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암은 한국인의 10대 사망 원인 중 하나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74.3명으로 이는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특히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 위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 암이 여전히 국민 건강에 큰 위협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암은 발병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자각하기 어렵다. 눈에 띄는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더라도 몸속에서는 이미 변화가 시작되고 있을 수 있다. 조기검진은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암을 극복할 수 있는 확실한 예방 전략이다. 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완치율이 크게 높아진다. 특히 폐암, 간암 등은 조기발견이 완치 가능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고위험 암종이며, 위암이나 대장암은 조기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높아진다.
정기적인 검진은 치료의 시기를 앞당기고 예후를 개선하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정승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건강증진센터장은 “최근 건강검진의 패러다임이 단순히 질병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에서, 미래의 질병을 예측하고 조기에 예방하는 검사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건강증진센터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세계 최초로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암세포 탐색검사를 도입했다. 혈액 검사를 통해 대표적인 11가지 암종(간암, 갑상선암, 난소암, 담도암, 대장암, 방광암, 유방암, 위암, 자궁경부암, 췌장암, 폐암)의 발생 가능성과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정밀검사와 추적 관찰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전자 기반 검진은 개인에게 맞춤화된 치료 및 예방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조기검진은 암 외에도 다양한 무증상 질환을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나 간질환, 갑상선질환 등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질환도 정기검진을 통해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은 금주, 금연,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 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어, 장기적인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
정승필 센터장은 “암의 조기 발견은 치료율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개인의 생활습관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개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방안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승필 센터장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건강증진센터는 최신 의학기술과 유전자 분석 기반의 정밀한 검진을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검진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건강증진센터는 전담 코디네이터와의 상담을 통해 성별, 연령, 건강이력 등 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다양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들이 검사부터 판독, 상담까지 One-stop system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