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고려대 안산병원, 로봇수술 누적 4,000례 달성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원장 서동훈)이 로봇수술 누적 4,000례를 달성하며 경기 서남권 정밀의료 중심병원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고려대안산병원 로봇수술센터는 지역 로봇수술이 활성화되지 않았던 지난 2015년, 로봇수술기 ‘다빈치S’ 모델을 도입하며 경기 서남부 지역 첨단 의학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2018년 4세대 로봇수술기 ‘다빈치Xi’를 도입하고, 2021년에는 경기도 최초로 단일공 로봇수술기 ‘다빈치SP’를 추가로 확보했다. 현재는 ‘다빈치 SP’와 ‘다빈치 Xi’를 병행 운용하며 외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등 다양한 진료과에서 질환별 환자 맞춤형 로봇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로봇수술 누적 건수는 2024년 11월 3,000례에서 1년만에 1,000례를 더해 총 4,000례를 달성했다. 이는 부천·안양·시흥·안산·군포·화성·평택 등 경기 서남권 지역 의료기관 중 가장 많은 수준으로, 단일공 로봇수술 또한 지역 내 최다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고려대안산병원 로봇수술센터는 혁신적인 로봇수술 술기를 선보이며 국내를 넘어 세계 로봇수술 임상 현장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창민 로봇수술센터장(위장관외과(상부) 교수)은 지난 2023년 국제학술지 ‘Cancers’에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활용한 배꼽절개 기반 림프절 절제술(TULAB)을 세계 최초로 발표하며 주목을 받았다. 로봇 수술기에 탑재된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이용한 수술법으로 단 3개의 절개창만으로 위암이 퍼진 림프절을 세밀하게 절제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최근에는 주변 장기까지 위암이 침습한 경우에서도, 이 수술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발표하고 있다.

 

비뇨의학과 배재현 교수는 술기가 까다로운 방광질루 수술 분야에서 다빈치 SP를 활용한 ‘방광질루 공기주입술’을 선도적으로 시행하며 이 분야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방광 내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풍선처럼 공간을 확보한 뒤, 최소한의 절개창을 통해 로봇으로 방광 안에서 수술하는 방식으로 높은 성공률과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다.

 

유방내분비외과 장영우 교수가 세계 최초로 고안한 단일공 SP 기반 ‘가스 주입 원스텝 단일공 겨드랑이 접근법(GOSTA)’은 2cm 크기의 겨드랑이 절개만으로 갑상선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Surgical Endoscopy, 2023). 최근에는 이 수술법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고려대안산병원이 글로벌 로봇수술 시스템 기업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로부터 단일공 GOSTA 로봇수술 에피센터(Epicenter)로 지정됐다. 이를 통해 장 교수는 국내외 의료진을 대상으로 로봇수술 술기 및 임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험생,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 시 안구건조증 유발과 함께 눈 피로 증가할 수 있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랜 기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비롯해 학생들은 장시간 책이나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눈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학생이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여가시간뿐 아니라 공부에도 이용하면서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전반적으로 늘고 있다. 실제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22년 진행한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시간은 1일 약 8시간으로 2019년 대비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빽빽한 글자가 적힌 책이나 전자기기 등을 장시간 집중해서 보게 되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안구 표면이 건조해져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거나 심해질 수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뻑뻑함을 비롯해 안구 표면 손상, 심한 이물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근거리 작업 시에는 눈 안쪽의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근이 계속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눈이 몰려있는 상태가 지속되며 눈 피로가 증가할 수 있다. 특히 흔들리는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 책을 읽으면 눈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려는 조절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밤에 스탠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