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접수된 학대의심사례 수는 1,835건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사례판정 결과, 학대 사례로 판정된 경우는 889건으로 전체 사례의 48.4%에 달했다. 증거가 부족하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잠재위험사례는 150건 (8.2%)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2,30대 장애인 학대 사례가 전체 899건 가운데 42.3%를 차지했다. 20대가 211명(23.7%), 30대 165건(18.6%), 40대 151건(17.0%) 순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학대 피해 사례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장애인들에 대한 착취사례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학대사례 판정 1,234건(중복학대 포함) 중 ‘경제적 착취’ 사례는 302건에 달했다.
최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조사 사건’을 보면, 장애인에 대한 학대 수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례1 신체적 학대 사례
올해 2월, 경기도 A 장애인시설 종사자가 지적장애인들에게 서로 뺨을 때릴 것을 지시하는 등 신체적 학대를 가하고, 해당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기도 했다. 현재, 해당 종사자는 장애인복지법 위반혐의로 경찰 조사 중이며, 피해자들은 권익옹호기관에서 심리 치료 등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사례2 경제적 착취 사례
대전 지역 식당 운영자가 지적장애 여성에게 2010년부터 약 7년간 일을 시키면서 임금과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지적장애 여성이 식당에서 일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인 폭언과 함께 폭행도 자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도자 의원은 “사건접수 후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조사비율이 전국적으로 80%에 달하지만, 경기·인천 등 학대의심사례 신고가 많은 일부 지역은 조사비율이 50%대 수준에 그치고 있다”면서 “장애인 학대 사례 발굴과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익옹호기관의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 학대의심사례 신고접수 및 조사 현황 (단위 : 건, %)
연도 | 학대의심사례 | 조사건수 | 실시비율 |
서울 | 122 | 108 | 88.5 |
부산 | 125 | 85 | 68.0 |
대구 | 79 | 74 | 93.7 |
인천 | 103 | 59 | 57.3 |
광주 | 109 | 94 | 86.2 |
대전 | 46 | 40 | 87.0 |
울산 | 84 | 70 | 83.3 |
세종 | 38 | 30 | 78.9 |
경기 | 293 | 151 | 51.5 |
강원 | 99 | 90 | 90.9 |
충북 | 62 | 58 | 93.5 |
충남 | 157 | 155 | 98.7 |
전북 | 131 | 126 | 96.2 |
전남 | 65 | 61 | 93.8 |
경북 | 171 | 155 | 90.6 |
경남 | 102 | 74 | 72.5 |
제주 | 49 | 49 | 100.0 |
계 | 1,835 | 1,479 | 80.6 |
자료: 보건복지부, 최도자 의원실 재구성
학대의심사례 사례판정 결과 (단위 : 건)
연도 | 학대사례 | 비학대사례 | 잠재위험사례 | 계 | 경제적 착취 |
서울 | 51 | 60 | 11 | 122 | 16 |
부산 | 67 | 44 | 14 | 125 | 26 |
대구 | 24 | 51 | 4 | 79 | 12 |
인천 | 42 | 54 | 7 | 103 | 12 |
광주 | 51 | 54 | 4 | 109 | 28 |
대전 | 33 | 10 | 3 | 46 | 17 |
울산 | 31 | 44 | 9 | 84 | 8 |
세종 | 10 | 15 | 13 | 38 | 3 |
경기 | 83 | 199 | 11 | 293 | 25 |
강원 | 45 | 46 | 8 | 99 | 13 |
충북 | 49 | 12 | 1 | 62 | 29 |
충남 | 37 | 106 | 14 | 157 | 17 |
전북 | 91 | 30 | 10 | 131 | 10 |
전남 | 36 | 26 | 3 | 65 | 19 |
경북 | 144 | 5 | 22 | 171 | 27 |
경남 | 68 | 20 | 14 | 102 | 25 |
제주 | 27 | 20 | 2 | 49 | 15 |
계 | 889 | 796 | 150 | 1,835 | 302 |
* 경제적 착취 : 중복학대 포함한 전체학대사례 판정(1,234건) 중 경제적 착취유형 자료: 보건복지부, 최도자 의원실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