허가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세금 감면, 허가신청 비용 면제, 동일계열 제품 중 처음으로 시판허가 승인 시 7년간 독점권 등 다양한 혜택이 부여된다. FDA가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신약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한 건 이번이 네번째다. FDA는 2018년 한미약품이 개발한 LAPSGlucagon Analog(HM15136, 선천성 고인슐린증)와 ‘오락솔(혈관육종)’, ‘FLT3(HM43239, 급성골수성백혈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전기전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최규하)이 개발한 ‘췌장암 표적치료용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기술(과제명: 포토론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치료광원 기술 개발)’이 ‘2018년 출연(연) 10대 우수 연구성과’에 선정됐다. 이번 성과는 동성제약(대표이사 이양구)이 한국전기연구원으로부터 이전 받은 기술의 기업 맞춤형 기술사업화를 위해 참여한 ‘2018년도 한국전기연구원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서 도출된 결과다. 관련 기술은 광에 반응하는 2세대 광민감제 ‘포토론’과 고출력 LED 광원 및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해 빛으로 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표적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암 치료법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구체적 성과로는 기업과 의료계의 현장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복강경용 고출력 LED 의료광원기술 및 형광 검출 기술(암 진단)과 △광역학 치료용 반도체 레이저 기술(암 치료)을 기반으로 하는 ‘형광복강경시스템’이 있다. 이는 암을 정확하게 보면서 필요 부위만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See and Treat’ 방법으로, ‘진단’과 ‘치료’가 융·복합된 차세대 의료 개념을 세계 최초로 실현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동성
한국팜비오(회장 남봉길)가 창립 20돌을 맞았다. 한국팜비오는 30일 강남구 개포동 형지비전센터에서 본사 및 연구소 임직원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20주년 기념식을 갖고 국내를 넘어 세계로의 도약을 다짐했다. 이날 남봉길 회장은 “’지경을 넓히는 한국팜비오”란 기업 슬로건 아래 한국팜비오는 해마다 20% 이상 고성장을 거듭해 왔다”며 “그 동안 회사 발전에 기여해 온 임직원들의 노고에 감사 드리며 앞으로 국내를 넘어 세계로 지경을 넓혀갈 것”을 다짐했다. 한국팜비오는 이 날 신제품 개발에 공이 큰 사내 유공자들을 표창하고 전 임직원 모두에게 창립 축하금을 전달했다. 또한 가정의 달을 맞아 어린이 자녀에게 축하카드와 축하금을, 어버이날을 맞아 전 직원들에게 축하금을 전달했다. 한국팜비오는 우수 직원에 대해 해외여행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사내 복지제도에도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해마다 우수직원을 선발해 가족과 함께 해외여행을 보내주고 있으며 직원이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출산 장려금을 지급한다. 이에 더해 신학기에는 초등학교, 중학교에 진학하는 직원 자녀들에게 입학 축하금을 지급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입학한 직원 자녀들에게는 매 학기 등록금을 지급하고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은 오는 5월 2일(목) 그랜드컨벤션센터 2층 토파즈홀에서 ‘혁신 신약개발의 전망 및 Breakthrough 전략 국제 심포지엄(International Symposium for the Perspectives & Breakthrough Strategy of Innovative Medicine)’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1부 ‘혁신 신약개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하여’, 2부 ‘일본 TRI 초청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 일본 AMED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국제 기술거래 협력, 한·일 첨단 재생 의료 이노베이션 컨소시엄 확립’을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의 중개연구 및 기술이전 글로벌 기관인 TRI(Translational Research Informatics Center) 소속의 전문가를 비롯한 국내외 신약개발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주제별 강연과 Q&A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도모하기 위하여 혁신 신약 및 첨단 바이오 분야 관련 일본 등 선진 시장과의 기술과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
프로스테믹스(203690)는 세계 최초로 지방줄기세포배양액 내 엑소좀 유래 성분의 발모 효과를 규명해 국제 학회에서 발표했다. 프로스테믹스는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일본 교토에서 열린 ‘2019 국제 엑소좀 학회(ISEV, International Society for Extracellular Vesicles)에서 세계 최초로 지방줄기세포유래 엑소좀 성분의 탈모 치료 효과를 발표해 관심을 끌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이번 학회에서 공개된 유일한 발모 연구이어서 큰 호응을 얻었다. 세계 최고의 엑소좀 국제 학회인 ‘2019 국제 엑소좀 학회’는 엑소좀의 기초 연구부터 임상까지 전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행사로서 엑소좀 연구자 1,000여명이 500여개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프로스테믹스가 발표한 이번 연구는 인체지방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모발 성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다. 이 회사는 엑소좀과 엑소좀 유래 성분이 모발 성장 인자 및 신호물질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했다. 엑소좀은 약 100nm 크기의 세포밖 소포체인 세포간 신호전달물질로 줄기세포 바이오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인간과 동물에서 다수 보고되었으며, 식물과 미생물에서도 발
현대바이오 대주주 '씨앤팜'이 최근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췌장암치료제 신약 폴리탁셀의 기반기술인 폴리포스파젠계 나노 약물전달체 물질특허를 취득했다.코스닥기업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의 대주주 '씨앤팜'(대표 정현범)은 美 특허청으로부터 '무고통항암제' 폴리탁셀(Polytaxel)을 포함하는 폴리포스파젠계 나노 약물전달체의 구조와 제조방법에 관한 물질특허를 승인 받았다고 30일 밝혔다.씨앤팜이 특허를 취득한 폴리포스파젠계 약물전달체는 암조직 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거의 없는 나노바이오 캐리어로, 다양한 약물의 탑재가 가능해 췌장암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질환에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약물전달체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씨앤팜은 이 물질특허 외에도 다양한 응용특허 및 방어특허를 추가 출원한 상태로, 이번 미국특허 등록을 시작으로 유럽, 일본, 중국, 한국 등 주요국가에서 특허가 등록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암세포만 굶겨 죽이는’4세대 대사항암제를 개발 중인바이오스타트업(주)하임바이오(HaimBio,대표 김홍렬.대표사진)가 일본의 신약개발 전문기업 액셀리드(Axcelead, 대표 Yoshinori Ikeura, Ph.D)와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월 하임바이오 본사에서 진행한 신약 개발 컨설팅 미팅의 후속 성과로 일본 액셀리드와 대사항암제 개발을 위한 임상 컨설팅 계약을 정식으로 체결했다. 하임바이오는 기존 항암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완치율을 높일 수 있는 ‘대사항암제’를 개발 중인 스타트업이다. 이 약물은 암세포만 사멸시켜 기존 항암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치료율을 높일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하임바이오는 임상 전문 컨설팅사 액셀리드로부터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제출하기 위한 IND Package(임상승인 절차) 관련 서류 검토를 포함해 임상승인 진행중 발생하는 이슈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본 계약에는 국내 임상 1상 진행을 물론 미국 임상 2상 진행을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엄격한 IND 규정 충족과 승인을 위한 컨설팅이 포함되어 있다. 액셀리드는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수탁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