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최근 5년 새 20·30대 우울증 환자 급증...왜?

명지병원 장진구 교수 “청년층에 귀 기울이고 지원 연계 시급”

우울증 환자 100만 시대현대인들에게 우울과 불안은 감기와도 같다고 말한다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흔하고많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약 75만 명에서 2022년 약100만 명으로 33%로 급증했으며같은 기간 불안장애 환자도 약 69만 명에서 약 87만 명으로 26% 늘었다.

 

특히 다른 연령대보다 20·30대 청년층 증가폭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전체 우울증 환자 중 20·30대 환자 비율이 2018년 26%에서 2022년 36%로 증가했다.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장진구 교수는 청년 우울증 증가는 극심한 취업 스트레스와 부의 양극화그로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물론코로나19로 3년 간 거리두기를 거치며 인간관계나 시간 활용이 어려웠던 사회적 요인들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이어 특히 봄은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정신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프링피크누구에게나 봄이 따뜻한 건 아니다

봄철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스프링피크(Spring Peak)’라고 부른다국가통계포털(KOSIS)에 등록된 자료에도 최근 3년간 매해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21년 3, 2022년 4, 2023년 5월이었다.

 

일반적으로 해가 빨리 지고 바깥활동이 적은 겨울철이 더 우울하고 자살률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오히려 봄철 자살률이 겨울철에 비해 20~30% 더 높다정확한 원인은 연구 중이지만 의학계에서는 일조량 증가와 새 학기졸업인사이동 등 사회적으로 큰 변화봄을 만끽하는 사람들에 비해 그렇지 못하다는 상대적 박탈감 등이 이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약물·심리치료 시행... 임산부도 가능한 Deep TMS치료 각광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관리는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또 어느 질환이나 마찬가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한데정신과 치료를 받는다고 하면 주변의 오해나 편견 등을 걱정해 치료를 미루다 시기를 놓쳐 감당하기 힘든 우울상태에 빠질 수 있다.

 

우울증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뇌 국소자극기기를 이용한 치료 등으로 이루어진다약물치료는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사용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등과 같은 뇌 화학 물질 수치를 조절해 우울·불안감을 줄인다.

 

심리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를 진행하는데환자의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수정하면서 건강한 행동으로 변화를 촉진해 증상을 개선한다.

 

약물치료가 어렵거나 거부감을 보이는 환자를 위해 뇌 국소자극기기를 이용한 치료도 활발한데대표 치료법으로 경두개자기자극술(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or, TMS)이 있다이 방법은 자기장을 발산하는 헬멧을 착용해 뇌의 신경활동특히 전전두엽 피질을 활성화하고 도파민과 세로토닌 등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원리다최근에는 더 넓고 깊은 뇌 영역에 직접 도달할 수 있는 Deep TMS장비로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 없이 빠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특히 임산부나 성별·연령에 관계없이 치료받을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건강하고 규칙적인 일상으로 단계적 변화 권장

이밖에도 심리교육을 받거나 햇볕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야외활동규칙적인 운동건강한 식습관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면 우울·불안 증상을 줄일 수 있다다만 갑작스런 일상의 변화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만큼 단계적으로 느린 변화를 권장한다.

 

장진구 교수는 우울·불안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마음의 병인만큼 먼저 환자 스스로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 “또 주변에서는 환자를 탓하기보다 지지와 지원을 통해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와야하며사회적으로는 청년층의 어려움에 귀 기울이고 이를 지원할 정책이나 지원기관의 연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젊은 나이 ‘급성 심장사’ 일으키는. ‘비후성 심근병증’이란 비후성 심근병증은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젊은 나이 급성 심장사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다. 최근 국내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비후성 심근병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문인기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비후성 심근병증은 고혈압 등 심실에 부하 발생 조건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상태로, 좌심실의 여러 부위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심실중격이 두꺼워지면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는 ‘좌심실 유출로’에 협착이 발생해 실신, 흉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고 유연성이 떨어져 움직이면 숨이 차는 호흡곤란이 발생하고 부정맥도 빈발할 수 있다. 문인기 교수는 “비후성 심근병증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심장사가 발생하거나 심부전이 악화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유병률은 2010년 0.016%였으나 2016년 0.03%로 상당히 증가했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환자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적절한 관리를 위해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40~60%에서 심장횡문근 관련 유전자 변이가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유전적 대사