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심평원

10년 넘긴 '선별집중심사', 두마리 토끼 잡아.... 국민의료비 절감,요양기관 적정진료 효과 '톡톡'

심사평가원, 지난해 선별집중심사로 국민의료비 465억 원 절감 적정진료로 인해 절감된 ‘사전예방금액’도 283억원 달해

의료계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는 선별집중심사가  국민의료비 절감등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양기관의 적정진료 유도 효과도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의 경우   ‘사전예방금액’이 283억원을 웃도는 성과를 냈다.


더구나 선별집중심사가 지난해 12항목에서 실시된 점을 고려할때 올해는 절감효과가 증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18년 심사항목은 지난해 보다 1개 항목이 늘어난 13개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이 상급종합병원, 한방병원, 치과대학부속치과병원을 대상으로 세포표지검사 등 12항목에 대해 실시한 ‘17년 선별집중심사 결과, 국민의료비 465억 원이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감된 의료비 465억 원 중 적정진료를 통해 청구량 감소로 절감된 ‘사전예방금액’은 283억 원으로, 심사조정액(182억 원)보다 의료기관 스스로 개선하여 얻은 절감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7년도 선별집중심사를 통해 12개 항목 중 10개 항목이 적정진료 목표 수준을 달성했으며, 진료행태개선율은 66.0%로 나타났다. (붙임1 참고) 


-2017년도 선별집중심사 진료행태개선율(12항목)

(단위: %)

연번

대상항목

목표 수준

달성여부

행태

개선율

평 균

66.0

1

한방병원입원(근골격계질환)

건당입원일수 연평균대비 감소

미달성

55.7

2

향정신성의약품 장기처방

장기처방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74.4

3

2군 항암제 (대장암,유방암,폐암)

청구건율 전년대비 감소

달성

58.1

4

항진균제

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58.1

5

황반변성치료제(VEGF제제)

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69.1

6

척추수술

수술건율 전년대비 감소

달성

62.8

7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81.4

8

세포표지검사

청구건수 증감율 연평균대비 감소

달성

67.4

9

갑상선검사(4종이상)

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74.4

10

양전자단층촬영(PET)

월평균 청구건수 전년대비 감소

달성

62.8

11

뇌자기공명영상진단(MRI)

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달성

62.8

12

ConeBeamCT(치과분야)

청구건수 증감률 전년대비 감소

미달성

65.0



그 중 진료행태개선율이 가장 높은 항목은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로, 81.4%의 진료행태 개선을 보였으며 이는 사전예고와 집중관리로 인한 효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ConeBeamCT(치과분야)는 적정진료 유도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구건수가 전년대비 4.1%p 증가하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는 고시* 개정으로 치아부위의 인정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청구 건수와 금액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8년 상급종합병원 선별집중심사는 ’17년 대상항목 9개(12항목 중 3항목* 종료)와 신규 4개를 더한 총 13개 항목을 대상으로 확대 실시한다. 종료 3개 항목은 갑상선검사(4종이상), 향정신성의약품 장기처방, 한방병원입원(근골격계)이며 신규 4개 항목은 세기변조방사선치료, 자동봉합기, 유전성 및 비유전성검사, 면역관문억제제이다.

 

또한 본․지원간 심사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2개 항목*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공통항목으로 선정하여 운영한다. (붙임2 참고)


-2018년도 선별집중심사 항목

연번

항목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의원

1

척추수술

2

Cone Beam CT(치과분야)

3

향정신성의약품 장기처방

 

4

견봉성형술 및 회전근개 파열복원술

 

5

세기변조방사선치료*

 

 

6

자동봉합기*

 

 

7

유전성 및 비유전성검사*

 

 

8

면역관문억제제*

 

 

9

황반변성치료제

 

 

10

2군항암제(대장, 유방, )

 

 

11

양전자단층촬영(PET)

 

 

12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13

세포표지검사

 

 

14

뇌자기공명영상진단(Brain MRI)

 

 

15

항진균제

 

 

16

종양표지자검사(3종 이상)

 

 

17

의료급여장기입원

 

 

18

약제다품목처방(12품목, 9품목 이상)

 

 

19

전산화단층영상진단(2회 이상)

 

 

20

한방병원 입원(근골격계)

 

 

(*)는 상급종합병원 신규항목


심사평가원 유명숙 심사실장은 “2007년부터 운영한 선별집중심사를 통해 요양기관의 진료행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요양기관의 적정진료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