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디스헬스케어(대표이사 황현두, 김지나)는 2024년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의 정부지원금 규모는 5년간 총 135억원 규모이다. 본 사업은 “암 진단기기용 초고감도 3차원 나노광학 증강소재 개발”을 목표로 총괄과 1,2,3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브레디스헬스케어는 2세부과제를 주관한다. 총괄과 1세부과제는 한국재료연구원이, 3세부과제는 나노스코프시스템즈가 각각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나선다.브레디스헬스케어가 주관하는 제2세부과제의 목표는 "다중 유전자 및 면역 진단용 고감도 바이오칩 개발"로, 10여종의 암 유전자 및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검출하는 첨단 바이오칩을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수행한다. 2세부과제에는 초고감도 바이오칩 개발 및 시료 전처리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춘 중앙대학교(주재범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강태준 박사), 울산과학기술원(강주헌 교수)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중앙대학교 주재범 교수는 “이번 과제를 통해 암 조기진단을 위한 플라즈모닉 기반 초고감도 다중 면역분석 및 유전자 변이 검출용 바이오칩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암 진단의 정확도와 효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레바논에서 이스라엘의 공격이 격화됨에 따라, 공습 피해가 집중된 지역의 의료시설들이 강제 운영 중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인들의 보건의료 접근성에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기존 의료시설에서의 치료 활동을 유지하는 동시에, 분쟁으로 인한 의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활동 운영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격렬한 공습으로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서는 활동을 일부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늘어나는 의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계속해서 활동을 조정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지난주 베이루트(Beirut) 남부 교외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 부르즈 엘 바라즈네(Burj el Barajneh) 소재 진료소를 완전히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레바논 북동부의 바알베크-헤르멜(Baalbek-Hermel) 지역에서도 활동을 일시 중단해야 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공습 피해가 심각한 곳이다. 해당 지역 환자들은 이미 취약한 상태로, 절실히 필요한 의료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의료시설 폐쇄로 인해 특히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필수적인 서비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간호과학대학 윤은경 교수 연구팀이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넥스트 팬데믹 대비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보건의료기관 업무 연속성 전략 포럼’을 10월 4일(금)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경희대가 주관하고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재단이 후원했고,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제도과 지만석 과장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우인 원장, 경희의과학연구원 윤경식 원장, 동아대학교 재난관리학과 이동규 교수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보건의료기관 업무 연속성을 위한 인력관리 체계 취약성 개선 필요성’과 ‘전사적 위험 관리 플랫폼 고도화 및 실용화 전략 방안’ 등이었다. 포럼은 발표와 패널 토론의 순서로 진행했다. 지만석 과장은 ‘국가 재난 안전 대책을 위한 기능 연속성 계획 수립’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기능 연속성 계획에 관해 “핵심 기능 및 소요 자원을 분석하고 기능 연속성 전략을 수립하고 실제로 사태가 벌어졌을 때 실행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개선과 유지관리 쪽으로 계획을 구성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능 연속성 계획이 자주 실행되는 계획은 아니기 때문에 교육 훈련이나
삼양그룹(회장 김윤)이 창립 100주년을 맞아 12일 일산 킨텍스에서 ‘NEW SAMYANG FESTIVAL’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삼양그룹 임직원과 가족들을 초청해 함께 창립 100주년을 축하하고, 새로운 시작을 선언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윤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과 임직원 및 가족 4,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페스티벌은 개그맨 신동엽이 진행을 맡아 오프닝 영상, 기업 소명 및 비전 소개, 뉴 삼양 퍼포먼스, 뉴 삼양 송 발표, 축하공연, 행운권 추첨 순으로 진행됐다. 삼양홀딩스 김윤 회장은 “삼양그룹이 오늘의 100년을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은 회사가 잘 될 때나 어려울 때나 변함없이 함께 해준 삼양의 구성원과 가족들 덕분”이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아울러 “100년 전에 바다를 메워 땅을 만드는 대역사로 시작된 삼양의 개척 정신이 다음 100년에는 어떤 방향으로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며 “고민에 대한 결론과 답이 새로 정립한 기업 소명(New Purpose)에 담겨 있다. 절실한 마음으로 내재화 해 새로운 시대에 삼양그룹이 가야 할 방향을 다시 한번 새길 수 있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등장한 삼양홀딩스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 ㈜로우템이 개발한 ‘LOWTEM Crystal 120’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로우템(대표이사 이상일)은 2010년 기술창업한 순수 국내기업으로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를 전문으로 개발·제조하고 있다. 현재 약 4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비중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LOWTEM Crystal 120’은 사용용량 120리터의 대용량 플라즈마 멸균기로 미국 이외에서 제조한 제품 최초 FDA 2등급 의료기기(Class II Medical Device) 승인을 받았다. 