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회

50대 주부, 손목터널증후군 주의 필요

전체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의 1/3이 50대 주부 ....1년 새 30대 미만 젊은 연령층 환자 급증, 보건당국의 관심과 홍보 필요

930일부터 임시공휴일, 대체휴일, 한글날까지 올해 추석은 주말을 포함해 10일에 달하는 황금연휴였다. 그리고 많은 직장인들이 연휴기간을 통해 피로에 지친 심신을 재충전하는 시간을 가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긴 추석연휴 속 가정주부들은 명절음식 준비를 포함한 가사노동 속에서 손목에 고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바로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손목터널증후군발병이 증가하는 것이다.

 

손은 총 27개의 뼈와 인대, 신경, 힘줄, 근육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과도한 혹사는 쉽게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중 손목터널증후군은 명절 후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손목에 있는 손목터널(수근관)이 좁아지면서 그 공간을 지나는 정중신경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를 통해 통증, 저림, 감각 저하 등의 증상으로 나타는 것이다.

 

국회의원 전혜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총 174,763명 중 여성은 135,427명으로 환자 5명 당 4명꼴로 여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이 중에서 50대 여성 환자는 57,865명으로 전체 환자의 1/3을 차지해 50대 여성의 손목터널증후군 발병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손목터널증후군이 50대 여성에만 국한한 질병은 아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장인, 악기 연주자 등에서도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스마트폰 중독 등을 이유로 청소년에 손목터널증후군 발병률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최근 1년 동안 10대 미만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는 2배 증가했고, 20대 미만 환자는 1.3, 30대 미만 환자는 1.2배 증가했는데 환자 분포가 가장 큰 50대 여성 환자 수 증가폭이 연평균 1.01배에 그치는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젊은 환자 수는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전혜숙의원은 손목터널증후군은 근육통이 아닌 신경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통으로 제 때 치료받지 못하면 후유장애를 남기는 무서운 질환이다. 환자 분포가 가장 높은 50대 주부의 경우 가사, 육아 등으로 제 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을 키울 수 있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30대 미만 젊은 연령층의 환자 수도 급증하고 있는 만큼 보건당국의 관심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손목터널증후군 연도별/연령별/성별 통계

 

                                                                                                                                                                                                                                                                <       단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합계

160,387

166,572

168,451

167,125

174,763

33,728

35,955

36,389

37,226

39,336

126,659

130,617

132,062

129,899

135,427

0~9

합계

8

14

14

12

23

7

7

4

4

14

1

7

10

8

9

10~19

합계

747

783

770

755

981

338

370

322

327

423

409

413

448

428

558

20~29

합계

5,189

5,338

5,600

5,696

6,705

1,943

2,069

2,131

2,281

2,697

3,246

3,269

3,469

3,415

4,008

30~39

합계

13,485

13,832

13,935

13,876

14,438

4,069

4,410

4,487

4,565

4,841

9,416

9,422

9,448

9,311

9,597

40~49

합계

33,814

33,632

33,363

32,558

32,800

7,395

7,682

7,708

7,699

7,839

26,419

25,950

25,655

24,859

24,961

50~59

합계

66,448

68,571

68,742

67,291

68,664

9,970

10,643

10,737

10,644

10,800

56,478

57,928

58,005

56,647

57,864

60~69

합계

27,799

29,579

30,412

31,006

33,946

6,614

6,935

6,995

7,441

8,156

21,185

22,644

23,417

23,565

25,790

70~79

합계

12,376

13,801

14,384

14,343

14,993

3,158

3,484

3,586

3,748

3,909

9,218

10,317

10,798

10,595

11,084

80세 이상

합계

2,341

2,801

3,145

3,521

4,135

553

641

730

821

965

1,788

2,160

2,415

2,700

3,170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3차 제약바이오 혁신포럼 개최...무슨 내용 담을까?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과 함께 오는 10월 17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실현 제3차 혁신포럼 – 제약바이오 글로벌 진출 가속화 전략 토크 콘서트」를 개최한다. 앞서 협회는 ▲1차 포럼에서 ‘K-제약바이오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2차 포럼에서는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한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3차 포럼은 이를 이어받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와 과제, 나아가 민관 협력과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해외시장 확대 방안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날 포럼은 협회 바이오벤처특별위원회 이병건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업계와 정부,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연이어 글로벌 진출 경험과 비전을 공유하고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은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해 해외 진출에 성공한 사례와 향후 과제를 소개한다. 이어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기와 실제 경험담을 전하고, 전윤종 산업기술기획평가원 원장은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 지원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BRF2 변이로 인한 질병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희귀질환 극복 실마리 제시" 원인을 모르는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 왔던 환자와 가족이 16년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BRF2 유전자’와 희귀질환의 연관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원인이 불명확해 진단과 치료가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이승복 교수, 서울의대 권해윤 학생)와 중앙대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윤서빈 박사) 공동 연구팀은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의 유전체 및 세포 데이터를 분석하고, BRF2 변이가 면역결핍 및 발달장애 희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해 30일 발표했다. BRF2는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다. 다른 유전자들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셀레노시스테인 tRNA(SeCys tRNA) 생성을 유도한다. SeCys tRNA를 기반으로 합성된 단백질들은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산화-환원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BRF2 관련 질환에 대해선 그동안 연구가 드물었고, 이 변이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