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온라인 개학, 아이들 척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이경민원장,성장기 척추 뼈가 휘어지는 변형 주의해야

코로나19의 추가적인 지역사회 확산을 막고자 전국의 학교가 순차적 온라인 개학을 시작한다. 교사와 학생, 학부모 모두 처음 겪는 상황인 만큼 혼란이 예상되는데,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해 학습을 이어가야 하는 자녀의 건강에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 성장기 척추 뼈가 휘어지는 변형 주의
온라인 수업을 위해 책상에 앉아 컴퓨터를 볼 때 자녀들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쉽다. 성장기로 뼈가 유연한 청소년은 잘못된 자세가 지속될 경우 척추가 어느 한 쪽으로 구부러지는 척추측만증 발생 위험이 높다. 뒤에서 보았을 때 척추가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어야 하는데, 어느 한쪽으로 휘어지면 양쪽 어깨 높이가 다르거나 골반이 기울어져 한쪽으로 치우쳐 보인다.

이경민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자녀의 어깨와 골반의 높이 차이가 있다면 다이빙을 하는 자세처럼 상체를 앞으로 90도 기울인 상태에서 양쪽 등의 높이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는 전방굴곡 검사를 해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허리를 앞으로 구부렸을 때 등의 한쪽이 튀어나와 있으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할 수 있다. 병원에서는 경추부터 골반까지 X-ray 검사로 척추의 휘어진 각도를 측정해 판단한다. 25도 이하라면 운동으로 변형의 진행을 막고, 경우에 따라 보조기를 착용해 병의 진행을 막는 방법도 고려한다.

다리를 꼬거나 책상에 기대는 잘못된 자세를 피하고,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허리를 의자에 깊숙이 넣어 어깨부터 골반까지 일직선이 되는 자세를 유지하고 가슴을 펴고 목은 세워서 앉는다. 학습 자세를 꼼꼼히 살피고 바로잡아 척추가 변형되는 일을 예방하도록 하자.

◆ 모니터 내려다보는 자세, 거북목 유발 위험
자녀가 온라인 학습을 할 때, 엎드려 목을 옆으로 하는 행동을 자주 하거나 컴퓨터의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아래 있다면 목 건강을 살펴야 한다. 특히 목을 빼 화면을 보는 등 머리가 몸통의 앞쪽에 위치한 자세는 정상적인 목뼈의 C자 커브를 사라지게 한다. 일자목이 되거나 거북이처럼 목을 앞으로 구부정하게 숙이고 있는 비정상적인 자세로 인해 목뼈가 역C자로 변형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거북목증후군의 10대(10~19세) 환자가 2018년 10만 8,645명에서 2019년 11만 6,970명으로 약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옆에서 관찰했을 때 귓불 아래 방향으로 가상으로 그린 선이 어깨의 제일 앞부분과 동일 선상에 놓인다면 정상, 3cm 이상 앞으로 떨어지면 거북목증후군 진행 단계, 5cm 이상이면 교정이 필요한 상태다. 병원에서는 경추 X-ray 검사로 목뼈의 변형이 일자 혹은 역C자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목뼈가 변형되면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능력이 떨어져 목 주변 근육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목이 피곤하고, 어깨 통증이나 두통 같은 증상을 유발하거나 목디스크 질환도 불어올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