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전봉민의원,"암환자 이중고로 사각지대 방치"

문케어 시행 이후, 항암제 급여확대 급감하고 코로나 여파로 신규암환자 확진도 뚝
심평원 중증질환심의위, 급여확대 95%(16년)→47%(19~20년)
매년 증가하던 암환자 신규등록 전년 동기(3~5월) 16.8% 감소

문케어가 시행된 이후 항암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확대가 급감하고, 코로나19 여파로 신규암환자 등록자 수가 감소하는 등 암환자들이 진단과 치료에서 이중고를 겪는다는 일각의 우려가 현실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전봉민 의원(보건복지위, 부산 수영구)이 6일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심평원 중증질환심의위, 급여확대 95%(16년)→47%(19~20년)

심평원이 제출한 「최근 5년간 중증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에 따르면, 신규의약품의 등재율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급여확대 의약품의 경우 등재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증질환심의위원회는 항암제와 같이 중증질환에 사용되는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여부를 결정하는 기구로 암질환심의위원회로 통용된다.


2016년도에 급여확대를 신청한 의약품 20건 중 19건이 중증질환심의위원회를 통과했으나, 2017년도 33건 중 25건(76%), 2018년도 47건 중 18건(38%), 2019년도 45건 중 21건(47%), 2020년 8월 기준 27건 중 13건(48%)으로 집계됐다. 특히 문케어가 본격 시행한 2018년도 이후 통과율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 정부가 보편적 의료혜택 확대에 치중하면서 중증환자들이 오히려 사각지대에 방치됐다는 일각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최근 5년간 중증질환위원회 검토 의약품, 실제 등재 비율>

신규등재 의약품1)

2016

2017

2018

2019

2020.8월 기준

논의 약품 수

14

34

20

12

10

등재 약품 수3)

9

32

14

12

52)

※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9
주 1)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년도 기준, 약품목수 기준
   2) 2020년 5건 중 2건은 신규등재 후속절차 진행 중임
   3) 당해 연도 등재 수로 표시


급여확대 의약품1)

2016

2017

2018

2019

2020.8월 기준

논의 약품 수

(중복포함)

20

33

47

45

27

등재 약품 수3)

19

25

18

212)

132)

※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9
주 1) 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년도 기준, 약품 적응증 기준
   2) 2019년 21건 중 3건, 2020년 13건 중 11건은 급여확대 후속절차 진행 중임
   3) 당해 연도 등재 수로 표시


이와 함께 중증질환심의위원회에서 3회 이상 논의된 의약품은 총 6건으로 확인됐는데, 이 중 4건은 아직도 급여되지 못한 상황이다. 3회 이상 논의됐다는 것은 등재의 필요성은 인정되나 급여가 계속 지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3회 이상 중증질환심의원회에서 논의된 의약품 수>

기간 : 2016~2020

갯수

3회 이상 논의된 의약품

6

해당 의약품 현재 급여 유무

- 2건 급여확대

- 2건 급여확대 후속절차 진행 중

- 2건 검토 중

※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9


매년 증가하던 암환자 신규등록 전년 동기(3~5월) 16.8% 감소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일반 국민들의 의료접근성이 제한된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전봉민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던 올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암환자 산정특례 신규 등록 환자 수가 60,274명으로 지난해 동기(72,473명) 대비 16.8%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 같은 기간(3월~5월) 동안 산정특례 신규등록 암환자 수가 ▴2017년 59,296명, ▴2018년 70,107명, ▴2019년 72,473명으로 증가추세에 있던 것을 감안하면 현저히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암 발생이 감소한 것이 아니라 의료접근성 저하로 인해 진단을 받지 못한 잠재적 암환자가 많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017~2020년(3~5월) 암환자 산정특례 신규 등록환자 수>

                                                                      (단위: 명)

구 분

2017

2018

2019

2020

3

21,060

23,482

22,408

20,473

4

18,943

23,528

25,405

19,577

5

19,293

23,097

24,660

20,224

소계

59,296

70,107

(18.2%)

72,473

(3.4%)

60,274

(-16.8%)

※ 자료 : 보건복지부, 2020. 9


생존율과 직결되는 암 조기발견이 코로나의 영향으로 제때 진단되지 못하고 지연되고 있는 만큼, 감염병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암 진단율 제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전봉민 의원은 “문케어 시행 이후 정부가 건강보험 급여를 실적 중심으로 추진하면서 정작 혜택을 받아야 할 중증환자들이 오히려 급여 사각지대로 몰리고 있다.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암환자들의 조기진단율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암환자들은 진단과 치료 모두 어려움을 겪는 이중고에 처해 있다. 암환자들이 건강보험의 안전망 속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의 우선순위 재설정이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대웅, 임직원 건강관리 맞춤 솔루션 ‘대웅 헬스케어’ 론칭 대웅(대표 윤재춘)은 오는 7월 7일부터 7월 10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2025 국제안전보건전시회(KISS)에 참가하여, 기업 임직원들을 위한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 ‘대웅 헬스케어’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대웅 헬스케어는 ▲힐리언스 코어운동센터, ▲선마을, ▲웰다,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임직원들의 신체 건강, 정신 건강, 대사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직면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한다. 대웅 헬스케어는 기업들이 근골격계 문제, 정신 건강, 대사 질환 관리 등 임직원 건강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솔루션은 임직원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춘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 증진과 유지를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임직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대웅 헬스케어 솔루션은 기업 안전보건 관리자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임직원 건강 증진을 통해 건강친화기업 인증,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인증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