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요양병원 항우울제 처방,급증... 4년 새 2배로' 껑충'

저혈압, 배뇨곤란 등 부작용 주의되는 노인 대상 항우울제 처방에 대한 실태조사와 대책 마련해야

노인성 질환, 만성질환 등 주로 고령자들의 요양을 위해 운영되는 요양병원에서 부작용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항우울제 처방이 급속히 증가되어 보건당국의 실태파악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 의원(서울 광진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요양병원의 항우울제(정신신경용제) 처방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년 항우울제 처방건수는 19만 3천 건으로 5년 전 2012년 10만 3천 건에 비해 약 2배가 증가했다. 해당 항우울제 처방금액 또한 2배 이상 증가했다.

< 항우울제(정신신경용제) 처방 현황 >

연도

처방 건수

처방 금액

2012

103,247

73420 만원

2013

120,550

114,268 만원

2014

146,442

137,287 만원

2015

160,810

135,760 만원

2016

193,213

172,062 만원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병원의 건강보험 급여는 1일당 정액수가로 산정되어 개별약제의 사용내역을 심평원이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정액수가에 포함되지 않는 사유에 해당하여 별도로 청구돼 심평원 전산에 파악된 수치가 이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훨씬 더 많은 항우울제가 요양병원 내에서 처방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지난 5년간 요양병원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에나폰정(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은 고령자에게서 기립성 저혈압, 비틀거림, 배뇨곤란, 변비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워 신중히 투여해야 하는 약제이다.(붙임 참조)


그리고, 동 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의 경우 항우울제인 모클로베마이드(moclobemide), 파킨슨병 치료제인 셀레길린(selegiline), 부정맥 치료제인 드로네다론(dronedarone)과 아미오다론(amiodarone), 정신분열증 치료제인 피모짓(pimozide) 성분의 약들과는 같이 복용해서는 안 되는 병용금기 성분인 만큼 처방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성분이다.


한편,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항우울제(정신신경용제)에 대한 연령대별 부작용 보고 현황”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5년간 총 25,489건이 보고되었으며, 연령이 특정되지 않은 건을 제외한 총 22,775건 중, 60대와 70대의 보고 건수는 총 8,629으로 약 40%를 차지할 만큼 노인 대상 항우울제 처방은 관리가 요구된다.

< 항우울제(정신신경용제) 연령대별 부작용 보고 현황 >

연령대

10대 이하

20

30

40

보고건수

1,115

2,442

2,883

3,378

 

 

 

 

 

연령대

50

60

70대 이상

정보 없음

보고건수

4,328

3,916

4,713

2,714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기간: 2012년 ~ 2017년 6월) / ※ 총 보고건수 : 25,489건


전혜숙 의원은 “올해 8월을 기점으로 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고령자들의 요양을 위해 운영되는 요양병원 개설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요양병원 내에서 어르신들에게 각종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항우울제 처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보건당국의 면밀한 실태조사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양병원 항우울제 다빈도 처방 품목 현황(2012~2016년 연도별 상위 3개 품목)

구분

품목(상위 3개 품목)

처방 건수

2012

에나폰정 10밀리그램(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17,874

명인트라조돈캅셀 25밀리그람_(트라조돈염산염, 25mg/1캡슐)

11,305

에트라빌 10밀리그램정(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10,754

2013

에나폰정 10밀리그램(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18,675

환인트라조돈염산염캡슐_(25mg/1캡슐)

14,330

명인트라조돈캅셀 25밀리그람_(트라조돈염산염, 25mg/1캡슐)

12,155

2014

에나폰정 10밀리그램(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19,887

환인트라조돈염산염캡슐_(25mg/1캡슐)

16,502

명인트라조돈캅셀 25밀리그람_(트라조돈염산염, 25mg/1캡슐)

14,703

2015

에나폰정 10밀리그램(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22,293

명인트라조돈캅셀 25밀리그람_(트라조돈염산염, 25mg/1캡슐)

16,242

환인트라조돈염산염캡슐_(25mg/1캡슐)

15,426

2016

에나폰정 10밀리그램(아미트리프틸린염산염)_(10mg/1)

22,829

명인트라조돈캅셀 25밀리그람_(트라조돈염산염, 25mg/1캡슐)

19,445

환인트라조돈염산염캡슐_(25mg/1캡슐)

16,950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