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21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 개최

학술진흥상에 서울대학교 김홍희 교수 선정

로레알코리아(대표 크리스티앙 마르코스)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한경구)가 후원하고,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회장 이미옥)이 주관하는 ‘2022 제21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이 5일(화)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진행됐다. 올해 학술진흥상에는 골대사 분야 기초연구 확산에 선구자적 역할을 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치과대학 김홍희 교수가 선정됐다.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주어지는 펠로십 부문에는 △김은지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구강희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조교수 △여진아 질병관리청 감염병백신연구과 책임연구원 △이선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임상조교수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 및 펠로십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와 함께 연구지원비 3천만원과 500만원씩이 각각 수여된다.


제21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학술진흥상 수상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치과대학 김홍희 교수는 국내 골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파골세포를 배양하는 방법과 관련 실험기법 및 노하우를 확산시켰다.


펠로십 수상자인 김은지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줄기세포 및 종양세포 기반의 인간 조직 모사체 개발과 이를 이용한 질병 모델링 및 신약 개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Nature에 단독 제1저자 논문을, Biofabrication과 eLife에 2편의 공동저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또한 해당 분야 총 2건의 국내특허와 3건의 해외 특허를 출원 및 등록했다.


두 번째 펠로십 수상자인 여진아 질병관리청 감염병백신연구과 책임연구원은 현재 국가주도의 mRNA 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microRNA 생성 및 mRNA 안정성 조절 기전연구를 통해 생물의 발생 및 병리에 중요한 기전들을 규명했으며, mRNA 안정성에 기여하는 RNA 헤어핀 구조를 규명해 관련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mRNA 생성 및 안정성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논문을 제1저자로서 국제 학술지에 다수 발표했으며, 2019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을 수상했다.


세 번째 펠로십 수상자인 이선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임상조교수는 내과 전문의이자 영상의학과 전문의로서, 국내에서 유병률이 높은 간암과 담도암의 치료 전 영상 소견을 이용해 환자 개개인에 맞춘 정밀 의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Journal of Hepatology와 Annals of Surgery 등 국제 학술지에 제1저자로서 연구논문을 다수 게재했으며, 2021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을 수상했다.


네 번째 펠로십 수상자인 구강희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조교수는 온도, 빛, 염분 등 환경의 변화나 특정 물질의 생분해 시 색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고분자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기초학문부터 응용학문까지 폭넓은 연구를 진행중인 구교수는 2018년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에 초청 review 논문을 게재한 바 있으며, 2020년 3월부터 Polymers 저널(ISSN 2073-4360)의 초청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