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대응을 위한 전국 음압병상 현황을 분석한 결과 , 지역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 ( 국민의힘 ) 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 감염병관리기관 음압병상 현황 ’ 에 따르면 , 전국에 총 1,052 개의 음압병상이 운영되고 있고 , 수도권에 병상이 집중되어 있어 지방의료 인프라의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
음압병상 현황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 ▲ 경기가 139 개 (13.2%) 로 가장 많은 병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 ▲ 서울 127 개 (12.1%), ▲ 인천이 123 개 (11.7%) 로 수도권에만 약 37% 가 집중되어 있다 . 반면 , 충북 (29 개 ), 울산 (26 개 ), 세종 (7 개 ) 등 일부 지방은 병상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 가장 많은 병상을 보유한 경기와 비교해 약 4 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
병상 종류별로 현황을 보면 , 중환자 격리 병상은 총 346 개 중 성인 병상이 318 개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 신생아 병상은 22 개에 불과하며 , 특히 소아 병상은 전국에서 광주 , 전북 , 강원에 각각 2 개씩만 설치되어 있어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아 중환자 격리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 일반 환자 격리 병상은 총 706 개로 1 인 병상 421 개 , 다인 병상 285 개로 운영되고 있었다 .
최보윤 의원은 " 감염병 대응을 위해 음압병상이 중요하지만 ,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지방의료가 위기에 처할 수 있다 " 며 , " 모든 국민이 지역에 상관없이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 정부는 지역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