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강원도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이하 SFTS) 사망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강원도 동해시에 거주하는 A씨(여, 만 69세)는 농업인으로 최근 집 앞의 밭에서 농작업을 하였으며, 인후통, 말 어눌, 의식 저하 등의 증세로 5월 9일 응급실에 내원하여 코로나19 음성 확인 후 백혈구·혈소판 감소 등의 소견으로 5월 10일부터 입원 치료를 받았다. 5월 12일 SFTS 양성으로 판정되었고, 이후 상태가 악화되어 5월 13일 중환자실로 옮겨 산소치료를 받던 중 금일(5월 16일) 사망하였다. SFTS는 농작업과 제초작업, 산나물 채취 등 야외활동 증가로 인해 진드기 노출 기회가 많아지는 봄철에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치명률이 높은 반면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특히 주의해야 하는 감염병이다. SFTS는 매년 전국적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첫 환자가 보고된 2013년 이후 2021년까지 총 1,504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277명이 사망하여 약 18.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5명, 사망자는 3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74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3,268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3,29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95,357명 (해외유입 32,342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274명(17.1%)이며, 18세 이하는 2,891명(21.8%)이다. 5월 1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3,268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2,904.4명), 수도권에서 5,865명(44.2%) 비수도권에서는 7,403명(55.8%)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5월 13일(금) 오후 2시, 국제백신연구소*(IVI, 제롬 김 사무총장)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양해각서에는 국제백신연구소 유치에 따른 운영비 및 산·학·연 간의 공동 연구 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역학 분야 교육 등을 위해 상호 간의 협력을 확대·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였다. 정부는 1994년에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를 국내에 유치한 후 지속적으로 연구소 운영 및 연구 활동 등을 지원해 왔다. 질병관리청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국산 백신 개발과 민간 지원을 지속 추진해 오고 있다. 국제백신연구소와 공동으로 국내 기업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효능평가 등을 실시하여 왔으며, 그 성과로 ‘22년 제 1호 국산 코로나19 백신의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국제백신연구소의 역학(EPIC; Epidemiology, Public Health, Impact/역학, 공중보건, 백신 보급) 부서에 질병관리청의 역학조사 전문인력을 위한 단기 연수 과정을 마련하여 인력 양성을 위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본 과정에는 △감염병 감시, △개발 도상국의 역학조사 기획 및 수행 지원, △예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38명, 사망자는 4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70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5,.408명, 해외유입 사례는 2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5,43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82,061명(해외유입 32,314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5,652명(22.2%)이며, 18세 이하는 4,799명(18.9%)이다. 5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5,408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3,947.6명), 수도권에서 10,974명(43.2%) 비수도권에서는 14,434명(56.8%)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1명, 사망자는 5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66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9,556명, 해외유입 사례는 2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9,58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56,627명(해외유입 32,28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6,402명(21.7%)이며, 18세 이하는 5,657명(19.1%)이다. 5월 1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9,55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6,036.7명), 수도권에서 13,151명(44.5%) 비수도권에서는 16,405명(55.5%)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7명, 사망자는 5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60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2,436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2,45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27,086명 (해외유입 32,264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6,540명(20.2%)이며, 18세 이하는 6,183명(19.1%)이다. 5월 1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2,43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7,468.3명), 수도권에서 14,453명(44.6%) 비수도권에서는 17,983명(55.4%)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54명, 사망자는 6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55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5,894명, 해외유입 사례는 1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5,90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694,677명 (해외유입 32,25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6,769명(18.9%)이며, 18세 이하는 7,112명(19.8%)이다. 5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5,89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6,647.6명), 수도권에서 15,770명(43.9%) 비수도권에서는 20,124명(56.1%)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98명, 사망자는 6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6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9,910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9,93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614,895명 (해외유입 32,203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8,735명(17.5%)이며, 18세 이하는 10,687명(21.4%)이다. 5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9,91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8,296.1명), 수도권에서 22,026명(44.1%) 비수도권에서는 27,884명(55.9%)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21명, 사망자는 4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0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582명, 해외유입 사례는 1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0,60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564,999명 (해외유입 32,182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3,467명(16.8%)이며, 18세 이하는 4,861명(23.6%)이다. 5월 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58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8,466.0명), 수도권에서 9,122명(44.3%) 비수도권에서는 11,460명(55.7%)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23명, 사망자는 8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36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048명, 해외유입 사례는 1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0,06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544,398명 (해외유입 32,163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9,482명(23.7%)이며, 18세 이하는 7,375명(18.4%)이다. 5월 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048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8,390.1명), 수도권에서 16,240명(40.6%) 비수도권에서는 23,808명(59.4%)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