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초기 치매 환자,10명 중 5명.."과도한 주간 졸음"

수면장애를 치료하면 치매 예방 효과

치매는 뇌 기능의 점진적인 저하로 인해 기억, 사고, 판단력, 언어 등의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초기 치매 환자들은 종종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는데, 그 중 하나가 과도한 주간 졸음이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안젤리카 보브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10년 동안 초기 치매 환자 1044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약 55% 환자가 과도한 주간 졸음 증상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과도한 주간 졸음은 치매 환자들에서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다. 

1. 수면 변화: 치매로 인해 수면 패턴이 변화할 수 있다. 불규칙한 수면 패턴, 불편한 수면 환경, 야행성 수면 등이 과도한 주간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2. 인지적 노력: 치매 환자들은 간단한 일상 활동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신체적 및 정신적 에너지를 소비하여 주간에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3. 인지적 과부하: 신체적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감정적인 상황에서도 인지적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트레스와 불안이 증가하며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4. 뇌 변화: 치매는 뇌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뇌 변화는 수면 조절 메커니즘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간 졸음을 초래할 수 있다.
5. 우울증: 치매 환자들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우울증은 주간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
6. 의약품 부작용: 치매 환자들은 다양한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주간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잠꼬대 등 다른 수면장애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서 주간졸음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대해 한진규 전문의는  “노인의 주간졸음은 뇌 퇴행에 따른 수면장애 현상일 수 있기 때문에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장애의 근본원인을 찾아 치료하면, 뇌`퇴행성 질환인 치매, 파킨슨병 등을 조기에 예방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면다원검사는 뇌파, 호흡, 산소포화도, 다리 움직임, 심전도 등의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자는 동안 모니터링 하는 검사이다. 꼭 주간졸음이 아니더라도 수면 중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수면장애가 의심되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졌다고 느껴졌을 때에는 검강검진 받듯 수면다원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주간졸음으로 인한 수면다원검사의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다기 때문에 사전 진료를 통해 확인하고 검사, 치료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간 졸음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를 위해 호흡치료(양압기 치료), 빛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ST, 제주대학교병원에 원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 추가 공급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에 원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HiCardi)’ 122대를 추가 공급한다고 29일 밝혔다. 하이카디는 메쥬가 개발하고 동아에스티가 판매하는 국내 최초 웨어러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다중 환자의 실시간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피부온도, 산소포화도 등 환자의 생체 신호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가벼운 웨어러블 패치형으로 기존 심전도 검사기의 불편함을 개선했다. 동아에스티는 앞서 2023년 권역책임의료기관인 제주대학교병원 심장내과 병동에 하이카디 8대를 공급했다. 제주대학교병원은 지난 2년간 하이카디 사용 경험을 통해 우수한 임상적 효용성과 사용 편의성을 확인하고, 다중 질환 및 중증질환 환자가 집중된 환경에서 보다 안전한 병동 운영 체계 구축을 위해 하이카디 추가 도입을 결정했다. 제주대학교병원 최은광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하이카디 추가 도입은 첨단 의료 기술에 대한 투자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 관리가 가능해졌다”며,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지역민 건강 증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박희봉 디지털헬스케어 사업부장은 “하이카디는 대규모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