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고려대학교 조철현 교수팀, 불면증 평가 및 치료에 디지털 표현형 활용 필요성 제시

불면증 자기보고식 평가와 실제 수면의 질 차이있어...기존 평가방법과 디지털 표현형의 통합적 접근 필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염지원 교수팀이 디지털 표현형 기술을 이용해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와 객관적 수면 데이터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를 발표하며, 불면증에서의 디지털 표현형의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염지원 교수와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김형주 학생이 공동 제1저자, 조철현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전통적인 자기보고식 불면증 평가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활동 기반 수면 측정 사이의 불일치를 분석하여 불면증 평가 및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불면증은 대표적인 수면 장애로, 일상생활에서의 기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산출된 불면증 심각도 지수(Insomnia Severity Index, ISI)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으로 지속적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으나 주관적인 불면증 심각도와 객관적인 수면 지표 사이의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23년 3월부터 11월까지, 2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심각도 지수와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대상자들은 불면증 심각도 지수를 기반으로 4그룹(불면증 없음, 경도, 중등도, 중증 불면증)으로 구분하였고, 수면 패턴과 심박수, 신체활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운동, 스트레스, 음주, 카페인 섭취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불면증이 없는 그룹이 불면증 그룹보다 오히려 수면 중 깨어 있는 시간이 더 길었고, 수면의 질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면증 그룹 내에서는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가 높더라도 총 수면 시간, 렘(REM) 수면 시간, 깊은 수면 시간 등 주요 수면 구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스트레스, 하지불안증상, 그리고 수면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포함한 심리적 요인 등이 불면증 그룹에서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페인 섭취와 음주량은 불면증 그룹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철현 교수는 “이 연구는 불면증의 주관적 고통이 단순히 수면의 양이나 질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음을 보여준다”며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통합적,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지원 교수는 “디지털 기술이 수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환자별로 최적화된 치료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철현 교수는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 기술을 활용한 다각적인 데이터 수집이, 불면증의 다면적 이해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을 치료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보다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확대가 불면증 치료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수면 연구와 정신건강 분야에서 디지털 표현형 기술의 큰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연구결과의 논문(Explo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nsights through digital phenotyping by analyzing the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activity-based objective sleep measures: observational cohort study)은 국제학술지 ‘JMIR Mental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성분명처방·한의사X레이 반대 ...국회앞 1인시위 열기 고조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가 성분명처방 강제화 및 한의사 불법 엑스레이 사용 등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개악에 맞서기 위해 국회 앞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20일 아침에는 박명하 상근부회장이 시위에 나섰다. 박명하 상근부회장은 “성분명처방은 수급불안정의약품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야 할 정부가 의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며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성분명처방 강제화를 섣불리 법제화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반대의사를 강력히 밝혔다. 이어서 한의사 엑스레이(X-ray) 사용에 대해 “서영석 의원이 입법취지에서 수원지방법원 판결을 근거로 들고 있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내용이다. 해당 사건의 기기는 내장돼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성장추정치가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성장판 부위를 기초로 영상진단행위를 하지 않았고 성장추정치를 진료에 참고하였을 뿐이라는 취지로 무죄 판결이 난 것이며, 이는 피고인의 억지 주장을 받아들여 형사 처분 대상이 아니라고 본 것일 뿐, 한의사의 엑스레이 사용을 합법화하거나 정당화한 판결이 결코 아니다”라고 설명하고 “의료법상 엄연히 한의사 면허범위를 벗어나는 행위를 합법화해 국민의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