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3명, 사망자는 20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87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1,05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755,055명(해외유입 31,68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8,543명(22.9%)이며, 18세 이하는 15,144명(18.7%)이다. 4월 2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2,882.3명), 수도권에서 37,720명(46.5%) 비수도권에서는 43,323명(53.5%)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46명, 사망자는 14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66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836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0,86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674,045명(해외유입 31,666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9,941명(22.0%)이며, 18세 이하는 17,135명(18.9%)이다. 4월 2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83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9,281.0명), 수도권에서 42,479명(46.8%) 비수도권에서는 48,357명(53.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08명, 사망자는 16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52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302명, 해외유입 사례는 1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1,31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583,220명(해외유입 31,635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5,294명(22.7%)이며, 18세 이하는 21,929명(19.7%)이다. 4월 2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30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07,506.9명), 수도권에서 52,314명(47.0%) 비수도권에서는 58,988명(53.0%)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4명, 사망자는 13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35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8,484명, 해외유입 사례는 2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8,50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471,940명(해외유입 31,61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3,926명(20.2%)이며, 18세 이하는 25,808명(21.8%)이다. 4월 1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8,48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19,518.6명), 수도권에서 58,158명(49.1%) 비수도권에서는 60,326명(50.9%)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50명, 사망자는 13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2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729명,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7,74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353,495명(해외유입 31,599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8,750명(18.3%)이며, 18세 이하는 11,621명(24.3%)이다. 4월 1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72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32,698.0명), 수도권에서 23,758명(49.8%) 비수도권에서는 23,971명(50.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93명, 사망자는 20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09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2,983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3,00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305,752명(해외유입 31,585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3,137명(24.9%)이며, 18세 이하는 18,126명(19.5%)이다. 4월 1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2,98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38,864.7명), 수도권에서 42,796명(46.0%) 비수도권에서는 50,187명(54.0%)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13명, 사망자는 27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88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7,886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07,91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212,751명(해외유입 31,567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5,875명(24.0%)이며, 18세 이하는 20,696명(19.2%)이다. 4월 1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7,88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49,071.3명), 수도권에서 51,204명(47.5%) 비수도권에서는 56,682명(52.5%)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99명, 사망자는 26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61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5,832명,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25,84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104,869명(해외유입 31,53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7,401명(21.8%)이며, 18세 이하는 24,820명(19.7%)이다. 4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5,83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60,161.6명), 수도권에서 60,724명(48.3%) 비수도권에서는 65,108명(51.7%)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오늘(4월 15일) 지역사회 흡연예방·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질병예방서비스 권고를 개발·배포한다고 밝혔다. 질병예방서비스 권고는 지역사회 정책담당자의 근거 기반 정책 기획·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공중보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를 통해 공중보건 정책의 효과성 등에 대한 근거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지역사회 당뇨병 예방·관리 프로그램(’17~’19년) 근거평가 및 권고를 수행한 데에 이어, ’20~’22년 질병예방서비스 권고영역으로 지역사회 흡연예방·금연 프로그램을 선정(’19년)하였다.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근거평가*를 기반으로 4가지 수준(강한 권고(A), 약한 권고(B), 시행 반대 권고(D), 권고 보류(I))에 맞춰 프로그램별 권고 강도를 결정하며,지역사회 흡연예방·금연 프로그램 중 근거평가의 필요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5개 프로그램에 대해 아래와 같이 권고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14명, 사망자는 18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03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5,382명, 해외유입 사례는 3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95,41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830,644명(해외유입 31,489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41,918명(21.5%)이며, 18세 이하는 40,579명(20.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