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타

"모든 생리대 제품... ‘과불화화합물 전수 검사’ 이뤄져야"

세계보건기구, PFOA를 석면, 벤젠, 라돈과 같은 1급 발암물질로, PFOS를 2급 발암물질로 지정
성균관대 박천권 교수 "생리대 내 과불화화합물 위험성 지적"

유기농 생리대 브랜드 오드리선이 세포 독성검사에 이어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와 함께 환경호르몬 과불화화합물 검사 결과를 진행생리대의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결과치를 밝혀 주목받고 있다.

 

이번 검사는 ‘오드리선 TCF 생리대’를 대상으로 과불화화합물 일종인 과불화옥탄산(PFOA, Perfluorooctanoic acid)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등 총 6종의 유해물질 검사를 진행했으며검사 결과 유해물질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고 29 밝혔다.

 

환경호르몬 중 하나인 ‘과불화화합물(PFAS,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검사는 생리대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및 세포독성검사에 이어 또 하나의 새로운 안전성 강화 기준으로 평가받고 있다수천 종 이상의 과불화화합물 가운데 일부는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밝혀져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발암물질로 지정됐다.

 

특히 박교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2023년 국제 학술지(The Implications for Human Exposure and Emission to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23, 57, 8484-8495)에 게재된 PFOA가 생리대에서도 검출됐다는 해외 연구’를 언급하며과불화화합물이 여성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과불화화합물은 탄소와 불소가 강하게 결합한 유기화학물질로 자연 상태에서는 분해되지 않아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방수와 방진 기능으로 인해 조리용기방수복포장음식 용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인체에 축적되면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과불화화합물에 장시간 노출되면 생식 기능 장애암 발생장 질환당뇨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FOA PFOS는 지난해 11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에서 각각 1급 발암물질과 2급 발암물질로 새롭게 지정됐으며미국 환경보호국(EPA)도 지난 4 PFOA PFOS를 유해물질로 지정하고 식수 사용 제한 규제를 발표한 바 있다또한 전세계 보건당국과 국내외 연구기관 등을 통해 콘택트렌즈식기류의류에서도 과불화화합물이 발견돼 당뇨갑상선암 등의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문헌들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박천권 교수는 “생리대는 체온보다 온도가 높고 물질의 흡수가 잘되는 위치에 장시간 착용되기 때문에 적은 양의 과불화화합물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며“생리대가 닿는 피부의 경피 흡수율은 팔 안쪽 피부 대비 수십 배에 달해 유해 물질이 체내에 더 쉽게 축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생리대와 같이 여성이 피부에 밀접 접촉하고 장기간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국내에서도 안전한 검사법을 만들고 생리대의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전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천권 교수는 지난해부터 오드리선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써 생리대의 안전성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대부분의 생리대에서 톨루엔이 검출돼 여성의 생식독성 및 발달독성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또한 국내외 생리대 25종을 대상으로 한 ‘세포독성 검사’를 통해 18(72%)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했으며이에 따라 생리대와 관련된 건강 문제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다방면의 심층적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심사평가원,개인정보 입력 없는 ‘모바일 간편인증 간소화’ 도입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8월 25일(월)부터 국민의 의약품 안전 사용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원하는‘내가 먹는 약 한눈에’모바일 간편인증 간소화 서비스를 새롭게 오픈했다. ‘내가 먹는 약 한눈에’는 국민이 병원·약국에서 처방받은 최근 1년간의 의약품 투약 정보(이력)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별도의 인증 프로그램을 사용해 여러 단계의 본인인증 절차를 거쳐야 했으나, 이번 개편으로 절차가 대폭 간소화됐다. 심사평가원은 국민 생활밀착형 모바일 앱(카카오톡)과 연동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알림톡 채널 하단에 개인투약이력 조회서비스 바로가기 메뉴 신설 ▲서비스 이용자의 카카오톡 본인인증 정보를 활용하여 별도 개인정보 입력 없이 개인투약이력 본인인증 절차를 간소화한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이번 개선으로 서비스 이용 시 본인인증 절차를 기존 7단계에서 1단계로 획기적으로 단축했고, 국민들은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의약품 투약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개인정보 입력 절차가 사라지면서 개인정보 유ㆍ노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