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첨단 바이오·융복합헬스케어 산업 육성 및 환자 접근성 향상 방안 모색"

전혜숙 의원, 「4차 산업혁명, 환자중심의 보건의료혁신 심포지엄」 개최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의원(보건복지위원회/서울 광진갑)은 7월 13일(목) 오후 1시 30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4차 산업혁명, 환자중심의 보건의료혁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전혜숙 의원이 주최하고, (사)지구촌보건복지(이사장 이광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고위자과정(HELP) 총동문회(회장 노근호)가 주관하는 이날 심포지엄은 첨단 바이오 및 융복합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경쟁력 있는 헬스케어산업 육성과 동시에 환자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규제개선 및 적정보상체계 수립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세션 1>은 `융합 중심의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전략'이라는 주제로, 좌장은 ▲한현욱 아주대학교 의료정보학교실 교수가 맡았으며, 발표는 ▲안동욱 미소정보기술 대표(연관 분석 모델링 CDW 가치), ▲이은솔 메디블록 대표(CHI와 PHR, 그리고 블록체인),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대표(유전체 빅데이터와 신약개발), ▲최두아 휴레이포지티브 대표(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만성질환 관리), ▲강성지 웰트 대표(라이프로그와 헬스케어), ▲김철우 바이오인프라 대표(의료정보 빅데이터와 스마트 암검사)가 맡았다. 그리고, 토론에는 ▲최수진 산업통상자원부 R&D 전략기획단 MD, ▲김정훈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교수, ▲박종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신수용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세션 2>는 `융복합 의료분야-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이라는 주제로, 좌장은 ▲정형선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가 맡았으며, 발표는 ▲주예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미래보건의료정책연구팀(환자중심 의료에서의 인공지능(AI)), ▲이평복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통증환자관리의 혁신과 니즈(Needs)), ▲김철준 대전웰니스병원 원장(재활로봇의 바람직한 발전방향), ▲박상원 부천세종병원 심장내과 부장(디지털헬스케어를 통한 심장병 환자의 관리), ▲이태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정보융합실 실장(빅데이터를 통한 가치창출(환자를 위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안정훈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교수(스마트 헬스-경제성과 가치)가 맡았다. 그리고 토론에는 ▲김철준 대전웰니스병원 원장, ▲박상원 부천세종병원 심장내과 부장, ▲김건훈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 과장, ▲안정훈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전혜숙 의원은 “새 정부는 미래 성장동력 확충의 일환으로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합리적 기준과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추진하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헬스케어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해야 한다”면서, “이번 심포지엄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적 첨단 바이오 및 융복합 헬스케어 산업을 환자중심의 가치를 토대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