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암 등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 손상, 부작용 넘어 삶의 질 크게 위협 했는데...불안감 해소 길 열려

고려대 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팀, 신경·종양 동시 식별 영상기법 세계 첫 개발
전임상 입증,외과 수술의 새로운 표준 제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전은비·김경수 연구원)과 미국 하버드 의대 최학수 교수(사진 좌에서 두번째) 공동 연구팀이 정밀 종양 수술 중 신경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중채널 형광 영상기법’을 개발했다.

종양 수술 중에는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해 신경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신경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 갑상선, 식도, 전립선 주위에 존재하는 후두신경, 음경신경, 교감신경 등은 손상될 경우, 수술 후 음성 변화, 삼킴 장애, 성기능 저하, 감각 저하 등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기존에는 전기생리학 검사, 초음파, 광간섭단층촬영(OCT) 등이 사용되었으나, 실시간성과 해상도, 시야 확보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근적외선 대역에서 각각의 파장에 반응하는 형광조영제 2종을 개발 및 활용하여, 수술 중 신경과 종양을 동시에 시각화하는 기술을 세계최초로 확립했다






연구팀은 신경 특이적 형광 조영제인 ‘NTFP700’을 새롭게 개발하고, 기존 종양 타깃 조영제 ‘cRGD-ZW800-PEG’과 함께 활용해 700nm 파장에서 신경을 청색 형광으로, 800nm 파장에서 종양을 녹색 형광으로 시각화하는 이중채널 근적외선(NIR) 영상기법을 구현했다. 이 기술은 토끼 좌골신경 주위 종양 모델에 적용해 수술 중 종양과 신경을 동시에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종양 표지를 위해 cRGD-ZW800-PEG를 수술 4시간 전 정맥 주사해 800nm 채널로 관찰했고, 신경 표지는 NTFP700을 거즈에 흡착시켜 수술 중 700nm 채널로 적용했다.

그 결과, 수술 현장에서 종양과 신경이 명확히 구분되어 절제 경계를 설정하고 신경 보존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형광 신호는 절제 후 조직검사 결과와도 일치해, 영상 기법의 높은 표적성과 재현성을 입증했다. 특히 형광카메라를 통해 종양과 신경을 서로 다른 색으로 선명하게 시각화함으로써, 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종양을 정밀하게 절제할 수 있는 수술 환경을 구현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연구팀은 형광 조영제 NTFP700을 멸균 거즈에 흡수시켜 신경 부위에 직접 덮는 염색 거즈(dyed gauze) 방식을 새롭게 도입했다. 기존의 직접 도포 방식은 조영제가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부위에서는 염색이 불균일해지는 한계가 있었으나, 염색 거즈 방식은 신경을 균일하게 덮어 일정하고 안정적인 형광 염색이 가능했다. 특히 경사진 구조나 굴곡진 부위에서도 신경 대비가 뚜렷하게 확보되었으며, 외과의가 수술 중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과 정확도 모두를 만족하는 방법으로 확인됐다. 

논문의 1저자인 전은비 연구원은 “신경 표적 형광 조영제와 암 표적 형광 조영제를 이용하여 수술 중 신경과 암을 동시에 확인하는 이 기술이 임상으로 확장된다면,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환자들이 겪는 기능 저하와 합병증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환자들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겠다.” 고 말했다.

공동 1저자인 김경수 연구원은 “신경 표적 형광 조영제는 수술 중 실시간으로 신경을 보존하여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 이라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여할 수 있는 연구”라고 강조했다. 

미국 하버드의대 최학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의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 사례다”며 “특히 신경과 종양을 실시간으로 분리 시각화할 수 있는 이중채널 영상기법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외과 수술의 현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는 “암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 손상은 단순한 부작용이 아니라, 환자의 발성, 감각, 운동 기능은 물론 삶의 질 전반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요소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수술 중 신경과 종양을 실시간으로 구분해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전임상 단계에서 입증했다는 점에서, 외과 수술의 정밀성과 환자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ACS(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F:8.2)에 ‘이중채널 형광 영상기법을 활용한 종양 주변 신경 식별 수술 기법 개발’(Tumor-Embedded Nerve Surgery Using Dual-Channel Intraoperative Imaging Probes)이라는 제목으로 2025년 8월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청, 세계 최대 백신 평가 표준화 네트워크 참여기관으로 신규 지정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제백신연구소와 함께 감염병예방혁신연합이 운영하는 중앙실험실 네트워크에 신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백신 임상 검체 분석 표준화 네트워크에 합류함으로써 아시아 지역 분석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백신 평가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지정으로 중앙실험실 네트워크는 전 세계 20개 실험실 규모로 확대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질병관리청과 국제백신연구소가 첫 번째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국제 표준에 따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어, 향후 백신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해 설립된 중앙실험실 네트워크는 신종 감염병 발생 시 100일 이내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전략의 핵심 인프라이다. 참여 기관은 실험실 간 측정법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시험물질과 표준화된 방법을 적용해 백신 후보물질의 면역 반응을 평가하고, 가장 우수한 백신 후보물질을 신속히 선별해 개발을 가속화한다. 현재 네트워크에는 20개 실험실이 참여하여 우선순위 병원체 대응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시험 분석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암 등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 손상, 부작용 넘어 삶의 질 크게 위협 했는데...불안감 해소 길 열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전은비·김경수 연구원)과 미국 하버드 의대 최학수 교수(사진 좌에서 두번째) 공동 연구팀이 정밀 종양 수술 중 신경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중채널 형광 영상기법’을 개발했다. 종양 수술 중에는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해 신경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신경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 갑상선, 식도, 전립선 주위에 존재하는 후두신경, 음경신경, 교감신경 등은 손상될 경우, 수술 후 음성 변화, 삼킴 장애, 성기능 저하, 감각 저하 등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기존에는 전기생리학 검사, 초음파, 광간섭단층촬영(OCT) 등이 사용되었으나, 실시간성과 해상도, 시야 확보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근적외선 대역에서 각각의 파장에 반응하는 형광조영제 2종을 개발 및 활용하여, 수술 중 신경과 종양을 동시에 시각화하는 기술을 세계최초로 확립했다 연구팀은 신경 특이적 형광 조영제인 ‘NTFP700’을 새롭게 개발하고, 기존 종양 타깃 조영제 ‘cRGD-ZW800-PEG’과 함께 활용해 700nm 파장에서 신경을 청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