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3명, 사망자는 8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32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0,345명, 해외유입 사례는 1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0,36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009,865명(해외유입 31,842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6,684명(20.8%)이며, 18세 이하는 16,005명(19.9%)이다. 4월 2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0,345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76,843.6명), 수도권에서 37,203명(46.3%) 비수도권에서는 43,142명(53.7%)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68명, 사망자는 1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24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339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4,37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929,564명(해외유입 31,82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6,614명(19.3%)이며, 18세 이하는 7,723명(22.5%)이다. 4월 2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33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82,294.3명), 수도권에서 15,475명(45.1%) 비수도권에서는 18,864명(54.9%)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제15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방문자를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와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말라리아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매우 큰 감염병 중 하나이다. 2020년 기준, 세계 85개국에서 약 2억 4,100만 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했으며, 약 62만 7천명이 사망하였다. 우리나라는 WHO 말라리아 퇴치 대상 국가(E-2025)에 포함되어 있으며, WHO 말라리아 퇴치인증을 목표로 말라리아 재퇴치 5개년(2019-2023) 실행계획을 추진 중이다. 국내 발생 삼일열말라리아의 경우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퇴치사업 지역(30개 시·군·구)을 선정하고 환자 및 매개모기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또한, 해외유입 열대열말라리아 치료를 위해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나 아직 국내 도입되지 않는 의약품을 전국 10개 기관*에 비축하고, 의료기관 요청 시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말라리아 환자가 2020년 이후 연 300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토착화된 삼일열말라리아 및 해외유입인 열대열말라리아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26명, 사망자는 10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13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4,689명, 해외유입 사례는 3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64,72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895,194명(해외유입 31,797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6,026명(24.8%)이며, 18세 이하는 11,664명(18.0%)이다. 4월 2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4,68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84,205.3명), 수도권에서 28,940명(44.7%) 비수도권에서는 35,749명(55.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38명, 사망자는 15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0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420명, 해외유입 사례는 2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5,44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830,469명(해외유입 31,761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8,843명(25.0%)이며, 18세 이하는 13,998명(18.6%)이다. 4월 2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5,420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88,243.9명), 수도권에서 34,467명(45.7%) 비수도권에서는 40,953명(54.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3명, 사망자는 20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87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1,05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755,055명(해외유입 31,68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8,543명(22.9%)이며, 18세 이하는 15,144명(18.7%)이다. 4월 2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2,882.3명), 수도권에서 37,720명(46.5%) 비수도권에서는 43,323명(53.5%)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46명, 사망자는 14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66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836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0,86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674,045명(해외유입 31,666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9,941명(22.0%)이며, 18세 이하는 17,135명(18.9%)이다. 4월 2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83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9,281.0명), 수도권에서 42,479명(46.8%) 비수도권에서는 48,357명(53.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08명, 사망자는 16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52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302명, 해외유입 사례는 1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1,31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583,220명(해외유입 31,635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5,294명(22.7%)이며, 18세 이하는 21,929명(19.7%)이다. 4월 2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30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07,506.9명), 수도권에서 52,314명(47.0%) 비수도권에서는 58,988명(53.0%)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4명, 사망자는 13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35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8,484명, 해외유입 사례는 2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8,50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471,940명(해외유입 31,61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3,926명(20.2%)이며, 18세 이하는 25,808명(21.8%)이다. 4월 1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8,48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19,518.6명), 수도권에서 58,158명(49.1%) 비수도권에서는 60,326명(50.9%)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50명, 사망자는 13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2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729명,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7,74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353,495명(해외유입 31,599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8,750명(18.3%)이며, 18세 이하는 11,621명(24.3%)이다. 4월 1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72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32,698.0명), 수도권에서 23,758명(49.8%) 비수도권에서는 23,971명(50.2%)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