제품은 특허받은 급속 승온 순환 시스템을 적용해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플라즈마 멸균기의 단점인 수분에 취약한 의료기구도 효과적으로 멸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아크릴이 성균관대학교 우홍욱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로 두 편의 대형 언어 모델(LLM) 관련 논문을 NeurIPS 2024와 EMNLP 2024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NeurIPS(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와 EMNLP(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인공지능 및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학술대회로, 매년 전 세계의 연구자들이 모여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권위 있는 학술 행사이다. 이번 논문 발표는 아크릴이 자사의 주력 상품인 ALLM (Acryl-LLM)을 기반으로 한 LLMOps 솔루션을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제시하는 성과로, LLM의 적용 가능성을 스마트 홈, 자율주행, 헬스케어 및 로봇 제어와 같은 여러 분야에서 입증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NeurIPS 2024에서 발표될 연구는 “Exploratory Retrieval-Augmented Planning for Continual Embodied Instruction Following”이라는 주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필라이즈(대표 신인식)가 어플리케이션(앱) 내 영양제 무료 체험, 전문가 칼럼 퀴즈, 리뷰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라고 8일 밝혔다. 필라이즈에 따르면, 올해 앱 내 영양제 리뷰 수는 약 25만 개를 넘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약 66% 늘어난 수치로 사용자의 영양제 섭취 및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필라이즈 관계자는 “사용자 당 하루 평균 5.25개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여러 영양제를 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관리를 위해 조합한 영양제 누적 개수도 지난해보다 약 110% 증가한 150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필라이즈 앱은 인공지능(AI)를 통해 현재 섭취 중인 영양제를 입력하면 점수를 통해 섭취 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부족하거나 과하게 섭취 중인 영양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이같은 사용자들의 수요를 고려해 필라이즈는 사용자가 다양한 영양제를 경험해 볼 수 있는 무료 체험단 이벤트를 진행한다. 성별, 연령 등 사항을 포함해 10년 간 건강검진 기록과 기저질환 등 28가지 건강 지표를 바탕으로 체험단을 선발해 피로 회복 영양제, 종합비타민 등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약사, 영양사 등 필라이즈 내
임형택 메디웨일 최고의학책임자가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와 글로벌 연구출판기업 엘스비어 (Elsevier)가 발표한 ‘2023년 세계 최상위 2% 과학자’ 명단에 2년 연속으로 선정되며 메디웨일의 연구 역량이 다시 한번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세계 최상위 2% 과학자'는 22개 과학 분야와 174개의 세부 분야에서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과학자들 중, 학술 논문 인용 지수 'SCOPU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정된다. 임형택 메디웨일 최고의학책임자의 연구 논문은 2023년 기준 자기 인용을 제외하고 945회 인용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 과학자 중 최상위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현재까지 그는 177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임책임자는 메디웨일에서 세계 최초로 망막 이미지 기반의 심혈관 위험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의료 소프트웨어 '닥터눈 CVD' 개발을 주도했다. 닥터눈 CVD 관련 논문을 세계적인 의학저널 란셋 디지털 헬스 (The Lancet Digital Health), 미국 심장협회, 유럽 심장 학회, 국제 의학 학술지 BMC Medicine 등에 지속적으로 출판 및 발표하고 있다. 또한, 그는 망막 혈관을 통해
리터놀 주식회사(대표: 윤대건)가 누적 10억 규모의 시드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에트리홀딩스,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블루포인트파트너스, MYSC,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참여했다. 이번 투자에 참여한 투자사와의 관계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투자엑셀러레이터는 23년 10월 이어 추가 투자를 하며 신뢰를 확인하였으며,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23년도 예비창업패키지와 오픈윈도우 프로그램, 블루포인트파트너스는 2024년도 청년창업사관학교, mysc는 KT&G 상상스타트업캠프와 FIN:NECT 핀테크 이노베이션 스쿨을 통해 리터놀의 지속적인 성장을 확인하며 투자를 결정했다. 특히, 에트리홀딩스는 비파괴검사 기술의 이전과 함께 투자를 진행하여, 기술적인 시너지까지 기대하게 되었다. 이커머스 업계는 소비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무료배송, 무료 반품 서비스를 확대중이다. 그러나 이로 인한 반품 물류비용 증가는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리터놀은 이런 업계 문제를 해결하고 반품 재고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리터놀은 공장자동화 기술을 이용하여 빠르게 반품 상품 상태 정보를 제공해 반품 상품을 검사할 역량이 없는
동아참메드(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자사의 신규 하이엔드급 의료용 진료대 'DCU-8000'과 'DCU-4000'(이하 DCU 시리즈)이 대한민국 우수산업디자인(Good Design, GD) 마크를 취득했다고 7일 밝혔다. DCU시리즈는 헬스/의료기기 분야의 리빙 디자인 카테고리에 1차 심사를 통과한 924개 제품과 경쟁을 거쳐 2차 실물 심사에서 약 3.4대 1의 경쟁을 뚫고 심미성, 독창성, 사용성, 환경친화성, 경제성 등의 엄격한 심사 기준을 통과해 선정됐다. 동아참메드 관계자는 "DCU 시리즈의 우수산업디자인 상품 선정은 의료기기 시장에서 동아참메드의 디자인 경쟁력을 공인받은 결과"라면서 "향후 호주 굿디자인(Good Design Australia, GDA)마크 인증을 거쳐 글로벌 디자인 우수기업의 입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동아참메드는 지난 8월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으로부터 의료기기 인증을 받고 10여년 만에 새로운 하이엔드 의료용 진료대 라인업인 DCU 시리즈를 출시했다. DCU 시리즈는 '크림화이트+스카이블루', '메탈릭다크그레이+미디엄그레이'의 고대비 컬러 조합을 통해 기존 직선적으로 모노톤에 치중된 디자인을 탈피하고 병원 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