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세상에 ....국내서 가장 작은 380g 초극소미숙아 살려

삼성서울병원 박원순․장윤실 교수팀, 정상 신생아 임신기간 40주, 출생체중 3200g 개념 불구 기존 생존 한계 다시 써

국내에서 가장 작은 25주, 380g의 초극소미숙아로 태어난 아기가 여러 차례 위기를 잘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잘 자라 화제가 되고 있다. 이번 초미숙아 생존 기록은 국내에 보고된 사례중 가장 작은 아기이며 세계적으로도 생존 사례가 매우 드물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집중치료실 박원순(朴元淳)・장윤실(張允實)교수팀은 지난해 7월12일, [임신기간 25주-출생체중 380g]로 태어난 김은식(男)환아가 태어난지 9개월이 지난 4월 현재, 3500g(3.5kg)까지 건강하게 잘 자라 곧 퇴원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어머니인 李모씨(40세)의 심한 임신중독증으로 분만예정일보다 4개월여나 빠른 임신 25주만에 세상에 빛을 본 김은식 아기는 폐를 비롯한 여러 장기의 심한 미성숙으로 출생 직후부터 폐 계면활성제 투여와 고빈도 인공호흡기 등의 특수 치료를 시행했다. 또한 생후 3일째에 시행한 동맥관 개존증에 대한 심장수술 등을 비롯한 많은 어려운 고비들을 맞았다. 지금까지 임신주기가 24주 미만, 몸무게 400g 미만의 미숙아는 폐의 발달이 미숙(젖꼭지 생성여부로 판단)하여 출생 후 호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대의학에서 생존한계로 여겼다.

하지만 여러 위험한 고비들을 잘 넘기고 출생 후 9개월이 지난 올해 4월 현재 각종 의료기구와 산소호흡기도 떼어낸 채 몸무게도 3.5kg으로 자랄 정도로 상태가 많이 호전되어 의료진들은 이번 주말 퇴원이 가능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김은식 환아의 부모는 “작년 출생 직후 의료진들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 이렇게 작은 아기가 생존한 경우가 없다는 얘기를 듣고 오직 매순간 최선을 다하자는 마음뿐이었습니다” 며 이후 “270여 일 동안 수많은 크고 작은 위기와 고비들을 무사히 잘 이겨내고 이렇게 기적처럼 우리 아기를 건강하게 잘 살려주신 의료진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보살핌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며 거듭 의료진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소아청소년과 박원순(朴元淳) 교수는 “이렇게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어느 한 사람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신생아중환자실내 모든 의료진들이 한마음으로 24시간 집중치료와 팀워크의 승리로 일궈낸 뛰어난 결과”라며 신생아집중치료팀 전체로 치료의 공을 돌렸다.

또 소아청소년과 장윤실(張允實) 교수는 “몸무게 300g대의 아기를 건강하게 잘 살려낸 것은 현대의학의 생존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앞으로 이런 첨단의학기술로 더 많은 조산아들을 더욱더 잘 살릴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며 국내 최초 380g 초미숙아 치료 성공 의의를 밝혔다. 
 
일반적으로 미숙아란 임신 37주 미만의 조산아 혹은 몸무게가 2.5kg 미만의 저체중아를 말한다. 최근 우리나라도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으로서 미숙아 출산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비하여 이런 어린 아기들을 잘 치료하는데 꼭 필요한 신생아중환자실 병상은 턱없이 부족하여 많은 미숙아들이 좋은 치료를 잘 받을 수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朴․張 교수팀은 “이런 훌륭한 미숙아 치료기술을 이미 우리가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미숙아들이 잘 치료 받아서 건강하게 잘 살아갈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의 지원이 절실하다” 며 미숙아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을 당부했다.

 한편 지금까지 국내에서 가장 체중이 가장 적었던 초미숙아는 삼성서울병원에서 26주+4일, 434g으로 태어난 김소망孃(2004년)이고, 임신주기가 가장 짧은 초미숙아는 22주+3일, 440g으로 태어난 허아영孃(2008년)과 22주+5일, 570g으로 태어난 김무빈君(2008년), 그리고 22주+6일, 480g으로 美121병원(용산구)에서 태어나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됐던 미국인 카메론君(2006년)이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