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21명, 해외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9,930명(해외유입 14,04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1,41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4,611건(확진자 49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1,578건(확진자 3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7,602건, 신규 확진자는 총 1,943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2,205명으로 총 252,038명(90.04%)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5,50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48명, 사망자는 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86명(치명률 0.85%)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진드기․설치류 (쥐)에 의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피(검은 딱지) 형성이 특징적이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이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 (9월~11월)에 발생하며, 올해는 털진드기 주간 감시 37주차에 처음으로 전남에서 확인되었고 일반적으로 10월 초(41주차)부터 털진드기 출현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고 다른 감염병에 비해 치명률이 약 20%로 높은 편이다. 올해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체인 참진드기 밀도와 환자가 전년 동기간 대비 각각 17.5%, 42.5%로 감소하였으나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발열성 질환인 렙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57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7,989명(해외유입 14,02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8,86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5,121건(확진자 513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1,447건(확진자 3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5,431건, 신규 확진자는 총 2,080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2,186명으로 총 249,833명(89.87%)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5,77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50명, 사망자는 1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80명(치명률 0.86%)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63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5,910명(해외유입 14,00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4,48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6,724건(확진자 254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4,566건(확진자 6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5,778건, 신규 확진자는 총 1,497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2,142명으로 총 247,647명(89.76%)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5,89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40명,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67명(치명률 0.86%)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3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09명, 해외유입 사례는 2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4,415명(해외유입 13,96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1,56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3,532건(확진자 33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0,997건(확진자 4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6,096건, 신규 확진자는 총 1,433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1,046명으로 총 245,505명(89.46%)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6,55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42명,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60명(치명률 0.86%)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임신 중기에 고농도의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됐던 임산부가 출산한 아이의 경우, 특히 여아에서 5세까지의 성장 궤도에 지속적인 저하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정책연구용역 ‘소아 호흡기·알레르기질환 장기추적 코호트(COCOA*)‘ 과제의 연구(연구책임자: 울산대학교 홍수종 교수)에서 총 440명의 5세 아동의 성장 궤도에 따른 임신 중 PM2.5 노출 영향 및 관련 기전 분석을 수행하여 확인된 것이다. PM2.5의 위험도 분석 결과, 임신 중기(14-26주)의 고농도 PM2.5 노출은 출생체중 저하의 위험도를 1.28배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생 후 5년까지의 성장 궤도가 지속적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의 임신 중 PM2.5 노출 농도를 비교한 결과, 임신 중기의 PM2.5 노출 농도가 높을수록 특히 여아에서 출생 및 생후 5세까지의 성장궤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대혈을 이용한 메틸화 분석 결과, PM2.5 노출 농도가 높고 출생체중이 적은 여아 신생아군에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RRDC3의 메틸화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체중이 적은 5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25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2,982명(해외유입 13,94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8,71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9,905건(확진자 31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365건(확진자 2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07,983건, 신규 확진자는 총 1,755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1,499명으로 총 244,459명(89.55%)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6,164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51명,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59명(치명률 0.86%)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16명, 해외유입 사례는 49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1,227명(해외유입 13,91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0,40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0,762건(확진자 43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4,303건(확진자 34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55,470건, 신규 확진자는 총 1,86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227명으로 총 242,960명(89.58%)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5,90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52명,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58명(치명률 0.87%)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57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9,362명(해외유입 13,866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6,18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79,965건(확진자 46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6,674건(확진자 4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2,824건, 신규 확진자는 총 1,892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1,813명으로 총 240,733명(89.37%)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6,28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53명,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8명(치명률 0.87%)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18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7,470명(해외유입 13,83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9,20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0,626건(확진자 41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9,191건(확진자 7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9,020건, 신규 확진자는 총 2,049명이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1,634명으로 총 238,920명(89.33%)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6,20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66명, 사망자는 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3명(치명률 0.8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