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열성경련 응급처치법 7가지는?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유수정 교수, 질식을 막기 위해,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등 조언

열성경련 응급처치법 7가지에 관해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유수정 교수(사진)로부터 들어본다.


장마가 끝나자마자 이어지는 폭염에 면역력 약한 아이들이 고열에 갑자기 경련까지 일으키면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는 애간장이 타서 녹아 없어질 것이다.


고열이 있으면서 아기가 눈이 살짝 돌아가고 손발을 조금씩 탁탁 떨면서 뻣뻣해지며 경련을 일으키면 부모들은 어찌할 바를 몰라 당황하기 마련이다.


열성경련이란 열이 나면서 발생하는 경련을 말한다. 대부분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의 아이에게 발생하며, 일정한 나이가 되면 경련이 소실되고 후유증도 남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종 열성경련은 체온이 오르기 시작하자마자 발생하기 때문에, 부모들은 아이가 열이 있는지 조차 모를 수도 있다. 열성 경련 환자 중에서 극히 일부는 뇌전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열없이 경련을 할 경우, 또는 발달이 퇴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한다.


열이 나면서 경련이 있을 때 꼭 감별해야 하는 것이 뇌염, 뇌수막염 등에 의한 경련이므로, 경련이 있은 이후에는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대개의 경우 경련이 15분 이내에 끝나게 되어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15분 이상 길게 경련을 한다든지 호흡 곤란이 심하게 와서 청색증이 심해지면, 경우에 따라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급히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어린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체온계와 해열제를 미리 준비해 놓고 아이가 열이 난다고 생각될 때는 체온계로 체온을 재서 기록한 후에 열이 있으면 일단 해열제를 사용한 후 병원을 찾아 열이 왜 나는지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열성경련 응급처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부모나 보호자가 당황하지 않는 것이다.

알아두면 좋은 열성경련 응급처치법 7가지 

1. 질식을 막기 위해,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2. 목 주위를 조이는 옷들은 벗기고 시원하게 해준다.
3. 해열제는 의식이 돌아온 이후 먹인다.
4. 경련을 일으키고 있는 아이의 몸을 꽉 잡거나, 주무르지 않는다.
5. 인공호흡을 하거나, 꽉 안는 행동은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6. 경련 지속시간 등 경련 양상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7. 소독되지 않은 바늘로 따는 등의 처치는 하지 않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