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상계백병원이 연휴기간 응급실 운영 빛나게 한 3가지

응급실 대기 시간 단축, 협력 병·의원과의 응급 핫라인, 모든 진료과 의료진 상시 당직 체계 전환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원장 조용균)은 유사 이래 가장 길었던 지난 추석 연휴 응급실 운영에 관한 자료를 발표하였다. 상계백병원 응급실은 비교적 적은 수의 응급실 병상을 고려하여 연휴 전부터 진료 및 진료지원부서, 행정 부서가 그간 연휴기간 운영의 노하우를 총동원하여 만반의 태세를 갖춘 상태로 연휴를 맞이하였다.


  자료에 따르면 상계백병원 응급실은 연휴 기간 중 일평균 242명의 환자를 진료하였으며, 약 30%의 환자가 상계백병원을 처음 찾는 신환이었다. 한국형 응급환자 중증도(KTAS) 분류기준에 맞추어 보면 당장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초응급 환자부터 적어도 30분 이내 응급 진료가 필요한 환자까지가 약 1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 232명의 환자가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하였다.


  내원 환자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보면 서울지역 환자가 78%, 경기도 북부 지역 환자가 17%로 병원이 위치한 서울, 경기도 동북부 지역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서울지역 환자는 병원 인접 지역 응급환자들이 주인데 노원구 61%, 도봉구가 25%를 차지하였으며 강북, 중랑, 성북구 환자들 순이었다.


  응급실 진료 시 가장 문제가 되는 진료과 대기 시간도 거의 대부분 진료과에서 10분 이내로 환자를 진료하였으며, 전문의가 상주하는 내과나 응급상황이 빈번한 과의 경우 바로 해당 진료과에서 진료토록 하였으며 평상시 협력관계에 있는 병·의원과의 응급 핫라인을 사전에 점검토록 하였다.


  상계백병원 응급실의 연휴 대책은 우선 기본적으로 연휴 때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응급 상황 뿐 아니라 평소라면 외래 진료를 이용하였을 환자까지 아우른다는 점을 고려하여 응급상황이 많은 진료과뿐 아니라 평소 외래 진료를 기본으로 하는 모든 진료과 의료진이 상시 당직 체계로 전환하였으며, 소아 환자 및 부모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아청소년과 진료 공간은 기존 외래 공간에 따로 배치하여 전담 인력을 투입하였다.


또한 환자의 증상에 맞춘 해당과의 신속한 진료를 위하여 응급콜의 1차, 2차, 3차 연락망을 견고하게 구축하여 각 진료과장 책임 하에 진료의 지연으로 인한 환자 상태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응급실의 혼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기존에 해오던 보호자 출입 통제를 더욱 엄격하게 적용하였으며, 환자 방문 처음에 이루어지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여 줌으로써 환자 및 보호자가 막연하게 느끼는 불안감이 없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해당 진료과가 정해지면 증상의 경중에 관계없이 반드시 대면 진료를 통하여 환자 및 보호자를 안심시켜주고, 앞으로의 치료 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및 이해를 구하도록 하였다.


 그 외, 응급 촬영, 환자 이송을 위한 추가 인력 배치, 응급실 근무자들이 식사를 못하는 것을 배려한 간식 준비 등 세세한 부분까지 준비하였다.


 이번 연휴 응급실 운영을 총괄 지휘한 고경수 진료 부원장은 “길고 길었던 이번 연휴는 병원으로써 가동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엔진을 총 동원하였다.


비록 힘들었지만 서울 및 경기도 동북부 지역 거점 병원으로서 촌각을 다투는 환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면서 이동거리가 긴 병원으로 가도록 할 수는 없으며, 그것이 현재 우리 병원이 이곳에 존재하는 이유이다. 앞으로도 더욱 나은 응급실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나가겠다”며 “무엇보다 긴 연휴에도 맘 놓고 쉬지 못하면서 환자 진료에 힘을 쏟아준 병원의 전 직원에게 감사한다”고 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